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3 Download: 0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논설 텍스트 쓰기에 미치는 영향

Title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논설 텍스트 쓰기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ext Structure Learning with Application of a Graphic Organizer upon Persuasive Writing
Authors
석영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 구조 학습의 효과는 여러 분야에서 입증되고 있는데 텍스트 구조 학습 전략 중 본 연구에서는 도해조직자를 활용하여 논설 텍스트 쓰기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최근 급증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네 가지 언어 영역 중 특히 쓰기를 어려워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설 텍스트 쓰기의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학습자의 논설 텍스트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논설 텍스트 쓰기 평가 기준의 세 가지 세부 범주(내용, 구성, 기능) 중 어느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논설 텍스트 쓰기 평가 기준의 여덟 가지 세부 항목(주제의 선명성, 내용의 일관성, 논증의 타당성, 결론의 적절성, 단락 구성, 논리성, 정체성, 설득력) 중 어느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설계하고 그 절차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논설 텍스트 구조가 반영된 도해조직자를 작성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쓰기 능력이 우수할 것이라는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한국어를 학습중인 4급 학생 26명(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후 학생들이 생산한 쓰기 결과물을 본 연구에서 마련한 논설 텍스트 평가 기준을 토대로 경력 5년 이상의 한국어 교사 2명이 채점하였다. 4장 결과 및 논의에서는 실험에 대한 결과를 밝히고 그에 대한 해석을 기술하였다. 실험 결과 도해조직자를 활용하여 텍스트 구조를 학습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논설 텍스트 쓰기 능력이 우수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밝혔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해조직자를 활용하여 텍스트 구조를 학습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논설 텍스트 쓰기 능력이 우수하였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효과크기도 큰 것으로 나타나 도해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학습이 논설 텍스트 쓰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논설 텍스트 쓰기 평가 기준의 세부 범주별로 수업 효과를 살펴본 결과, 내용, 구성, 기능의 세 가지 범주 모두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효과크기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범주별로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기능>구성>내용 순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논설 텍스트 쓰기 평가 기준의 세부 항목별로 수업 효과를 살펴본 결과, 여덟 가지 항목 중 내용의 일관성, 결론의 적절성, 단락 구성, 논리성, 정체성, 설득력의 여섯 가지 항목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주제의 선명성, 논증의 타당성 두 가지 항목에 있어서는 실험집단의 점수가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여섯 가지 평가 항목의 효과크기를 비교하면 정체성>내용의 일관성>논리성>결론의 적절성>설득력>단락 구성 순으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아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논설 텍스트 쓰기를 위한 텍스트 구조 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를 실험을 통해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he text structure learning with application of a graphic organizer upon Korean language learners' persuasive writing. The effect of text structure learning is being proved in many fields. St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a plan for learning persuasive writing by utilizing a graphic organizer and to examine its educational effect, among text structure learning strategie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d the necessity and objective of research. It mentioned on importance of persuasive writing based on a prior research as saying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 learning objective, who grew rapidly in these days, feel difficulty especially in writing among four language areas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Chapter 2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research of this study and suggested research problem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problems that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the aim was to examine which influence the text structure learning with application of a graphic organizer has upon Korean language learners' persuasive writing ability. Second, the aim was to examine upon which part the text structure learning with application of a graphic organizer has influence among three kinds of detailed categories (contents, composition, function) for the standard of the persuasive writing evaluation. Third, the aim was to examine upon which part the text structure learning with application of a graphic organizer has influence among eight kinds of detailed items (clarity in topic, consistency in contents, validity in argumentation, appropriateness in conclusion, paragraph composition, logicality, identity, persuasive power) for the standard of the persuasive writing evaluation. Chapter 3 designed an experiment for verifying research problems, which were presented in Chapter 2, and described on its procedure.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as saying that the experiment with preparation of graphic organizer of having been reflected the persuasive structure will be more excellent in writ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opposite cas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argeting 26 students (13 peop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13 people for the control group) with level 4 who are presently learning Korean language 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ttached to university. Two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career marked the writing output that students produced after experiment, based on the standard for essay text evaluation, which was arranged in this study. The result and discussion in Chapter 4 clarified the outcome on experiment and described analysis on it. As a result of experiment, the experiment of having learnt text structure by utilizing a graphic organizer was more excellent in persuasive writ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opposite case. In conclusion of Chapter 5, it summarized the contents of research and clarified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ummarizing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of having learnt text structure by utilizing a graphic organizer was more excellent in persuasive writ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in opposite cas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was indicated to be big even in effect size. Thus, the text structure learning with application of a graphic organizer could be known to have shown positive effect on persuasive writing.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lass effect by detailed category of the standard for persuasive writing evaluation, all the three categories in contents, composition, and function were shown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Even effect size was indicated to be big. Comparing the effect size by category, the effect was indicated to be bigger in order of function > composition > content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lass effect by detailed category of the standard for persuasive writing 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control group as for six kinds of items in consistency, appropriateness in conclusion, paragraph composition, logicality, identity, and persuasive power among eight items. However, in two items of the clarity in topic and the validity in argumentatio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shown in the face of which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control group. Comparing effect size of six evaluation item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effect was indicated to be bigger in order of identity > consistency in contents > logicality > appropriateness in conclusion > persuasive power > paragraph composi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 sense of being a research that proved the positive effect of text structure learning for persuasive writing, which has not been progressed active research ye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experi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