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0 Download: 0

화법교육 내용으로서의 반어법 연구

Title
화법교육 내용으로서의 반어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rony as the Contents of Pragmatics Education
Authors
이송이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반어법은 서사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일상적인 담화에서도 자주 사용되며 폭넓게 존재하는 현상이다. 지금까지의 반어법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문학적인 표현 기법으로서의 반어법에 초점을 둔 연구는 많으나,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라는 목적 하에 화용론적 측면에서 반어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반어법 교육의 가능성과 의의를 실제 언어생활 속에서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반어법을 교육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실제 대화 장면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을 전사하고 분석하여 반어법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반어법에 바탕을 둔 화법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앞서 반어법의 전제적인 이론을 살펴 반어법에 대한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반어법의 범주와 개념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반어법은 발화의 축어적인 의미와 내재적인 의미가 반대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재정의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반어법의 특징을 파악하여 반어법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반어법과 드라마의 대화 장면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을 전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귀납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반어법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대화 상황을 전제로 하는 연구로서 대화 대상자나 대화의 내용 등을 설정하지 않고, 아무런 제약을 가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인 반어법이 나타나는 대화 자료를 분석 해 본 결과 크게 ‘의도적인 반어법’과 ‘관습적인 반어법’으로 분석 기준을 도출할 수 있었다. 반어법을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반어법을 사용하는 ‘의도적인 반어법’의 기준을 세분화하여 ‘강조’, ‘질책·훈계·명령’, ‘비꼼·빈정거림’, ‘거리두기’, ‘의구심’, ‘유머’의 6가지 기능으로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여 반어법이라고 인식하지 못하면서도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관습적인 반어법’은 ‘제안’, ‘동의 구함’, ‘칭찬’의 기능인 3가지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설정한 분석 기준에 따라 실제 대화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을 분석하여 대화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의 양상과 빈도를 살펴보았다. 대화에서 나타나는 반어법의 양상을 대화에서 반어법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기능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일상의 대화에서 반어법은 상당히 자주 쓰이며 대화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꼼과 빈정거림의 기능을 수행하는 반어법 이외에는 대체로 반어법은 의문형의 형태로 실현되며, 의도적인 반어법뿐만 아니라 관습적인 반어법 역시 자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반어법은 기본적으로 강조의 기능을 가지지만, 강조의 기능에 다른 기능이 더해져 다른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의외로 유머의 기능을 수행하는 반어법은 실제 대화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인 반어법의 대화 자료에는 대화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연령이나 성별, 사회적 위치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학습자와 유리된 지식이 아니라 실제 학습자가 일상의 대화에서 쉽게 접하고 사용하고 있는 대화를 바탕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는 추상적이고 모호한 언어의 세계에서 일상 언어가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하여 언어 사용자의 표현방식을 설명하고 이를 명시화는 데 있어 기초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주제어: 반어법, 담화, 반어법의 양상, 일상 언어, 화법교육, 반어법의 개념, 반어법의 특징, 반어법의 범주, 반어법 교육, 반어법의 기능, 의도적인 반어법, 관습적인 반어법;Irony is not only a common phenomenon found in narratives but also a phenomenon which widely exists and is commonly used in everyday discourse. In the history of the research on irony, there has been numerous studies focusing on the irony as one of the literary expressive technique, whereas there is still much to be desired in the studies on irony in pragmatic aspects under the purpose of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ommunication skill. This research has started with this manner of critical mind and went forward examining the promise and significance of irony education within daily language use circumstance. Furthermore, it went on transcribing and analyzing irony language situations which appeared in practical conversation scene to lay the foundation for reception of irony in educational way. At last, it suggested the direction that pragmatic education based on ironic language use would go forward desirably. Before presenting the full-dress study, the prerequisite theories and the performance of established researches on the subject irony would be examined first, and then the categories and general ideas of irony will be arranged. Based on that, this research made a redefinition of irony as a way of language use in which verbatim meaning and inherent meaning are in inverse relationship. Moreover, it set the new standard for irony analysi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eculiarity of irony in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basically transcribed irony language uses which appeared in daily discourse and conversational situation in TV drama. With the scripts, analysis of the aspects of irony was done in inductive manner. Since this research worked on the ground of actual conversational situation, it did not set specific participant group sample or the contents and tried to see how diverse aspects of irony could appear under unaffected conditions with no control or restrictio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onversation data which contains ironic language use, which is the exact object of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bring the standard for analysis subdivided into two major sections of ‘intentional irony’ and ‘conventional irony.’ ‘Intentional irony,’ which is used intentionally to carry certain effect, was subdivided into 6 different features of standards such as ‘emphasis,’ ‘criticism·admonition·demand,’ ‘sarcasm·cynicalness,’ ‘keeping distance,’ ‘apprehension,’ and ‘humor.’ In addition, ‘conventional irony,’ which is customarily used without recognition the fact that it’s a kind of irony language due to it has been used for so long commonly, was subdivided into 3 standards of ‘suggestion,’ ‘asking for agreement,’ and ‘compliment’ features. According to these ready-set standards for analysis this study was dedicated to analyse the ironic languages in actual discourse and research the differences of aspects and frequency within those features of irony that arise in practical convers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irony language in daily conversa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different features focusing on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is made by the irony in the individual situations, it was clearly found that irony is considerably used in common in everyday conversation and that it is performing various features in discourse. Moreover, it was found that, except the irony which performs the feature of sarcasm and cynicalness, ironic language generally is brought with interrogative forms and conventional irony is also commonly being used besides intentional irony. Furthermore, it was appeared that irony basically has the quality of emphasis but usually other qualities are attached to the emphasizing quality and they performs different features in many cases. At last, it was found that, surprisingly, irony with humor quality is not as commonly used as other qualities are in practical conversational situation. This research has deficiency in that its conversation data was not selected considering with the recogni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age, sex, or soci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 conversational situations which can affect the result. However, it is still meaningful in that it has used the discourse data which does not alienate the learners but include them in the manner of its generality and accessibility. As studying how everyday language is being used in practical in the abstract and ambiguous language world, this research looks forward to be the foundation to demonstrate and clarify language users’ expression style. Key points: Irony, discourse, the aspects of irony, daily language, pragmatic education, the concept of irony, the characteristics of irony, the category of irony, irony education, the feature of irony, intentional irony, conventional iron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