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사회과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Title
사회과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s on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은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성교육의 제반 여건과 분위기, 사회과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인성교육의 효율화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χ²(Chi-square)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인성교육 제반 여건과 분위기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성교육과 관련된 학교의 여건과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서, 평균점수는 3.64로 사회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서 보통수준(3점)보다 높게 평가했다. 사회과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인성교육에 관한 ‘연수경험 유무'에 따라 인성교육에 대한 학교의 여건과 분위기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정도에 대해 사회과 교사들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인성교육이 ‘대체로 이루어지고 있다(3.48)’고 인식하고 있었다. 배경변인에 따라 인성교육이 이루어지는 정도에 대해 살펴보면, 인구학적 특성인 ‘성별’, ‘연수경험 유무’, ‘종교 유무’에 따라 학교에서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성교육 관련 학급의 분위기에 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평균점수는 3.88로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들이 보통수준(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경변인 중에서는 ‘교직 경력’에 따라 인성교육에 대한 학급의 분위기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성이 좋은 학생’에 대한 인식에서는, ‘남을 잘 돕고 배려하는 인정 많은 학생(88.4%)’이라는 응답이 전체 응답 중 가장 많았다. 학교 인성교육 관련 ‘연수경험의 유무’에 따라 ‘인성이 좋은 학생’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인성교육이 요구되는 현안 문제들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에서, 사회과 교사들이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로 ‘주의산만(주의력 결핍)’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3.9%로 전체 응답 중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학교폭력(왕따, 금품갈취)’이 21.8%로 많았다. 배경변인에 따른 분석 결과, ‘학교 급’과 ‘학교 유형’에 따라 인성교육이 요구되는 심각한 문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회과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인성교육에 있어서 사회과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3.97)’라는 항목의 평균이 ‘사회과 수업시간에 인성교육을 다루어야한다(3.85)’ 항목의 평균보다 높았다. 이는 교사들이 사회과 교사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수업을 통한 인성교육에는 상대적으로 인식이 낮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배경변인 중에서는 ‘종교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셋째, 사회과 교사의 인성교육 내용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과 관련된 사회과 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 ‘관용, 배려, 정의, 친사회적 행동을 위한 가치교육 강조’라고 응답한 비율이 71.4%로 전체 응답 중 가장 많았다. 배경변인별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사회과의 수업시간을 통한 인성교육 중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내용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에서, ‘민주시민의식 및 공동체의식 형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0.3%로 전체 응답 중 가장 많았다. 배경변인 별로 사회과 수업시간에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내용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교 급’ 과 ‘학교 유형’에 따라 유의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과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인성교육의 내용별 실시정도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기본생활습관 형성(3.67)’이 다른 응답들에 비해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통수준(3점)보다 약간 높은 수치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비해, 실제 사회과 수업시간에는 각 내용별 인성교육이 그다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회과 교사의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과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인성교육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시사뉴스와 연계하여 바람직한 인성을 위한 사례를 제시’가 전체의 34.9%로 사회과 수업시간을 통한 가장 효과적인 인성교육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성함양에 도움이 되는 인성교육 방법에 대한 인식은 인성교육 관련 ‘연수경험 유무’일 때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가 나왔다. 사회과 수업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 방법별 실시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실시정도에 대한 평균점수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훈화식의 기본생활지도 및 수업예절지도’가 3.8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했다. 각 방법별 실시정도의 응답자의 평균은 보통수준(3점)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성교육 방법이 보통수준으로 실시되고 있거나, 대체로 이루어졌음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사회과의 인성교육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한 인식에서, ‘충분한 수업시간 제공 및 업무축소’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46.8%로 가장 많았다. 사회과에서 보다 나은 인성교육을 하기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해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교 인성교육의 효율화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의 방해요인으로는 ‘성적·입시 위주의 학교 및 사회 분위기’라는 응답이 전체의 64.4%로 다른 응답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는 ‘연수경험 유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사항에 대해 가장 먼저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지속적인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전체의 44.3%로 다른 응답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배경변인 중에서는 ‘학교 유형’과 ‘연수경험 유무’, ‘학교생활지도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인성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능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인구학적 특성인 ‘성별’, ‘학교 급’, ‘연수경험 유무’, ‘종교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를 통한 인성교육이 원활히 이루어기 위해 다음을 제안한다. 첫째로 사회과목의 특색에 맞는 인성교육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둘째, 사회과 교사는 사회과목의 지적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균형이 이루어진 수업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 교사들은 인성교육에 맞는 수업지도안을 짜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국·영·수 중심의 입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학생들의 전인교육을 위해 과목의 중요도를 분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을 지원하도록 학교장의 마인드와 가정과 사회에서의 협조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looking into ways of invigorating character education by analyzing social studies teachers' in school's character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is going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s on school's characte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do social studies teachers think of the school and classroom conditions and atmosphere in character education? Second, what do they think of the contents of school's character education? Third, what do they think of the methods of school's character education? Forth, what do they think of the ways of invigorating school's character education? Fifth, what do they think of the school and classroom conditions and atmosphere, the contents, the methods, the ways of invigorating school's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factors? For the survey, the schools in In-cheon are selected. The subjects were all teachers of social studies who worked at middle schools and grammar high schools. Answers of 253 respondents returned from overall 300 teacher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and chi-square-test on statistics data collected were conducted with SPSS 21 program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zed that character education was largely achieved in real school sites. This is higher than the results of the study intended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school and classroom conditions and atmosphere in character education, the social studies teachers generally evaluated them higher than the normal level. Of these, especially 'Our school emphasized on grades and personality at the same time' is the highest ranked, scored 3.78. In the perception of a student who have good personality, social studies teachers chose 'a student who have consideration for others'.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most serious problems teachers face these days in the school, ‘distraction’ was ranked first and ‘violence’ was ranked second. Second, the analysis results about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Generally, 'the role of social studies teachers is important in character education' is higher than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deal with character education during their classes'. This means that teachers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character education, but they relatively recognize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classes low. Third, the analysis results about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f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In the goal of social studi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teachers highly selected 'emphasis on values education for tolerance, consideration, justice,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erception of conduct degree by content about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ocial studied classes, teachers selected 'building basic living habits(3. 67)' first. This i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level(3 point). This means that actually character education by content hasn't been done very well during social studies lessons,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recently. Forth, the analysis results about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f the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They recognized that 'presenting good cases for desired personality in conjunction with current issues' was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perception of conduct degree by method about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ocial studies classes, teachers selected 'Conducting basic life or etiquette classes by moral discourse(3. 80)' first. This i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level(3 point). This means that actually character education by method has been done generally during social studies lessons. In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providing sufficient class time and reduced work' was ranked first, accounted for 46.8%. Fifth, the analysis results about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f the ways invigora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are as follows. To examine the discouragement of character education, 'overemphasizing grade and entrance examination' was ranked first, accounted for 64.4%. To examine the improvement for invigorating school's character education, 'consistent program development and execution for character education' was ranked first, accounted for 44.3%. Of the individual factors, teacher training experience for character educ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ny parts. Based up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proposals to invigorate school's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oci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training session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focused on social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balance Intellectual areas and affective areas in their lessons. Third, social studies teachers should formulate lesson plans to meet character education. Forth, Korean-English-Math-oriented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 should be distributed for student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Fifth, the principal's mind and coordination with the home and community is needed to support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