View : 834 Download: 0

자유탐구보고서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자유탐구 수행 특성 분석

Title
자유탐구보고서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자유탐구 수행 특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s in Free Inquiry
Authors
마혜린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여성희
Abstract
과학 탐구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유용한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3차 과학과 교육과정부터 탐구 학습을 강조하였고, 교과서를 통하여 다양한 탐구 활동을 다루고 있다. 그럼에도 학생들은 과학자의 탐구를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은 향상되지 않은 채 흥미마저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과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부터 자유탐구를 신설하였다. 자유탐구는 과학 탐구 학습 중 하나로서 학생들이 과학 탐구의 전 과정을 자기 주도적으로 경험하게 한다. 자유탐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이 향상되며, 과학에 대한 흥미도 높아지는 등 다양한 교육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었다. 자유탐구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탐구 수행 특성을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자유탐구보고서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탐구 수행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틀로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6-2(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교육과학기술부, 2008), 김숙경 외(2010), 경기도 교육청(2008), 이대형(2011), 홍준의 외(2007)의 연구 내용과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내용으로 초등학생의 자유탐구보고서에 나타나는 탐구 동기 유발 경험, 탐구 내용과 학년별 과학과 학습 내용의 관련성, 탐구 방법의 유형, 탐구 방법별 수행 능력, 탐구 결과 표현 양식, 탐구 보고서 구성 체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자유탐구 동기 유발 경험으로 간접 경험보다 직접 경험을 더 많이 인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과 직접 및 간접 경험이 가진 특징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과 경험의 유형에 따른 특징을 고려하여 다양한 경험이 학생들의 자유탐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자유탐구 내용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학년별 과학과 학습 내용에 대한 경향성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이 탐구 내용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채 탐구 동기만으로 자유탐구를 시작하여 나타난 것이라 판단된다. 자유탐구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충분한 질과 양으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나 학부모는 자유탐구의 자율성을 제한하지 않는 선에서 학생들이 적절한 수준의 탐구 내용을 선정할 수 있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자유탐구 방법 중 실험 중심 탐구, 조사 중심 탐구, 만들기 중심 탐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유탐구는 학생들이 정규 교육과정에서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과학 탐구 방법을 경험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선호하지 않은 기르기 중심 탐구, 탐사․탐방 중심 탐구는 다른 과학 탐구 방법에서 얻을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기르기 중심 탐구, 탐사․탐방 중심 탐구를 소개해야 한다. 넷째, 초등학생들 중 실험 중심 탐구를 수행한 학생들은 가설 설정과 결론 도출 능력이 부족하였다. 조사 중심 탐구에서는 조사 내용 및 조사 방법 계획에서, 만들기 중심 탐구에서는 원리 탐구에서 수행 능력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에게 과학 탐구 방법별 과정을 학습할 기회가 부족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과학 탐구 방법에 따라 부족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초등학생들은 자유탐구 결과 표현 양식 중 글, 사진을 선호하였으며, 대체로 표현 양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탐구 결과 표현 양식별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결과의 목적과 기능에 맞게 탐구 결과 표현 양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여섯째, 초등학생들은 탐구 보고서 구성 체제 중 탐구 동기나 탐구 계획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자유탐구보고서에 더 알고 싶은 점, 참고 자료의 출처를 기록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이 보고서의 구성 체제에 대하여 그 개념과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탐구 보고서 구성 체제를 충분히 이해하여 탐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본 연구는 자유탐구보고서만을 분석하였으므로, 학생들의 탐구 수행 특징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자유탐구 현장에서 학생들의 수행을 직접 관찰하거나 녹화, 녹취하여 자료를 분석한다면 본 연구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학생들의 새로운 탐구 수행 특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Science inquiry is useful t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For this reason, Korean science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nquiry science learning since third education curriculum, and shares the space of text book with diverse science inquiry activities. Nevertheless these efforts, students have not been experience proper depth of scientist's inquiry, that made many problems as a loss of students' interests in science without development in science inquiry abilities. To solve many problems in science education, free inquiry has been introduced since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ree inquiry offers students opportunity to experience all the process of science inquiry. It is expected to solve many problems already mentioned in science education. There is reason to study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tudents in their performance of free inquiry that make them achieve the goal of free inquiry.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not satisfied for this purpose. Therefore to catch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tudents in their performance of free inquiry,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analyse the submitted 112 reports of students' free inquiry that is for their homework in va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re students recognize direct experience as the motivation of inquiry than indirect experience. It means that the students are sensitive to direct experience and that is linked to free inquiry. Second, the students did not show their choosing trend in the level of inquiry contents. It means that the students chose the inquiry contents by motivation of inquiry with little thought of the level of inquiry contents. Third, the students showed the preference in the inquiry method which is concerned with the experience. It means that the diverse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make students chose the inquiry method. Forth, the students showed qualitative distinction in the procedure in category of inquiry procedure. The reason is that the student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diverse science inquiry method. Fifth, it was few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used the chart, the gragh in the expressing form of inquiry result. And they did not use the expressing form of inquiry result well. It means that the students chose the expressing form of inquiry result with convenience of using, instead of function. Sixth, it was few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rote the feeling with performance of free inquiry, curious things that they want to perform in the next free inquiry, references. It means that the students concentrated on doing performance without procedure of free inquir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eacher that the way to lead the students in doing free inquiry. And to underst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students, more study to analysis students in the education field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