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4 Download: 0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Title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s of Classics Poetry by utilizing Educational Drama
Authors
정영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고는 <처용가>를 중심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즉, 학습자들이 고전시가에 대해 갖는 거리감을 줄이고 고전이 더 이상 화석화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닌 현재 학습자의 삶과 연관된 것으로 체험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고전시가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를 위해 교육연극을 활용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고전시가의 특성에 따른 교육연극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 후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고전시가를 연극화하기 위해서는 고전시가가 연극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그 연관성으로 첫째 향유맥락을 고려한 고전시가의 이해, 둘째 삶의 총체적 체험 및 체험의 공유를 통한 인식력 제고, 셋째 문학적의 상상력 극대화에 대해 언급하였다. 고전시가는 작품만 독립적으로 내려오지 않고 전승되는 문헌 속에 수용적 맥락 속에 담겨 있다. 전체 자료적 맥락 속에서 시가작품을 보는 환원주의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이해한다면, 고전시가에 대한 이해가 보다 온전해지리라 본다. 이 과정 속에서 학습자들은 고전시가가 단절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의 나를 구성하고 있는 것임을 알게 된다. 또한, 배경설화와 시가를 하나의 큰 텍스트로 본다면 설화의 연극화는 곧 해당 시가 작품의 이해에 다름 아니다. 본고에서 구체적인 작품으로 다루고 있는 <처용가> 역시 현대문학의 관점인 작품 중심적 관점에서 본다면 <처용가>는 8구체인 몇 줄의 내용이 전부이다. 하지만 해당 <처용가>가 실려 있는 문헌 서사적 맥락 및 그 중의 일부인 <처용설화>의 관계 속에서 <처용가>를 이해를 할 때, 해당 작품의 연극화는 <처용가>가 존재하는 방식 그대로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며 그 이해가 더 온전해지리라 본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처용가>의 연극성과 서사성에 따라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그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연극은 연극과 달리 관극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서 학습자들이 연극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배우고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즉, 비공연적이고 과정중심적인 교육연극을 <처용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연극을 교육의 매개로써 활용하는 것이다. 수도권 소재 3개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자 구성은 성비, 학업성취도, 연극 경험 등 다양하였다. 수업은 학교별로 3차시로 진행되었다. 1차시 수업에서는 학습자 사전 설문조사와 교육연극에 대한 안내 그리고 <처용가>의 이론적 내용 학습 그리고 배경설화의 서사구조 이해하기 활동을 하였다. 서사구조 이해하기 활동은 배경설화를 인물과 사건 중심으로 9개의 문장으로 요약한 후 정지된 화면으로 표현하는 것이었으며 모둠 토의를 통해 배경설화 해석의 다양성을 찾아본다. 2차시 수업은 정서 이해하기로, 인물의 외형 및 내면 탐구하기를 한다. ‘벽에 걸린 역할’, 2인 1조의 ‘역할극’, ‘이성의 소리’, ‘핫시팅’, ‘삶의 지난 날’의 드라마 관습을 활용하여 인물의 정서를 이해함과 동시에 문면에 숨은 이야기를 찾아내어 만들어봄으로써 <처용가>의 이해를 돕는다. 3차시는 1차시와 2차시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자유롭게 <처용가>를 연극으로 재구성하여 실연한다. 그리고 교육연극 활동의 소감을 나눈 후 사후 설문조사를 작성 하고 수업을 마친다. Ⅳ장에서는 수업에 대한 결과분석을 학습자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분석과 교수자 평가에 따른 결과 분석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우선, 학습자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분석은 고전시가에 대한 태도 양상, 고전시가의 내용 이해 양상, 수업 참여 태도 양상 그리고 성적과 연극 경험에 따른 수업 효과의 네 가지를 나누어 살폈다. 첫째, 고전시가에 대한 태도 양상은 학습자와 고전시가 사이에 놓인 시공간적 거리감으로 인해 고전시가는 나와 단절된 것으로 재미없고 지루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으나, 수업 후에는 “고전문학” 그리고 “국어에 대한 흥미”가 생겼다고 응답한다. 교육연극을 활용하여 지금 여기에 되살아난 고전시가를 통해 학습자들은 고전시가를 더 이상 화석화된 유물로써 여기지 않게 되었다. 둘째, 고전시가의 내용 이해 양상 역시 “체험”을 하며 “직접 그 상황과 인물이 되니” “몰입”하게 되고 “고전시가가 재밌게 느껴지고 잘 이해했던 적은 처음이었다”고 답한다. 지금 여기의 나를 구성하는 존재로 여기자 고전시가가 재미있고 흥미롭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몰입을 하게 되고, 내용이해도가 높아져 고전시가에 대해 “더 알고 싶어졌다”고 답한다. 셋째, 수업 참여 태도 양상 역시 높아졌는데, 고전시가를 이해했다는 학습자 자신만의 성취 경험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임하게끔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넷째, 성적과 연극경험에 다른 수업효과는 학업 성취도의 다름에 차이를 두지 않고 높은 수업 참여 의지로 나타났다. 다만, 학업성취도의 고하에 따른 수업 효과가 두드러지게 달라지는 것은 아니었으나, 일부 학습자들의 이론적 내용 학습의 요구나 분위기가 떠 있다는 지적처럼 다양한 학업성취도의 학습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이론적 내용과 교육연극 활동을 적절하게 구성해야 하는 교수자의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극 경험에 대한 미숙함은 교육연극 활동에 참여하는데 소극적이게 만들었다. 교수자 평가 결과 분석은 수업 중 작성된 교수자 평가서에 따른 것으로서 수업 참여 태도, 고전시가 내용 이해 여부 그리고 성적과 연극 경험에 따른 수업 효과 측면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수업 참여 태도는 모둠의 구성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성비와 친밀도에 따라 달랐다. 동성 모둠일 때에는 높은 친밀도가, 혼성 모둠일 때는 높은 친밀도보다는 보다 낮은 친밀도가 수업 참여 태도를 좋게 하였다. 수업 참여 태도는 자연스럽게 고전시가 내용 이해 양상에 이어졌는데, 자유롭고 유연한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지는 동료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스스로 교과서 안팎의 정답을 찾아내었다. 학습자들은 구도의 과정 속에서 고전시가에 대한 흥미와 재미 그리고 성취의 기쁨을 맛보았다. 또한, 능숙한 학습자의 연극 경험은 수업 효과를 좋게 하였다. 하지만, 대다수 학습자들은 교육연극과 연극에 대한 혼란으로 ‘관극’에 초점을 두고 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실제 교수·학습과 학습자 및 교수자 평가를 통해 교육연극은 고전시가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학습자 사후 설문조사 주관식 문항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 반응 양상을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고전시가에 대한 흥미와 재미가 생겼다, 둘째, 배경설화와 인물에 대한 내용 이해뿐만 아니라 내면화 할 수 있었다, 셋째,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에서 학습자들은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고전시가가 존재하던 그 모습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교육연극이다. 시가의 연극화는 시가를 하나의 큰 텍스트로 볼 수 있게 하였으며 이것은 시가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이자 해당 시가 작품의 이해에 다름 아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예전에는 어렵기만 하다고 생각했던 시가를 흥미 있고 재미있다고 느끼기 시작했다. 여기서 흥미는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앞으로 학습자들이 고전시가를, 더 나아가 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기의 문제이며 배운 것이 잘 자랄 수 있는 마음의 태도를 뜻한다. 학습자들이 배움에 대한 욕구와 깨달음의 기쁨을 느낄 수 있던 것이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전시가 교육이 갖는 가장 큰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에 있어서의 의의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고전시가 수업 방안을 모색하고 교수·학습 계획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는 점, 학습자의 구성을 성별과 연극 경험 그리고 학업성취도 등 다양하게 하였다는 점,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후 효과 분석을 하였다는 점이다. 기존의 연구물들이 교육연극은 교과를 학습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어떠한 점에서 효과적이었는지를 분석하였다면, 본 논문은 어떠한 점에서 효과가 있고 덜 효과적이었는지를 도출해냈다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의 한계는 고전시가교육의 가능성을 <처용가>라는 텍스트를 통해 살펴본 바, 거시적인 교육과정에서의 문학의 교육 목표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과 방법을 동원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할지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다. 또한, 모든 고전시가 텍스트를 다루는데 있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계획안을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고전시가는 통일된 원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별 하위 갈래들을 포괄하는 명칭이기에 세부 갈래에서는 그에 더 맞는 교수᠂학습 계획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즉, 실제 학교 현장 속에서 어떠한 거시적인 계획을 가지고, 세부적으로는 각 갈래마다 현실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하여 더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교육연극, 고전시가교육, <처용가>교육, 수업 참여 태도, 재미, 체험, 내면화, 고전시가 문식성;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hod of education of classical poetry using educational drama, with emphasis on . It suggests a method of education for learners to come closer to classical poetry and experience that classics are not separated from them, but related to their current lives. Therefore, this study was focused on using educational drama to establish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classical poetry.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use educational drama was established and the possibility to use educational dram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oetry was explored to suggest a specific method of teaching·learning. Chapter Ⅱ examines how classical poetry is related to theater in order to convert classical poetry for theatrical performance. The relativity mentioned three things: the understanding of classical poetry considering the context,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through the comprehensive experience of life and sharing of such experience, and the maximization of literary imagination. Chapter Ⅲ used educational drama based on the theatricality and narrativity of to suggest the specific method of teaching·learning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male and female 10th-grade students attending one of three high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Each school was given three classes. The first class involved a preliminary survey of learners, introduction to educational drama, theoretical learning of , and understanding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background tale. The second class involved understanding the sentimentality and exploring the appearance and introversion of characters. The third class liberally reconstructed and perform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Also, the learners shared their thoughts about the educational drama activity and filled out an evaluation survey to finish the class. Chapter Ⅳ analyzed the results of surveys before/after the classes and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instructor. First, the following shows the analysis of survey of learners before/after the classes. First, considering the attitude toward classical poetry, learners believed that classical poetry was not fun and tedious isolated from them due to the sense of distance about the classics and historical perspective, but they responded that they gained interests in classical literature and Korean language after the classes. Second,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of classical poetry, the students also responded that learning through experience made classical poetry fun and comprehensible. Third, students' participation also improved and the learners' experience of accomplishment to comprehend classical poetry became the motivation for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Fourth, the effect of classes according to the grades and theatrical experience led to strong determination to participate in classes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in academic performance. However, the effect of classes did not vary prominently according to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some learners demanded theoretical instruction or pointed out the distracting atmosphere. In order to make the classes satisfactory for learners with various academic performances, it is necessary for the instructor to have the ability to mix theoretical contents with the educational drama activities. Also, the inexperience in theatrical experience made the learners participate in educational theater passively. The following shows the analysis of evaluation of instructor. The participation in class varied according to the gender ratio and intimacy of members. When the members were same genders, close intimacy improved the participation in class, whereas less intimacy improved the participation in class when the members were mixed genders. Participation in classes naturally led to the accomplishment of learning objectives and the learners spontaneously found the answers in and out of the textbook through their mutual communication with fellow learners and the instructor in liberal and flexible settings. Also, skilled learners' theatrical experience improved the effects of classes. However, a majority of learners confused the meaning of educational drama and theater to focus on the performance itself. Through the actu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of learners and instructor, it was concluded that educational drama improves the efficiency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Based on the self-explained responses of learners in the survey after the classes, the learners' response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gained interests in classical poetry to be able to enjoy it. Second, they could understand and internalize the background tale and the characters. Third, the learners could grow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using educational drama. The significance of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educational drama was explored and actually used to teach classical poetry, the groups of learners were diversified in terms of gender, theatrical experi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afte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not discussing exactly how much time and which method will be used to apply educational drama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literature in the macro educational programs. Also, the teaching/learning plan suggested by this study cannot be applied to the classical poetry text because classical poetry is the name inclusive of all subcategories without a uniform principl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lans for each subcategory.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not discussing which macro plans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 has and how it could be applied to each subcategory in reality.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for these topics. Keywords: Educational Drama, Classical Poetry Education, Education, Participation in Class, Enjoy, Experience, Internalize, Classical Poetry Liter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