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99 Download: 0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아레테 개념에 기초한 윤리교육 가능성 연구

Title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아레테 개념에 기초한 윤리교육 가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Based on Arete Concept from the Dialogs of Plato
Authors
김성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현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아레테 개념에 기초한 윤리교육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아레테는 희랍어로, 한역하면 도덕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의미규정이 확실치는 않다. 덕으로 번역되는 고대 희랍어 아레테의, 개념을 밝히는 연구가 오늘날 도덕규범의 주입식 위주의 도덕과 교육에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연구의 계기가 되었다. 또한 4대 성인에 한분이라고 일컬어지는 소크라테스와 고대 서양 철학에서 중요 위치를 점하고 있는 플라톤에 대한 보다 높은 차원의 깊은 이해를 통해 철학과 관계된 도덕과 수업에 폭넓은 배경지식을 가지고 학생들을 교수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라톤의 대화편『프로타고라스』편과 『메논』편은 아레테란 무엇이고 아레테란 가르쳐질 수 있는가에 대한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의, 메논과 소크라테스의 논쟁을 문학적으로도 훌륭하게 다루고 있다. 두 대화편을 중심으로 아레테와 관련된 정의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람뿐만 아니라 사물 전반에 폭넓게 사용되었으며 기능과 특수성을 나타내는 탁월함을 의미하던 아레테 개념이 대화편에서는 ‘도덕적 가치를 함의하는 탁월함’으로 규정된다. 또한 아레테는 ‘지식’이며, 아레테가 지식이라면 가르쳐질 수 있다. 소크라테스는 영혼불멸설을 근거로 들어 이 지식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상기에 의해 학습되는 것임을 주장한다. 상기에 의한 것이니 만치, 가르치는 교사도 없고, 가르침을 받는 학생도 없는 것이다. 아레테가 주입된 지식이 아니라면, 아레테는 진실한 의견이며, 진실한 의견의 끊임없는 탐구가 소크라테스가 말하는 검토된 삶의 목표이다. 도덕적 탐구과정 자체를 목표로 하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식 도덕교육은 도덕적 지식의 형성을 목표로 삼지 않는다. 인간의 삶의 방식의 영역에는 정답으로서의 지식이나 진리가 있을 수 없다. 오로지 진실한 의견이나 올바른 판단이 있을 수 있을 뿐이다. 도덕교육이 도덕적 의견에 대한 끝없는 탐구의 과정 자체이어야 한다는 점은 우리의 도덕과 교육에 큰 시사점을 던진다고 본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적 삶을 끝없는 도덕적 탐구의 삶이자, 비판적으로 검토된 삶이라고 생각한다. 그의 엘렌쿠스적 탐구는 알고 있다고 생각한 것을 사실 알지 못하고 있음을 깨닫게 할 뿐만 아니라 진실되고 옳은 것을 믿게 되도록 한다. 그러한 탐구가 확실성을 가져오지 않더라고 끝없이 재검토되고 재검증되어야 한다. 아레테의 개념에 대한 정의가 내용적 측면의 연구였다면, 아레테에 대한 형식적 측면의 연구에서 등장하는 것이 소크라테스 대화법이다. 소크라테스 대화법은 대화상대자의 주장과 신념·견해를 표출하고 검토하여, 대화상대자가 스스로 자신의 주장의 오류를 깨닫는 과정인 무지의 자각을 중시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은 질문자인 소크라테스와 대화상대자가 공동으로 탐구하며 절대적 지식을 향해간다. 이러한 노력으로 대화상대자의 이성적 사고에 의해 오류를 제거하고 새로운 도덕적 지식을 추구함으로써 도덕적 행동의 변화를 가져오고자 한다. 이는 주지주의적인 지덕 일체의 소크라테스의 윤리설에 기인한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이성적 사고의 발전을 통해 올바른 신념과 도덕적 행동을 통합적으로 추구한다. 이와 같이 소크라테스 대화법을 통해 사고능력의 발전 특히 비판적 사고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based on arete concept from the Dialogs of Plato. The arete means excellence or morals if translated from Greek but it is uncertain to identify its sense. The research took place with an idea of possibility that moral education research based on ancient greek arete concept translated as virtue might be suggested as a new education method for existing moral education which teaches moral standard by rote. Protagoras Menon Socrates literary contention the Dialogs of Plato deals with [the Protagoras] and [the Menon] of the dialogs of Plato deals literary great with contentions between Protagoras and Socrates as well as Menon and Socrates regarding identification of arete and how it can be learned. Identities regarding arete can be followed with the two dialogs as below. It has been applied not only for human but things all around widely and such arete concept meaning excellency representing functionality and speciality is identified as excellency undertones moral value. Also, the arete is "knowledge" and if so, it can be taught. Socrates argue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soul that this knowledge is studied by presentment not by rote. Because it is studied in such way, there's no need for teacher and student. If the arete is not a knowledge gained by rote, it is a truthful opinion and endless studies of truthful opinion is examined object of life the Socrates says. The mid-wife type moral education by Socrates doesn't have object to form moral knowledge. There would be no such correct knowledge or truth in area of man's life style. There is only truthful opinion or correct decision. The point that moral education should be process of endless study for moral opinion, implicates a lot in our morality and education. Socrates thinks moral life is life with endless moral study and life that is examined. His ellencustic study let us know that things we think we know are the things in fact we do not know of, and let us believe in truth and right. Even if such studies don't represent certainty , it should be re-considered and re-examined for good. If the definition of arete concept was a study in content, the dialog of socrates would be the formal study. The dialog presents and reviews opinion, belief and claim of the other speaker and emphasis his awareness of ignorance that is progress pf knowing his errors in opinion. The dialog of Socrates heads to perfect knowledge by joint study between questioner as himself and person in speech. With this way, we can avoid errors and find changes in moral behavioral transition by seeking new moral knowledge. This would be based on evolutionary ethics of Socrates which is public belief in knowledge and virtue. Socrates seeks right belief and moral behavior through development of reasonable thinking. We can achieve great thinking ability especially critical thinking by the dialog of Socrat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