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권예은-
dc.creator권예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344-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investigat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lexical bundle uses between Korean and native EFL teachers. Lexical bundles are discourse building blocks and, thus, knowledge on lexical bundles could facilitate proficiency levels for L2 speakers. The study attempted to find out any similar and different features on lexical bundle usages by L2 and L1 speakers, particularly to a register related to teacher talk in a foreign language class. The data was collected by recording lectures from four Korean EFL teachers and five native EFL teachers. The total number of words that composes the resulting EFL teacher corpus is 247,398. The lexical bundles from the EFL teacher corpus were visualized by extracting frequently occurring, three to five-word sequences using WordSmith 6.0, and they were functionally analyzed. Extracted lexical bundles were sorted in order to remove both idiosyncratic usages of each participant speaker and topic influences of lexical bundles from different textbook topics since both might inflate the numbers of lexical bundles that were appropriate only to special occasions. The finalized lexical bundles were functionally classified into four main categories: referential expressions, stance expressions, discourse organizing expressions, and others. Frequency and percentage of lexical bundles between the two corpora were compared. Among the four main categories, stance expressions accounted for the greatest number of lexical bundles in both corpora, and the top-ten lexical bundles in each sub-category of stance expressions were qualitatively examined to observe any over or under use examples of lexical patterns when the lexical bundle list of Korean EFL teacher talk corpus was compared to that of native EFL teacher talk corpus. To investigate more distinct differences between two corpora, key lexical bundles were structurally analyzed for all functional categories in detail.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aw frequency of lexical bundles employed in Korean EFL teacher talk were more than six times that of the native EFL teacher corpus. The difference in frequency, however, had reduced dramatically to just under two times over native EFL teacher corpus after the sorting procedures, which indicates that Korean EFL teachers employ idiosyncratic usages of lexical bundles than the native EFL teachers. Functional analysis of lexical bundles demonstrated that both corpora predominantly used stance expressions, with over fifty percent usage, suggesting that an EFL class discourse might be in between a classroom discourse and a conversational discourse in academic settings. Examples from stance expressions revealed over-and under-uses of lexical bundles in obligations and directive, epistemic stance, and evaluation expressions of Korean EFL teachers. Those over- and under uses of lexical bundles were considered to indicate the difficulty in specific lexical bundle usage that Korean EFL teachers encounter. The findings from key lexical bundles showed that Korean EFL teachers repeatedly used a limited number of lexical bundles, which inflated the total number of lexical bundle usages. Among the top-ten key lexical bundles, there were more lexical bundles categorized into stance expressions, which also showed that Korean EFL teachers overly relied on a few uses of stance expressions. Analyzing key lexical bundles showed that more than fifty percent was clause-based key lexical bundles, and verb-phrase based lexical bundles were the most among phrase-based lexical bundle categories. Despite the structural analysis limited to key lexical bundles, structural features of key lexical bundles suggest that EFL teacher corpus shows similar features of lexical bundles in conversations rather than academic spoken or written discours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First, participants had taught classes with different natures and features. Second, the number of female participants dominated the number of male participants. Lastly, the size of EFL teacher corpus was not large enough to draw decisive conclusions to represent Korean EFL teacher and native EFL teachers in Korea. Extracting meaningful units of lexical bundles for pedagogical purposes can be considered for the further study since most lexical bundles are not grammatically complete units. Implications of the study introduce awareness raising activities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different lexical bundle usages from the present study. In addition, how to use EFL teacher corpus is introduced by using online concordance program Lextuto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영어 교사와 원어민 영어 교사의 어휘다발 사용에 있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9명의 교사가 참여하였고 총 60시간 분량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을 녹음한 후 한국인과 원어민 영어 교사 코퍼스를 구축하였다(약 25만 단어). 워드스미스 6을 사용하여 3, 4, 5단어로 이루어진 어휘다발을 추출하였고 기능적으로 분석하였다. 한 개인에게 국한된 어휘 다발 사용이나 주제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워드스미스에 의해 추출된 어휘다발 중 한 교사에서만 추출된 어휘 다발은 제외되었다. 어휘다발을 기능적으로 범주화한 후에 기능별로 빈도수와 분포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4개의 주요 기능 중 양태표현(stance expressions) 기능에서 가장 많은 어휘 다발의 수가 추출되었는데 양태표현 기능의 어휘다발이 한국인 교사 코퍼스와 원어민 영어 교사 코퍼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0%를 넘었다. 양태 표현 기능은 6개의 하부 영역으로 나뉘는데, 양태 표현 각 하위 영역 중 상위 10개의 어휘 다발의 목록을 콘코던스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두 코퍼스 간의 어휘다발목록을 비교하여, 상대 그룹에 비해 통계적으로 빈번하게 많이 사용된 핵심 어휘 다발을 추출하였고, 역시 상위 10개의 핵심 어휘다발을 중심으로 두 그룹간의 어휘다발 사용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코퍼스 분석 결과, 워드스미스로 추출된 한국인 영어 교사의 어휘다발의 수는 원어민 영어 교사의 6배였으나 한 교사의 데이타에서 나온 어휘다발을 제외한 후에 빈도수의 차이는 크게 줄어 2배 차이 미만이 되었다. 이는 한국인 영어 교사 집단이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어휘다발의 수가 원어민 영어에 비해 월등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능적 분석을 통해서 두 집단 공통으로 양태 표현 영역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의 어휘다발일 추출되었고, 전체 어휘 다발 중 50% 이상이 양태표현 영역에서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비율은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는 원어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 담화 및 대화문을 주로 사용하는 담화(예를 들어, 그룹 토의 및 교수 면담 등)에서 사용되는 양태 표현 비율과 비교해 볼 때, 그 중간 정도 되는 분포라 할 수 있다. 즉 외국어로 배우는 영어교실 담화는 일반 교실 담화보다는 양태 표현을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고, 그룹 토의 및 교수 면담과 같은 대화문에 비해서는 양태 표현의 비율이 다소 적은 비율이었다. 양태 표현의 하위 영역 중, '의무/지시'‘인지' 및 '평가' 표현에서 두 집단간의 뚜렷한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한국인 영어 교사가 어려움을 겪는 어휘다발의 구조적, 의미적 양상을 구체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었다. 핵심 어휘 다발 목록을 통해 한국인 영어 교사가 제한된 수의 어휘다발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고 그 중 양태 표현에 속하는 어휘다발이 상위 10개의 핵심 어휘다발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미루어, 한국인 영어 교사가 일부 어휘다발을 과도하게 사용하여 양태 표현으로 범주화된 어휘다발의 총 빈도수를 증폭 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핵심 어휘 다발 목록의 구조적 분석 결과 절(clause)로 분류되는 어휘다발이 핵심 어휘 다발 목록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고, 구(phrase)로 분류되는 항목 중 동사구로 분류되는 어휘다발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구조적 분석이 핵심 어휘다발에만 한정되어 분석되었으나, 이러한 절과 구 중심의 어휘다발이 많이 사용된 것은 영어 교사의 어휘 다발이 학문 중심 구어나 문어체 보다는 일반 대화문에 가까운 구조적 특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한국인 영어 교사와 원어민 영어 교사가 가르친 과목의 성격이 다르다는 점과, 참여 교사 중 남성에 비해 여성 교사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는 점, 교사 언어 코퍼스의 규모가 비교적 작다는 점을 들어 언급했다. 향후 연구 방향으로 교육적 목적을 위해, 의미있는 어휘 다발 목록을 추출하는 것으로 제안했다. 연구의 시사점에서는 본 연구 결과로 제시된 한국인 영어 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의 상이한 어휘 다발 사용에 대해 몇 가지 의식 상승(awareness raising) 활동을 통해 명시적으로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고, 영어 교사 코퍼스를 Lextutor와 같은 온라인 콘코던스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Purpose of the Study 6 B. Significance of the Study 10 C. Research Questions 15 D. Overview of the Study 16 II. LITERATURE REVIEW 17 A. Teacher Talk Corpus 17 1. Corpus and Language Education 17 2. Teacher Talk Corpus 21 B. Lexical Bundles 23 1. Definition of Lexical Bundles 23 2. Studies of Lexical Bundles 26 a. Lexical Bundles of Novices and Experts in a Register 26 b. Lexical Bundles as a Possible Production Strategy 29 c. Studies on Making Lexical Bundle List 32 3. Key Lexical Bundles 34 C. Teacher Talk in Korean Contexts 37 1. Teacher Talk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 37 2. Korean EFL Educators: Korean EFL Teachers and Native EFL Teachers 39 3.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Implications in Korea 42 III. METHODOLOGY 50 A. Data Collection 50 1. The Corpora 50 a. Korean EFL Teacher Corpus 50 b. Native EFL Teacher Corpus 51 2. Transcriptions 54 B. Data Analysis 56 1. Analysis of Lexical Bundles 56 2. Analysis Procedures 57 a.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Lexical Bundles 57 b. Length of Lexical Bundles and Frequency Cut-off Point 61 c. Functional Analysis 62 d. Functional Category Description 63 3. Analysis of Key Lexical Bundles 76 a. Identification of Key Lexical Bundles of KET corpus and NET corpus 76 b. Structural Taxonomy of Key Lexical Bundles 80 IV. RESULTS AND DISCUSSION 84 A. Frequency of Lexical-Bundles in KET Corpus and NET Corpus 84 B.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Lexical Bundles in the EFL Teacher Corpus 87 1. Functional Distribution of Lexical Bundles 87 2. Lexical Bundles Usages with Contexts in Stance Expressions 93 a. Obligations and Directive Expressions 95 b. Epistemic Stance Expressions 107 c. Evaluation Expressions 117 C. Key Lexical Bundles in KET Corpus and NET Corpus 122 1. Functional Distribution of Key Lexical Bundles 127 2. Structural Analysis of Key Lexical Bundles 129 3. Key Lexical Bundles in KET Corpus and NET Corpus 132 a. Over used Lexical Bundle in KET Corpus 132 b. Exclusive-used Lexical Bundle in KET Corpus 139 c. Underused Lexical Bundles in KET Corpus 143 V. CONCLUSION 151 A.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151 1. Frequency of Lexical Bundles in KET Corpus and NET Corpus 152 2.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Lexical Bundles in KET Corpus and NET Corpus 154 3. Key Lexical Bundles in KET Corpus and NET Corpus 157 B.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161 C. Pedagogical Implications 164 REFERENCES 172 APPENDICES 190 Appendix A. List of 3 to 5 Lexical Bundles in Stance Expressions in KET Corpus 190 Appendix B. List of 3 to 5 Lexical Bundles in Stance Expressions in NET Corpus 194 Appendix C. Sample Transcript of KET Corpus 197 Appendix D. Sample Transcript of NET Corpus 199 Appendix E. Survey for Background Information of Participants 201 Appendix F. Course Descriptions of the Participants 203 Appendix G. Written Consent 205 Appendix H. Transcription Conventions 207 ABSTRACT IN KOREAN 2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0254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Lexical Bundle Analysis in an EFL Teacher Corpus-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Comparison between Korean EFL and Native EFL Teacher Talk-
dc.title.translated영어 교사 코퍼스 어휘 다발 분석 : 한국인 영어교사와 원어민 영어교사 교실언어 비교-
dc.format.pagexv, 21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