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욱-
dc.contributor.author박유진-
dc.creator박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3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336-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and perceived benefit, on risk perception and stigma as seen in the Gumi gas leak incident.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model was taken as the basis for the study. The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Hypothesis 1] Communication about the hydrofluoric acid gas leak incident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Hypothesis 2]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perceived benefit of the incident. [Hypothesis 3] Increased media communication about the gas leak incident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upon public risk perception on hydrofluoric acid. [Hypothesis 4]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upon public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Hypothesis 5] Perception of the benefits of the incident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upon public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Hypothesis 6]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will have a greater influence on risk perception than perceived benefit or communication. [Hypothesis 7]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blic stigma of Gumi, the area affected by the gas leak incident. [Hypothesis 8]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will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ublic stigma of Gumi, the area affected by the gas leak incident. [Hypothesis 9] Fear, a constituent factor of risk, will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he public stigma of Gumi than knowledge.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confidence in government, benefit, risk perception, and stigma? Surveys were collected from 352 participants. Careless responses and the responses of participants who indicated they had no knowledge of the incident were excluded, leaving 292 surveys for analysis. Path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perceived benefit, confidence in government, risk perception, and stigm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ear and knowledge on public stigma (Hypothesis 9).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ed communication about the hydrofluoric acid gas leak incid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Second,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perceived benefits of the incident. Third, increased media communication about the gas leak incide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upon public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Fourth,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did not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public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Fifth, perception of the benefits of the incide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upon public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Sixth, communication was the factor which had the largest influence upon risk perception, out of the factors communication, confidence in government, and perceived benefit. Seventh, risk perception of hydrofluoric acid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public stigma of Gumi, the area affected by the gas leak incident, and consequently, fear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public stigma of Gumi than knowledge. Eighth, public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was found to have both a direct and indirect negative influence on public stigma of Gumi, the affected area. Lastly, on examining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factors upon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confidence in government, perceived benefit, risk perception, and stigma, gender was found to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with a difference in perception visibl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ge as a factor was not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to minimize problems related to public perception in case of future unknown incidents and risks.;본 연구는 위험의 사회적 확산 모델을 근간으로 구미에서 발생한 불산 유출 사고 사례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정부에 대한 신뢰도와 편익이 위험 인식과 낙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가설 및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불산 유출 사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불산에 대한 편익의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언론의 불산 유출 사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불산에 대한 공중의 위험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불산에 대한 공중의 위험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 불산에 대한 편익의 인식은 공중의 불산에 대한 위험 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신뢰는 위험 인식에 있어 편익과 커뮤니케이션의 측면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7] 불산에 대한 위험인식이 불산 유출 사고 피해 지역인 구미에 대한 공중의 낙인화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8]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불산 유출 사고 피해 지역인 구미에 대한 공중의 낙인화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9] 위험의 하위차원인 두려움은 지식보다 불산 유출 사고 피해 지역인 구미에 대한 낙인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 1]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은 커뮤니케이션, 신뢰도, 편익, 위험인식과 낙인의 변수 간 인과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설문을 실시하여 배포한 352부 중, 불성실한 응답과 응답자 선별 질문 문항에서 불산 사고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대답한 설문을 추려낸 후 총 29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커뮤니케이션, 편익, 신뢰도, 위험 인식, 낙인과 같은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경로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가설 9]의 위험의 하위 차원인 두려움과 지식이 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산 유출 사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은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불산에 대한 편익의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산 유출 사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불산에 대한 공중의 위험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불산에 대한 공중의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다섯째, 불산에 대한 편익의 인식은 공중의 불산에 대한 위험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커뮤니케이션, 신뢰도, 편익에서 위험 인식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불산에 대한 위험 인식은 불산 유출 사고 피해 지역인 구미에 대한 공중의 낙인화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위험 인식의 하위 차원인 두려움과 지식 중 두려움이 낙인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정부에 대한 공중의 신뢰도는 구미에 대한 낙인화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커뮤니케이션, 신뢰도, 편익, 위험 인식과 낙인의 인과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로는 성별은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영향을 미쳐 남성과 여성의 집단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연령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미지의 위험과 그에 따른 공중의 인식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최소화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고찰 6 A. 위험의 사회적 확산(Social Amplification of Risk) 모델 6 1. 위험(Risk)의 정의 6 2. 위험 유형의 변화 7 3. 위험의 사회적 확산 모델 8 B. 위험 인식(Risk Perception)영향 변수 14 1. 위험 인식 14 가. 위험 인식의 정의 14 나. 위험 인식에 대한 선행 연구 17 2. 커뮤니케이션과 위험 인식 20 3. 신뢰도와 위험 인식 22 4. 편익과 위험 인식 25 5. 커뮤니케이션, 신뢰도, 편익의 인과관계 27 C. 낙인(Stigma) 효과 29 1. 낙인의 개념 29 2. 장소의 낙인에 대한 선행 연구 31 D. 위험의 인식과 낙인 34 E. 신뢰와 낙인 35 Ⅲ. 가설 및 연구문제 설정 37 Ⅳ. 연구 방법 43 A. 분석사례 43 B. 자료 수집 43 C .설문지 구성 44 D. 변인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45 1. 불산 관련 커뮤니케이션 45 2. 정부에 대한 신뢰도 46 3. 불산 관련 편익 46 4. 불산에 대한 위험 인식 47 5. 불산 유출 피해지역 낙인화에 미치는 영향 48 E.분석방법 49 Ⅴ. 연구 결과 51 A. 기초분석결과 51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1 2. 주요 변인의 신뢰도 검증 53 3.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53 B. 연구모형의 검증 55 1. 모형에 대한 적합도 측정 55 2. 수정모형 57 3. 모형에 대한 경로계수 측정 59 4. 모형의 인과효과 검증 63 5. 회귀모형의 검증 64 6.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변수 간 인과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65 가. 성별 65 나. 연령 69 Ⅳ. 결론 71 A. 결과의 요약 및 논의 71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5 참고문헌 77 부록-설문지 93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22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위험의 커뮤니케이션, 신뢰도, 편익이 위험 인식과 낙인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구미 불산 유출 사고 중심 분석-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Level of Confidence, and Perceived Benefit on Risk Perception and Stigma : An Analysis Focusing on the Gumi Hydrofluoric Acid Gas Leak Incident-
dc.creator.othernamePark, Yoo Jin-
dc.format.pageix,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