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장윤의-
dc.creator장윤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533-
dc.description.abstract미래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편적이고 사실적인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능력보다는, 정보의 탐색, 수집, 분석, 종합, 창출능력, 자기 주도적인 평생학습능력,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 협동적 문제 해결 능력 등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된다. 최근 구성주의 철학의 대두에 따라 기존의 객관적, 절대적 지식관에서 주관적, 상대적 지식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관의 변화에 따라 학습관도 학습자 중심교육을 지향하게 되었다. 학습을, 학습자 외부에 객관적이며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지식체계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개개인의 경험에 의해 능동적, 주관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이란 기존의 문학 교육 체제에서 이루어지던 교사 중심, 텍스트 중심, 결과 중심, 주입식 교육, 암기 위주의 학습 형태에서 벗어나 학습자를 교육의 주체로 등장시키려는 현대 교육적 동향의 문학 교육적 실천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독자가 능동적으로 소설 텍스트의 세계에 참여하여 독창적으로 텍스트의 진정한 의미와 고양된 가치의 세계를 발견하고, 소설 속에서 고양된 삶의 의미를 찾아내는 발견적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교육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국어교육의 하위영역으로서 문학은 문학사, 시, 소설, 수필, 희곡, 평론, 외국문학을 아우른다. 이 중에서 소설은 장르적 특성상 작품을 둘러싼 역사적 배경과 사회현실을 보여줄 수 있고 학습자에게 친근한 갈래일 수 있다. 이러한 장르적 특성이 필자가 소설에 주목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소설이란 인간 본연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이면서 동시에 인간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잣대의 역할도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영역으로 포장을 달리하더라도 그 내면에는 소설적 이야기 요소들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소설을 가르치고 배운다는 것은 성인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 삶에 대한 총체적 지식과 가치관을 기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학습자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소설을 교육하는 것은 학습자의 구체적인 경험을 떠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러므로 소설교육은 학습자가 자기의 경험을 스스로 이해하게 하고 학습자의 구체적인 경험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조직되어야 한다. 소설 교육은 소설 작품이라는 내용과 교육이라는 방법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 중심의 교육법에서 벗어나 사고와 표현, 문화를 고려하는 종합적 관점에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소설의 제재를 가지고 교육을 하는 것이라는 단순한 사고에서 나아가 교육의 원리적인 공통성에 입각하여 소설 속에 내재되어 있는 참된 삶의 가치를 선택하는 가치지향의 문제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소설에서 보여주고 지향하고 있는 다양한 삶의 모습이나, 인간의 아름다움과 올바른 인간성의 고양을 토대로 하는 소설 교육사이의 원리적 공통성으로 볼 때, 소설이란 궁극적으로 인간형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때문에 소설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소설 수용의 구조가 밝혀져야 한다. 즉, 수용의 과정과 내면화의 층위를 밝히는 것이 소설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도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문학교육의 본질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소설 수업에 임하는 교육현장의 모습을 기대하기란 쉽지 않다. 아직도 많은 교사들이 소설을 텍스트 중심의 분석적인 방법으로 지도하고 있으며, 획일적인 강의식 교수법의 편의성을 쉽게 버리려 하지 않는 것이다. 대학 입시 제도에 따른 평가 방법이나 과밀학급, 자료 부족 등이, 새로운 교육방법이 절실히 요구되는 중에도 소설 수업현장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의 소설 교육이란 학습자 스스로 소설과 창조적으로 만날 줄 알게 하며, 문학적으로 보다 세련된 독자로 이끄는 지도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소설교육이 학습자로 하여금 소설을 즐겁게 읽고, 삶의 체험을 확대하며,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라면, 학습의 주체가 수업을 받아들이고 그것을 자기화 하는 과정 또한 상세하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소설교육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소설교육의 실제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교과서 소설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소설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논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설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 10학년 교과서 소설을 제재로 수업 실제에 적용하여, 소설의 주요 요소들을 어떻게 하면 학습자가 흥미롭게 수업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설의 요소들은 소설 속에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한 작품의 통일된 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텍스트와 학습자의 균형을 세우고,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내서 학습자의 자발성, 창의성, 능동성을 신장시키고자 했다.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활동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소설 텍스트에 대한 내면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1장 서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국어과 소설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소설 교수-학습의 이론적 배경으로, 제 7차 교육과정의 핵심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과 소설의 장르적 특성, 소설 교육의 목표와 방향 등, 소설을 제재로 한 국어과의 교수-학습에 대한 기존 이론들을 정리해보았다. 3장에서는 국어과 소설 지도 방안 연구로, 10학년 국어 교과서 소설을 제재로 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살펴보고, 인문계 고등학교에 적용 가능한 소설 수업의 구체적 모형을 소설 요소별로 학생들이 흥미있게 활동할 수 있도록 문항형식으로 구안하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를 학생들의 결과물로 제시하여,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교육이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도 현실적으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활동 중심의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반응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고등학생들에게 틀에 박힌 입시위주의 수업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활동을 경험하게 한 결과 학습자들이 소설 작품과 소설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었으며, 학습에 있어서 활력소가 되었다는 본 연구의 결론을 밝히고, 앞으로의 소설 수업에 바라는 제언을 하였다. ;In the Information Society, it is asked acutely that we must have ability of search, collection, analysis, synthesis, creation and of lifelong learning, effective communication, solving problem communally, etc than have memory and understanding ability about fragmentary and realistic knowledge. According to coming to the fore constructivism, a view of knowledge has changed objective and abstractive view into subjective and relative view of the knowledge. As the change in the view of knowledge learning tend toward the students. Learning is no longer something to accept the knowledge that isn't at objectively and separately on outside of learners but considered as a course establishing by experience of students.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isn't mean education that teacher-initiating and emphasis the text, an outcome, cramming and memory but it literally means the education to be centered learners. Education must be placed the focus on finding true meaning and raiding value of text creatively and it make readers to engage in the text voluntarily and interestingly. Literature as lower class of Korean education is put together with history of literature, poetry, novel, essay, drama, criticism and foreign literature. Among these, novel is able to a section of intimacy that instruc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work to learners. This character is one of the reasons for novelist to make notice the novels. Novel is reflected image of human nature simultaneously with it plays a measuring stick role that make know what human wants eventually. For that reason, though it is represented by other territory the factors of novel involved in it at all times. So it is very important what novel is taught and what novel are learned at the point of increasing the general knowledge and the sense of value about human life and understand human nature in the course of an adult. Education of novel is closely related to learners' life and it is of no use if it had not their detailed experience. So the education must make to be based on the detailed experience and make understand it to students. Education of the novel may mean that it is combined the work with the teaching method. I think that instruction on novel is more concentrated on for students to think, express and consider the culture than is centered on contents of the work . That will be understanded that escaped the simple thought what novel is not taught by its material but what novel has to be taught genuine value of life through the works. The novel must contribute to make right creature when we see a common between what the novel is expressing the various life in its contents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based on a beauty of man and make increase right human nature. Therefore, to achieve the object of novel education, we must define the clear structure of acceptance about the contents. In other words, it is more helpful to scheme to make chang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what we define the courses of the acceptance and grades to internalize it. However it isn't easy that learners take part in the literature class actively and initiatively by themselves though it is needed in the class. Many instructors teach novel in the way analyze it with focus on the text and they will not abandon this uninformed teaching method in literature yet. Though new teaching method is needed to the novel class, instructors can't practice the learner-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lass because they must evaluate for an entrance examination, be overcrowded and insufficient of data for the class. I think that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is that instructors let learners make contact with novel creatively and lead learner to make to become polished readers. When we see the novel education is that instructor make read the novel joyfully, enlarge his experience of life and internalize the value, it must study carefully to research about the course for learners to accepted the class and to become self-fulfillment it . For that reason I try to have searched for a devise to institute models of teaching-learning on novel education and instruct it in practical manner. I intented to bring out discussion to coincide it with the object of novel study through analyzing the works in school textbook. I have found a right devices about novel education and then apply them to practical instruction through material for novel in tenth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 Besides this study is intended to watch if learners can be taught an important factors with interest. And I think that we instructors must let know it to students that factors in novel aren't separately in the novel but they are united in a work. Then I have established balance of factors between text and learners and had students participate in my lecture actively. And I intended that I make learners to enlarge learners' characters of spontaneity, creation and activeness through these as well. I think that the internalization about novel text will be accomplished unaffectedly to learners through to make acti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the class. In chapter Ⅰ, I suggested the object, necessity, and method of a study on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 7th education procedure. In chapter Ⅱ,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touch core of 7th education procedure, a special property of novel category, the object and the course of novel education, established theories on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being material of novel are summarized as background of theory about teaching and learning novel. In chapter Ⅲ, I search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10th grade novel of text book and devised concrete models that make students feel interests in the factors about novel lecture applicable to an academic highschool as a study on nove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Ⅳ, I suggested students' results of assignments and I confirmed that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can be applied in the academic highschool. And I analyzed the results of question survey for the students' reflection of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In chapter Ⅴ, as a conclusion, I suggested what I confirmed that students had a affirmative cognition about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novel education, not about focused on entrance examination, and I make clear that the learners' activity-centered novel lecture vitalized to novel educa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finally, I suggested proposals about the future novel class in this chap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 4 Ⅱ. 소설 교수-학습의 이론적 배경 = 7 A. 학습자 중심의 교수 - 학습 방법 = 7 B. 소설 구성 요소의 국어과 교수 - 학습 방법 = 14 Ⅲ. 국어과 소설수업의 모형안 = 23 A. 주제 중심의 활동 - 김유정의 「봄 봄」 = 25 B. 인물 중심의 활동 - 염상섭의 「삼대」 = 27 C. 배경 중심의 활동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31 D. 플롯 중심의 활동 - 박완서의 「그 여자네 집」 = 34 E. 상징 중심의 활동 - 윤흥길의 「장마」 = 37 F. 창작활동 (릴레이 소설쓰기) = 40 Ⅳ. 학습자 활동 중심의 소설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 43 A. 학생들의 결과물 = 43 1. 주제 중심의 활동의 실제 - 김유정의 「봄 봄」 = 43 2. 인물 중심 활동의 실제 - 염상섭의 「삼대」 = 49 3. 배경 중심 활동의 실제 -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53 4. 플롯 중심 활동의 실제 - 박완서의 「그 여자네 집」 = 62 5. 상징 중심 활동의 실제 - 윤흥길의 「장마」 = 67 6. 창작 중심 활동의 실제 = 79 B. 학습자 활동 중심 교수-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분석(설문지) = 87 Ⅴ. 결론과 제언 = 93 참고문헌 = 97 부록 = 100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60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학습자 활동 중심의 국어과 소설 지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0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dc.format.pageiv, 1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