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정연주-
dc.creator정연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0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788-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the academic knowledge used in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gets transposed fro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to the actual teaching instructions given out by Korean Grammar teachers. Due to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of Korean Grammar, the teachers face difficulties clearly conveying the grammatical knowledge to students. This can be traced to the fact that grammatical knowledge is currently delivered in a way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students as abstract and decontextualized. To remedy this, analogies may be used to help the students better grasp the foreign, abstract concept that is grammatical knowledge. Analogies help students utilize their contextual knowledge, leaning on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knowledge to better relate to these concepts, and therefore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studying the phase where the grammatical knowledge is transposed in the midst of being taught, the study locates these elements as core factors that cause the transposition: the textbook,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It will analyze the transposition of grammatical knowledge through analogy through textbook, while also observing the concept recognition of grammatical education subjects to find effective ways to utilize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y. Chapter III involves a report on observing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ies through a thorough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used for current middle-school students. The standards used for analysis are the following: 1) on grammatical units that includes analogies, 2) on structural usage of analogies, 3) on types of analogies used, 4) on the actual usage of analogies, 5) on how the shared traits of analogies and grammatical knowledge are being presented, and 6) on the role analogies played in the transposi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states that overall,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ies was simply not used much, and only in specific sections were the analogies utilized.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analogies were most often used in the introduction section in the form of visual images to convey the grammatical information. Rarely was there a textbook that clearly used the term analogy, and most analogies were used without much of an explanation, a classic case of rudimentary, surface-level usage of analogies. The usage of analogies weas heavily concentrated on aiding the students in better “understanding” the grammatical knowledge. Chapter IV handles the analysis of the recognition of concept recognition of grammatical education subjects based on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ies, with the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10 teachers and 36 students. There were three main questions designated for the teachers: 1) Have you ever explained grammar using analogies? If so, can you give us the details on how you implemented it? 2) What do you think is the reason why analogies should be used in grammar classes? 3) When you are teaching grammar in school, why did you feel it was difficult implementing analogies into your lecture? The resulting data showed that 60% of the teachers have incorporated analogies into their lecture, providing their own unique ways of implementing them. 80%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nalogies in incorporating into their grammar curriculum, and felt positive about how the analogies aid in students having an easier tim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grammar and therefore taking a liking to the class in general. As for the teachers that expressed pessimism in incorporating analogies into their lecture, some of the reasons were rooted in their own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concept, while others preferred a more traditional grammar program as opposed to incorporating “extra” elements into their curriculum. As for the students, there was one main question that was asked in the interview: If you were to choose a textbook that consisted of analogies, and a textbook that consisted of fundamental concepts, which would you choose, and why? The resulting data showed that 52% of 36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survey selected the textbook with analogies, with reasons ranging from “the book being fun to read,” “easier to remember,” “the book is less daunting to study,” to “I feel like I can concentrate on my studies better with these books.” As for the students that selected the textbook that were based on fundamental concepts, the students were universal in their reasoning: “I feel like this book helps me better prepare for the exam.” Chapter V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nalogies in grammatical education as proven in the previous survey, and the directions the development of this method should take for maximum effectiveness. The resulting study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y: one for how to select a proper grammatical education material to be used for middle school education, one for how to present the material, and one for how to draw out the methods for grammar instructors for maximum effectiveness. In short,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ffective side of implementing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ie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specifically delving into how these analogies can be utilized for improvement in grammar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can be construed as the first of its kind in focusing on the didactical transposition through analogie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schools, and its importance can be stated in that it offered a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teachers currently face in clearly conveying the grammatical knowledge from instructors to students, by using analogie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and therefore offering a more clear path to better understanding the difficult concept of Korean Grammar.;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문법교육에서 다루고 있는 학문적 지식이 국어 교과서와 문법 교사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어떻게 변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교사와 학습자 사이의 지식 소통 과정 단절이라는 문법 교육의 문제는 문법 지식이 학습자에게 추상적이고 탈맥락적인 지식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비유는 문법 지식과 같은 추상적이고 낯선 개념을 이해할 때 학습자의 맥락적 지식을 활용해 문법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학습자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비유는 새로운 문법 지식을 학습자 스스로 내면화하고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문법 지식의 변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인 ‘교과서’와 ‘교사’ 그리고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여, 비유를 활용한 문법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올바른 비유 활용 교수학적 변환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Ⅲ장은 중학교 전체 학년의 국어 교과서 분석을 통해 비유 활용 교수학적 변환 양상을 조사했다. 분석한 기준으로는 1)비유가 활용된 문법 단원별 분석, 2)비유의 구성 단계별 분석, 3)비유의 유형별 분석, 4)비유의 언급 유무 분석, 5)비유와 문법 지식 개념 간 대응 정도 분석, 6)비유의 역할 분석을 토대로 분석을 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비유를 통한 교수학적 변환의 비중이 크지 않았고, 특정 단원 내에서만 비유가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비유는 도입부 단계에서 제시되는 경우가 많았고, 대부분 그림 유형을 통해 문법 지식을 비유로 변환하고 있었다. 비유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교과서는 드물었으며, 비유와 문법 지식개념 간 대응 정도는 특별한 부연 설명 없이 1차원적으로 대응시키는 ‘단순 비유’의 비중이 높았다. 비유의 역할은 대부분 문법 지식을 쉽게 ‘이해’ 하는데 집중되어 있었다. Ⅳ장은 비유 활용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문법 교육 주체의 인식을 조사한 것으로 10명의 현장 교사들의 인터뷰와 함께 36명의 학습자 인터뷰를 각각 진행하였다. 먼저 교사 인터뷰의 주요 질문은 세 가지로 1)비유를 활용하면서 문법을 설명한 경험이 있는가? 구체적인 사례가 있다면?, 2)문법 수업을 할 때 비유 활용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3)학교 현장에서 문법을 설명할 때, 비유를 활용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의 질문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60%에 해당하는 교사가 비유를 활용하며 수업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을 하였다. 80%의 교사가 문법 교육에서 비유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비유를 활용할 때 학습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갖고 수업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다. 반면 비유 활용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갖는 교사들의 경우 교사 자신의 전문 지식 수준 부족과 문법은 문법답게 가르쳐야 한다는 전통적인 교육관 등의 이유로 문법 수업에서 비유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답변을 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 인터뷰의 주요 질문은 한 가지로 1)비유적인 표현으로 구성된 교과서와 개념 정리 위주의 교과서 중 내가 배우고 싶은 교과서를 선택하라면?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의 질문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36명의 학습자 중 52%가 비유적인 교과서를 선택하였고, 그 이유로 ‘재미있고, 오래 기억이 날 것 같고, 부담 없고, 잘 집중할 수 있을 것 같다’ 등 다양한 이유로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반면 개념정리 위주 교과서를 선택한 학생들은 ‘시험 대비용으로 적당하다’라는 공통된 이유로 교과서를 선택하고 있었다. Ⅴ장은 Ⅲ, Ⅳ장에서 살펴보았던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올바른 비유 활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비유를 활용한 교수학적 변환의 방향으로 ‘중학교 문법 교육 내용 선정 방향’, ‘문법 교육 내용의 제시 방향’,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도출 방향’의 세 가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각 방향의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문법 교육에서 비유를 활용한 교수학적 변환이 갖는 효과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구체적으로 그 비유 활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 문법 교육에서 비유를 활용한 교수학적 변환 양상을 연구한 첫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문법 교육의 교사와 학생 간 지식의 소통 단절이라는 문제를 비유를 활용한 지식의 변환 과정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2 Ⅱ. 비유를 활용한 교수학적 변환의 이론적 전제 10 A. 문법교육의 교수학적 변환 10 1. 교수학적 변환 개념 10 2. 교수학적 변환의 경로와 경로별 주체 11 3. 교수학적 변환과 교수적 내용지식 13 4. 교수학적 변환과 지식의 파손 15 5. 문법 교육에서 교수학적 변환의 필요성 16 B. 문법교육의 교수학적 변환과 비유 17 1. 비유를 활용한 교수학적 변환의 배경 17 2. 교수학적 변환으로의 비유 18 3. 비유를 활용한 교수학적 변환의 효과 20 Ⅲ.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비유 활용 교수학적 변환 양상 분석 22 A. 비유를 활용한 국어 교과서 분석 22 1. 조사 대상 22 2. 조사 기준 23 3. 조사 결과 및 논의 27 Ⅳ. 비유 활용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문법 교육 주체의 인식 분석 69 A. 교사 인터뷰 69 1. 조사 대상 69 2. 조사 방법 70 3. 조사 결과 및 논의 71 B. 학생 인터뷰 84 1. 조사 대상 84 2. 조사 방법 86 3. 조사 결과 및 논의 87 Ⅴ. 중학교 문법 교육에서의 비유 활용 교수학적 변환의 방향 모색 96 A. 비유 활용 중학교 문법 교육 내용 선정 방향 96 1. 비유 활용 국어 교과서를 통해 적절한 문법 교육 내용 도출 96 2. 교사의 비유 활용 경험 사례를 통해 적절한 문법 교육 내용 도출 97 B. 비유 활용 중학교 문법 교육 내용의 제시 방향 99 1. 적절한 '글과 그림 유형' 비유 제시 99 2. 명확한 대응 관계를 통해 비유 제시 100 3. 적절한 순서로 비유 제시 102 C. 비유 활용 중학교 문법 교수학습 방법의 도출 방향 104 1. 학습자의 맥락적 지식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104 2. 학습자의 주체적 참여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106 Ⅵ. 결론 108 참고문헌 111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611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비유를 활용한 중학교 문법 교육의 교수학적 변환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using analogies-
dc.creator.othernameJeong, Yeon Ju-
dc.format.pagex,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