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9 Download: 0

역량기반 교육의 학교 적용 사례 탐색

Title
역량기반 교육의 학교 적용 사례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uthors
최은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world has been changing rapidly into the age of information, and the interest competency-based education that teaches core competency is increasing. This study began because of discrepancies i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he actual impac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Korea, an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chools, school culture, and the national curriculum in regards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study will first discuss how schools are currently practic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for students, and then consider the potential issues od adapting competency-based systems in schools.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a qualitative method and data was collected in three schools: an elementary school, a junior high school, and a high school. Data was analyzed through triogonometric verification for accuracy, and all three schools showed improvement in three fields: contents, evaluation and management. The elementary school revised its curriculum to integrate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educate the students in the 12 core competencies, such as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tivity. The junior high school focused its goals on Altruistic mind, creative knowledge, and a global leadership. The schools also transferred topic matter from certain subjects into other subjects. The high school implemented a cross curricular program. All three schools carried out a student-centered, process-based instruction and performance assesment was stressed. While all three schools did not alter the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the elementary school adjusted their class schedules for a competency-based education approach. However, through the implem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se three schools, there were a couple of issues that occurred. First,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blems with the original programs, the basis and reasoning for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program were unclear. Second, the three schools concurred that they were unsure whether competency-based education successfully improved their schools in general. Third, while the schools were able to evaluate their students based on test scores, they were not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tudents would be able to apply what they had learned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le there were issues that occurred in the three schools, there are still a few thing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irst, the national curriculum can be innovated in a way that broadens the range of subjects and materials studied and expands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students. Second, a more cooperative learning culture between the teachers,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Lastly, competency-based education should create a learning culture where students not only study, but also apply the lessons they throughout their lives. Alth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still in its developing stages, the potential for the system is abundant. Therefore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education throughout the schools in Korea, the evaluation system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need to be improved, training programs to specialize teacher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need to be prepared, and the nation should reach agreement to see the value of this type of education.;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역량 개념, 핵심역량 선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성 등을 이론적 수준에서 논의하는 데 그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의 학교 현장에 적용된 역량기반 교육의 구체적 사례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는 학습자의 핵심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역량기반 교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가? 둘째, 역량기반 교육을 학교 교육에 적용시키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쟁점은 무엇인가? 사례 분석을 위해 역량기반 교육을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는 A 초등학교, B 중고등학교, C 고등학교를 선정했다. A 학교는 혁신학교로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을 교내외에 천명한 학교이고, B 중고등학교와 C 고등학교는 선행연구에서 역량기반 교육의 사례로 소개되었던 학교들로서 특히 역량의 계발을 교육목표로 강조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운영이나 수업·평가 방법 등에서 역량중심 교육의 특징을 보여주는 학교들이다. 이들 사례학교들은 모두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역량의 증진을 중시하고 있다. 이들 학교가 선정한 핵심역량을 보면, A 초등학교의 경우는 총 12가지로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기초학습능력, 자기관리능력, 시민의식, 범지구적 소양, 진로의식, 문화감수성, 생태감수성이고, B 학교는 학교 교육철학이자 목표인 이타적 품성, 창의적 지식, 국제지도자로 구성된 3가지 핵심역량을, C 학교는 OECD에서 연구 발표한 사회적 상호작용, 자율적 행동, 지적도구 활용 등 3가지를 선정했다. 연구결과 세 학교의 역량기반 교육 적용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측면, 수업과 평가 측면, 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 특이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 측면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진 해외 사례학교와 비슷하게, 교과기반 역량목표 재구성, 역량기반 범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등의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교육과정 재구성 방식은 역량기반 주제중심 교과통합으로서 주제와 역량을 중심에 놓고 그와 관련된 교과와 교육내용을 재구성하여 핵심역량을 획득하거나 증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 학교는 공통의 재구성 절차를 통해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주제와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교육을 계획을 수립해서 지도하고 있다. 이 때 학년별 주제는 나와 주변에서 시작해서 점차 시공간을 넓혀 세계, 지구, 역사로 확장시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교과기반 역량목표 재구성의 경우는 교과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큰 변화 없이 교과 내용 안에서 부분적으로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또는 역량목표를 위해 일부분만 다른 교과, 다른 상황으로 전이시키는 방식으로 역량기반 교육에 접근한다. 사례 학교 중에서 주로 B 중고등학교가 이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학교가 추구하는 목표인 세 가지 핵심역량을 교과 전반에서 구현하고자 교과 교사는 핵심역량 영역에 따라 하위 학습 목표를 수립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핵심역량을 발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고안한 후 평가한다. 교과의 학습목표뿐만 아니라 전이된 교과의 학습목표와 활동까지 연계하기에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는 교사의 의견이 많았다. 이어서 역량기반 범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은 기존의 교과 교육의 틀을 넘어서서 새로운 형태의 교과 또는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경우로서 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이나 고교 전문 교과시간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사례학교 중에서 C 학교는 범교과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생애핵심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B 학교는 과제연구를 범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개설했다. 이들 범교과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은 기존의 내용중심인 범교과 교육을 역량중심으로 교육하는 의의가 있으며 또한 공통적으로 대학 전형의 하나인 입학사정관제를 염두에 두고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로,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 나타난 특징을 보면, A, B, C 세 학교 모두 공통적으로 프로젝트 학습을 토대로 학생중심, 과정 중심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수업 속에서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맥락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에서도 모두 형성평가와 수행평가가 강조되고 있었다. 셋째, 학교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A 초교만이 교과별 시수 편성 및 시간표 편성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외의 다른 학교는 보통의 다른 학교의 운영과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세 학교의 역량기반 교육 적용 사례는 그 운영 과정에서 몇 가지 쟁점을 가져왔다. 첫째로, 역량기반 교육을 통해서 실제로 역량이 계발되었는가 하는 데 대한 쟁점으로, 이에 대해서는 사례학교들도 확신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었다. 특히 역량기반 교육에서는 많은 부분 수행평가를 통한 평가가 이루어지지만 역량에 대한 평가를 하지 못하는 한계에 대하여 학교 스스로 우려를 표명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 이들 사례들이 과연 다른 일반 교육과 차별화된 역량기반 교육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으로서, 초기 도입과정에서는 특히 역량교육이 정확하게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미흡하여 더욱 큰 논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역량기반 교육의 학교 적용 사례에 대한 쟁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역량 중심 교육의 정착을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개혁에서 국가적으로 합의된 넓은 범주의 역량을 규정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량기반 교육은 교사와 교사, 학생과 학생, 교사와 학생 간의 협력적인 학습문화를 불러 일으켜 학교문화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은 학교가 평생 지속가능한 학습을 위한 시발점으로 학습 공동체를 구성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이끌어 줄 수 있다. 역량기반 교육은 이제 시작 단계로서 영략기반 교육의 성격과 목적을 분명하게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의 교육에 대한 합의, 평가체제의 확립, 교사교육을 통한 전문성 증진 등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