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은-
dc.contributor.author양지연-
dc.creator양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6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0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6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학년 공통사회 교육과정의 법단원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문제만들기 활동 자료를 바탕으로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이 학생의 사회과 흥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이 학생의 교과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이 학생의 내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이 학생의 자기주도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학생의 배경변인이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을 통한 학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로구의 G고등학교 1학년 6개 학급(실험집단 3학급, 통제집단 3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실험처치는 선정된 3개 학급에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총 6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통제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을 실시하지 않고 일반교수·학습만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한 문제만들기 활동지를 토대로 하여 정규 사회수업시간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문제만들기 활동을 실시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전·사후 검사로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이 검사지는 기존에 선행연구에서 활용한 검사지를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개인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의 카이검정을 실시하였고, 학습태도에 대한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 측정도구의 내적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 후 집단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 실험 전후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넷째, 개인적 특성을 통제한 후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얼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은 사회과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를 증진시킨 결과가 나타났다. 문제만들기 활동은 교사 중심의 일제식 수업이 아닌, 활동지에 따라 일정한 활동을 하게 됨으로써 학습자들이 직접 학습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사회과에 대한 흥미가 증진되었다. 둘째, 문제 만들기 활동 수업은 학습한 교과 내용의 이해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활동으로써 학습자들의 이해를 증진시켜 교과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학생에 비하여 교과자신감에 대한 평균치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교과에 대한 자신감은 학습자들의 사회과 학습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여 학습태도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 준다. 셋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의 목적과 이유, 흥미의 원인 등의 부분에 있어서 내적 동기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으로 인하여 적극적 학습의 참여 여부, 학습 계획과 수행에 대한주도성에 대하여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자기주도성에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제 만들기 활동 수업을 실제 수업 가운데 적용하여 효과적인 활동 자료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a first year curriculum of common social studies on the basis of the law by section, a problem posing activiti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data development activity social studies class problem posing activities conduct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id not conduct classes explores the effect of learning attitude is. To do this, se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udies of the student's social studies class problem posing activities affecting interesting? The second. Problem posing activities of the student's social studies curriculum classes affecting confidence? Third. Social studies class problem posing activities affecting th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Fourth. Problem posing activities of the student's social studies classes in self-directed affect attitudes? Fifth. The problem of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make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learning through active attitude influence? Research to solve the problem, Guro-6, G-10th grade classes (experimental group three classes, three classes control group) were selected randomly. Experimental treatment in the selected class 3 March to April 2013 was conducted across a total of six weeks,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roblem posing activities without conducting lessons were only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The experimental group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problem posing activity sheets was carried out on a regular social class, the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problem posing activities In this study, pre-and post test of tim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for learning skills, the tests used in previous studies that the existing one was made by utilizing strip. Firs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evaluate the homogeneity of the crosstab chi-test was conducted, learning skills Learn about the homogeneity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Third, the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problem posing activities to determine the impact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differences within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urth,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making activities on issues of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to look at the impact 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frozen. First, the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ocial studies for social studies lessons that promote students' results were interesting. Problem posing activities of the Japanese-style classes rather than teacher-centered, activity sheets, depending on the activity by being a constant learner will participate directly in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promotion of students' interest in social studies was Second, the problem posing activities lessons learned understanding of course content as well as the additional activities required by the interests of students by promoting the curriculum promotes self-confidence. In the present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on average were higher in subjects confidence. Such confidence in the students'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learning to have a favorable attitude toward learning attitude will bring positive effects. Third, the social studies class problem posing activities of the learner's learning objectives and reasons, including interest on the part of the cause of the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was enhanced. Fourth, the problem posing activitiesof social studies classes of learners in self-initi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Creating active learning activities due to problems of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about the initiative for planning and implementation appears to be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ve effect seen was his initiative. Through this study, the problem posing activitiesof social studies classes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ttitude has many possibilities it can be seen that. Therefore, the problem posing of real class to class making activities by applying effective enough to be used as activity dat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사회과와 문제만들기 4 1. 사회과 문제만들기의 의미와 유형 4 2. 사회과와 문제만들기 활동 5 B. 문제만들기 활동과 사회과 학습태도 8 1. 학습태도의 정의와 구성요소 8 2. 문제만들기 활동과 학습태도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5 A. 연구대상 25 B. 실험설계 30 C. 연구절차 32 D. 자료수집 및 분석 3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7 A. 문제만들기 활동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37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학습태도 동질성 비교 37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학습태도 차이 38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학습태도 차이 41 B. 배경변인에 따른 실험·통제 집단의 학습태도 차이 44 Ⅴ. 결론 및 제언 48 A. 결론 48 B. 제언 49 참고문헌 50 부록 53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450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과 문제만들기 활동이 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Problem Posing of Social Studies on Learning Attitudes-
dc.creator.othernameYang, Ji Youn-
dc.format.pagei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