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이진주-
dc.creator이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08-
dc.description.abstract한국 중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제 6차 교육과정기를 지나 제 7차 교육과정기에 접어들었다. 7차 교육과정은 관련 교과 내 지식의 변화, 사회 여건의 변화, 교육 일반 이론의 변화, 그리고 현존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와 평가 등에 의거하여 새롭게 개정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 아래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의 문학교육은 이전의 교육과정과 달리 '이해와 감상' 차원을 벗어나 '수용과 창작'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현재 학교 현장에서의 문학교육은, 특히 소설 교육은 감상과 이해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소설 교육을 받았고, 또한 현재 받고 있으나 소설 작품을 읽어내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학교 현장의 실제이다. 본고는 이러한 현장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감상 차원이 아닌 학생 스스로 하나의 작품을 창작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방안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창작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틀을 마련할 것이며, 학생들은 소설의 내용을 주입받는 교사위주의 수업에서 탈피하여, 창작의 주체로서 수업에 자기주도적으로 임하게 된다. 이는 7차 교육과정의 핵심 목표인 '학습자 중심 교육'을 달성할 수 있는 교육방안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창작 교육은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소설 창작 수업 모형이다. 글쓰기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새롭게 나타난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은 글쓰기 과정을 다양한 전략을 통해 활성화하고 그 과정을 통해 좀 더 나은 글을 쓰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물론 글쓰기에서 중요한 것은 결과물로서의 작품, 글이다. 그러나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은 결과물인 글의 완성도를 위해 글쓰는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소설 창작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수업 현장에 적용해보고 이 모형이 학생들의 소설 창작에 대한 흥미도와 창작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창작 교육은 전문적인 작가를 양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교육이 아니라 창작 과정을 통해 소설을 좀 더 이해하고 나아가 자신이 속한 문화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먼저 2장에서는 과정 중심 소설 창작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이를 위해 쓰기 이론의 변화 양상과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의 개념 및 특성, 효과와 의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말하는 문학 창작 교육의 원리에 대하여 살펴 본 후 이러한 원리가 현재 학교 현장에서는 얼마만큼 성취되고 있는가를 보기 위해 현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문항은 소설 창작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설 창작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소설 창작 교육을 위한 새로운 수업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3장에서 파악한 소설 창작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과정 중심 소설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 핵심 내용을 이룬다. 먼저, 수업 모형 구안을 위해 먼저 과정 중심 쓰기 전략과 소설을 창작하는 데에 필요한 요소들을 관련지어 과정 중심 소설 창작 수업의 원리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로, 구안한 모형을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소설을 창작해보는 활동을 하고, 마지막으로 그 수업한 결과물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소설 창작 능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소설을 평가하기 위해서 별도의 평가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소설 작품 평가 이외에도 소설 창작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 등 정의적 측면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이 학생들의 소설 창작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를 높이고, 소설 창작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였음을 밝히고 문학 작품 창작 활동에서 쓰는 과정에 주목해야 할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수업이 기본 형태가 학습자 중심 교육에 기반하고 있어야 하며 교사 개개인이 학생들이 창작하는 과정을 평가, 수정해줄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갖추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The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just turned from the sixth to the seventh period. This new curriculum has been thoroughly revised out of consideration for the changes of information on courses, social conditions,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through the examination and evalu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present program. The literature education of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under this background, focuses on 'Reception and Creative writing' rather than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unlikely the previous ones. The current education in literature, however, in particular novel education, is not free from the vagu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So the reality of school field is that even though most students have studied, or now studying the novels, what they do is only to read and understand th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education strategy encouraging the students to create the works not only appreciating them, which would help activate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 It would urge students to actively respond to class with understanding and creating the novel, not being only the subject of the instructor-centered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This accords with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soul object of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education of creative writing suggested in this study is the model lecture of story writing, using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newly developed by the change in writing paradigm, is meant to activate writing process through a variety of strategies and enable students to write better through those processes. Needless to say, the result of writing, the work counts. But the strategy of process-based writing stems out of the concept that the process of writing does also count for the completeness of the resulting work.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tory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and apply them to the classroom to see if this model actually works in improving the interest and writing ability of students. Education in story writing is not to make students professional writers but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literature, the culture and the world in which they live better, by writing from that education First, in chapter Ⅱ, we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design the process-centered story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To do this, we have studied the changes in writing theory an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effectiveness and meaning of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In chapter Ⅲ, we explored the principle of literature writing education and then have survey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see how much this principle is applied to the classroom. This questionary is organized to analyze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current education in story writing and on the result, we verified the need for the new instruction program of story writing. In chapter Ⅳ, we concentrated on designing the process-based story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explored in chapter Ⅲ. First, to invent the teaching/learning model, we present the principle of process-based story writing by engaging the process-based writing strategies and the elements essential to create the story. Second, we applied this model to the real class encouraging the students to write a story and finally, analyzed the works of the students to see the learners' story writing ability. The specific criteria for evaluating the learners' stories was organized. Besides, the post-test questionary survey was also done to examine the affective domain such as understanding or interest in story writing. In chapter Ⅴ, we verified that process-based writing strategy was proved to motivate students' interest in story writing and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in terms of technical development, and highlighted the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process in literature writing. To do this, the form of class should be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capacity and professionalism to evaluate or proofread the students' writing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선행연구 고찰 = 3 C. 연구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쓰기 교육 이론의 고찰 = 8 B. 과정 중심 쓰기 전략의 개념 및 특성 = 10 Ⅲ. 소설 창작 교육의 실태 = 15 A.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창작 교육 = 15 B. 현행 중학교 소설 창작 교육의 실태 = 20 Ⅳ. 과정 중심 소설 창작 교육의 교수 - 학습 방안 적용 = 28 A. 과정 중심 소설 창작 교수-학습 모형 구안 = 28 B. 과정 중심 소설 창작 수업의 실제 = 54 C. 연구 결과 및 분석 = 79 Ⅴ. 결론 및 제언 = 93 <참고 문헌> = 97 <부록 1> 소설 창작 실태 조사를 위한 사전 설문지 = 99 <부록 2> 과정 중심 소설 창작 활동에 대한 사후 설문지 = 101 <부록 3> 사전 학습 중 '1분 쓰기' 활동 예시 1 = 103 <부록 5> 소설 내용 생성하기 단계 활동지 예시 = 105 <부록 6> 소설 내용 조직하기 단계 활동지 예시 = 106 <부록 7> 학생 창작 소설 예시 1 = 107 <부록 8> 학생 창작 소설 예시 2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72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정 중심 쓰기 전략을 활용한 소설 창작 수업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8학년 교과서 단원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 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