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자-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1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05-
dc.description.abstract중학교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 2003년 9학년 교과서 출간을 마지막으로 그 완전히 그 틀을 마련하였다.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으로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도록 학생 활동을 중심으로 한다는 7차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에 따라 국어교과서도 상당히 많은 변화를 시도했다. 그 중 시 영역의 수업 내용 구성에 있어 가장 큰 변화를 꼽는다면 시를 하나의 대단원 영역아래 모아서 다루었던 기존의 구성 방법을 탈피하여 문학의 하위 영역으로 읽기 혹은 문학이라는 큰 틀 아래 시 텍스트를 제시하여 문학으로서의 시를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시는 운문으로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여러 형태의 산문과는 달리 운문 문학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의 학습이 선행된 후에야 비로소 제대로 된 시 감상이 가능한 영역이다. 그렇게 본다면, 교과서 내에서 시 텍스트가 어떤 대단원의 하위 항목으로 제시되든지 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혹은 해석의 기본이 되는 원리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2003년에 9학년 교과서 출간을 마지막으로 완성된 제7차 국어과 교과서 내에서 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학생들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학습을 했을 경우 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각 학년에서 다루어야 할 시 수업 내용을 선정하고, 교과서 분석을 통해 선정한 시 수업 내용이 교과서에 실려 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을 통해 시 교육을 위한 교과서의 효용성을 제고하였다. 이 최소한의 수업 내용은 시론, 문학론, 시교육론, 문학교육론, 국어교육론에서 다루고 있는 시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학년별 수준과 수업 내용상의 계속성과 위계성을 고려하여 교과서를 구성하는 것은 기본 원칙으로 하였다. 7학년 교과서에는 시 단원이 7개가, 8학년 교과서에서는 4개가, 9학년 교과서에서는 9개의 시 단원이 설정되어 있는데, 시 영역의 비중에 대한 일관성이 부족한 구성으로 보인다. 아울러 교과서 시 수업 내용 구성의 검토 결과, 7학년 교과서는 수업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나 단원 및 학년의 교육 과정 안에서 반복적인 제시가 부족하였으며, 8학년 교과서는 소단원 수의 감소가 보여주듯 필요한 수업 내용도 64% 정도로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어 시 수업의 문제점을 가장 많은 안고 있었다. 9학년 교과서는 다루어야 할 시 수업 내용을 다 다루고 있지 않아 여전히 내용의 위계성과 계속성에 허점을 드러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 확인을 통하여 교과서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앞으로 개정될 제8차 교과서의 시 수업 내용 구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solve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nstructional contents should be dealt with in a poetry lesson, and what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poetry lesson unit of the textbook? Second, are the contents provided consistentry in each instructional unit of the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how should instructional contents of poetry lesson unit be organized, and how, in fact, is the content organized? The selected instructional contents which are thought to be necessary to understand poems in the level of the middle school are 'metrical foot, rhyme, refrain, line stanza, regularity, space, time, speaker, tone, image, metaphor, symbol, irony, paradox, connotation, indeterminacy, and theme'. Among these contents, 'metrical foot, rhyme, refrain, line stanza, regularity, space, time, speaker, tone, image, metaphor, symbol, irony, paradox, connotation, indeterminacy, and theme' which are relatively easy or difficult but necessary to understand poems are better to be dealt with in the first grade and to be repeated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And 'tone, symbol, irony, paradox' which are relatively difficult are better to be dealt with in the second grade and to be continued in the third grad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instructional contents in the textbook, 'time' was missing in the first grade, 'line, refrain, rhyme, regularity, paradox' in the second grade, and 'metrical foot, refrain, rhyme, space, irony, paradox' in the third grade. Especially, 'paradox' was not included in any grade although the conten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poems. We could know that the organization of a poetry lesson unit made it impossible to learn contents necessary to understand poems with only instructional contents included in the textbook. Consistency of providing instructional contents means that the same instructional contents should be included continuously in the learning object, pre-learning, while learning, and post learning. When instructional contents are provided consistently, an effective learning is accomplished. Among the instructional contents included in the textbook, the contents which were provided inconsistently formed 65% and this rate was not enough to achieve an effective poetry lesson.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is to repeat the previous instructional contents at the next grade. We can say that the content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when the contents taught in the first grade are repeated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and those taught in the second grade are repeated in the third grade. The instructional contents in the textbook which followed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were 'stanza, speaker, tone, image, metaphor, symbol, connotation, indeterminacy, and theme' and this rate was not enough for students to learn poetry lesson contents effectively. As pointed above, the poetry lesson unit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revision has many problems to achieve an effective lesson because the instructional contents necessary to understand poems are missing, the instructional contents are not provid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nsistency and continuity. Therefore, if the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has to be reorganized, a poetry lesson unit of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 has to be organized in quite difficult way from the current 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문제 제기 = 1 B.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 4 Ⅱ.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시교육의 상관성 = 6 A.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 6 1.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요 = 6 2.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 7 3.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 8 B. 시 학습을 위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체계 = 10 1. 문학 영역의 교육과정 = 10 2.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상관성 = 14 Ⅲ. 시 수업을 위한 내용 선정과 구성 = 19 A. 시 수업 내용 선정 = 19 1. 시 수업 내용 선정의 원칙 = 19 2. 시 수업 내용의 선정 = 20 B. 시 수업 내용 구성 = 23 1. 시 수업 내용 구성의 원칙 = 23 2. 시 수업 내용의 구성 = 24 Ⅳ. 교과서 시 수업 내용의 분석과 연계성 = 27 A. 교과서 시 수업 내용의 분석 = 27 1. 7학년 교과서 분석 = 27 2. 8학년 교과서 분석 = 45 3. 9학년 교과서 분석 = 56 B. 교과서 시 수업 내용의 구성과 연계성 = 74 1. 교과서 시 수업 내용의 구성 = 74 2. 교과서 시 수업 내용의 연계성 = 79 Ⅴ. 결론 및 제언 = 84 참고문헌 = 8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2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국어교과서 시 수업 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