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8 Download: 0

문법 교과서 텍스트 범주화 체계를 통한 문법 교과서 텍스트의 사적 변천 연구

Title
문법 교과서 텍스트 범주화 체계를 통한 문법 교과서 텍스트의 사적 변천 연구
Other Titles
A Historic Study of the Korean Grammar Textbook Texts by Categorizing Texts Based on Function
Authors
서유나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법 교육내용의 표상체‘로 텍스트를 규정하고, 이러한 관점에 따라 문법 교과서를 구성하는 텍스트의 표상적 특성의 사적 변천 과정을 확인하는 데 있다. 문법 교과에서 선정한 교육내용은 교육과정을 통해 제시되고, 이는 다시 교과서를 통해 구체화되어 학습자에게 전달된다. 이 때 학습자에게 이것을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의 문제는 교수⋅학습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논의점이다. 같은 교육내용을 어떻게 표상화 하느냐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의 전반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국어교육과 문법교육에서 텍스트는 ’문장보다 큰 문법단위‘의 차원에서 다루어져 왔고, 소위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이라 불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그 논의의 방향에 전환을 맞게 되었다. ’문법 단위‘가 아닌 ’분석 단위‘로서의 텍스트를 상정하여, 교육의 대상이 아니라 교육의 배경으로서 텍스트를 규정하였다. 이는 곧 인간에 의해 언어가 사용되는 실제 생활 모습을 더욱 정교히 담을 수 있는 대상으로서의 텍스트가 지니는 본질적 기능에 주목한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을 이어받아, 교육내용을 표상하는 형식적 실체로서의 텍스트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는 제4차 교육과정에 의해 만들어진 첫 국정 <문법> 교과서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만들어져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독서와 문법>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문법 교육내용을 표상하고 있는 텍스트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이들이 교과서 내에서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범주화하고,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텍스트들이 어떠한 표상 특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또, 각 교과서의 표상 특성을 정리하여 그 변천 양상을 통시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은 텍스트를 활용한 교육내용의 표상화의 과거부터 현재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거와 현재를 확인하는 것은, 앞으로의 교과서에서 텍스트가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 기능에 따라 교과서 텍스트를 범주화하고, 그 표상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문법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이 표상화 되어 있는 ‘본문 텍스트’와 활동을 위해 제시되는 ‘활동 텍스트’에서 가시적인 표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4차부터 독서와 문법 교과서의 문법 교육내용을 표상하고 있는 텍스트들의 표상 특성의 사적 변천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4차부터 6차까지의 교과서 텍스트들은 고정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으나, 7차 <문법> 교과서부터 표상 특성의 다양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독서와 문법>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 검토를 통해 표상 특성의 다양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경향을 이어나가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과서 개발 과정을 다룬 연구를 통해 향후 교육내용의 표상화 과정에서 보다 학습자의 실생활에 근접할 수 있는 다양한 우연적 자료가 활용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요구를 분석한 연구를 통해 학습 내용의 구조적 제시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비연속적 · 복합적 텍스트가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실제 <독서와 문법> 교과서에서 이러한 경향에 따라 교육내용을 표상하고 있는 모범적 사례를 선정하여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gulate text of 'representamen of literary education contents' and to investigate historic transition of representamen characteristics of text that consisted of literary textbook. The contents of literary education were presented at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hich implemented in literary textbook were transferred to learners through textbooks. So 'How to give' contents to learners took important role in both teaching and learning. This was because representamen method of same educational contents could control overal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exts of not only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also literary education were made at the level of 'grammar unit larger than the sentence' so far, and 2007 curriculum that was called 'text focused curriculum' made change of direction of the discussion. The curriculum introduced text that was not 'grammar unit' but 'analysis unit', and regulated it as educational background not an object of the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curriculum focused on inherent function of texts that describe men's actual lives elaborately by the language. This study investigated texts that were formal substance re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exts of grammar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that was made from the first state-designated 'grammar' textbook of the 4th curriculum to 2009 curriculum. The study made category depending upon function of the texts in the textbook and investigated representamen of each text. And, the study kept representamen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in order to investigate diachronic change. So, the study examined representamen of educational contents using texts from past time to present time. Investigation into past time and present time was likely to give implication of the use of texts of textbooks in the future. The findings were: Frist, textbook texts had category depending upon text functions to investigate representamen characteristics. The representamen characteristics made visual change at not only 'body text' having representamen of the knowledge but also 'activity text' for activitie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historic change of representamen of the texts that represented grammar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from the fourth curriculum. Textbook texts from the fourth curriculum to the sixth curriculum seemed to be fixed, and representamen was rapidly diversified from the 7th curriculum 'grammar' textbook to continue even at 'reading and grammar'. Third, representamen was diversified at investigation into textbooks to discuss continuity of such a trend. At the study on textbook development process, various kinds of incidental materials should be used to investigate actual lives of learners at representamen process of educational contents. At the study on learner's learning motives and demand, learning contents should be structurally presented and discontinuous and composite texts should be presented. And, the study gave model examples that represented the trend at 'reading and grammar' textboo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