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특수성 연구

Title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특수성 연구
Authors
김경희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에 따른 지역화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사항을 알아본 후, 서울시내 지역교육청에서 개발·발행되고 있는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지역 특수성 반영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화 교과서의 개선 과제를 모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지역교육청에서 개발 편찬되고 있는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는 지역 특수성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연구 방법으로는 제7차 교육과정의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에 따른 지역화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자는 서울시내 강남교육청과 성북교육청 관내 제7차 교육과정의 3학년 사회과를 가르쳐 본 적이 있는 100명의 현직 공립 교사들이다. 회수된 유효 설문지는 100부로 회수율은 100%이다. 또한 서울 11개 지역교육청에서 개발·편찬되어 보급되고 있는 3학년 지역화 교과서 중에서 강남교육청과 성북교육청의 지역화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지역화 학습을 지도하고 지역화 교육과정을 생활권으로 재구성하는 데 있어서 지역화 교과서에 수록된 본문 내용과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이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지역화 되지 않은 교사용 지도서(교사들을 위한 지침서 부재) 역시 지역화 학습의 운영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3학년 사회과 수업시간에 지역화 교과서보다 국가수준의 일반 사회과 교과서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지역화 교과서에 자세한 학습 과제 제시와 안내(정보 수집 및 처리하는 방법, 요약하는 법, 보고하는 법, 학습하는 방법 등), 읽기 자료, 사진 자료, 삽화 등 가능한 지역정보가 다양한 자료의 형태로 수록되길 바라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지역화의 범위(구 단위)를 학문영역(지리, 역사, 일반 사회)별로 다양화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지역화 교과서가 각 구별로 한 권씩 따로 편찬되어 가급적 지역화 교과서의 지역정보가 풍부하고 충분하게 수록되길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정보의 학문영역별 지역 특수성에 대한 반영도는 지리영역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고, 상대적으로 역사영역에서 지역 특수성이 낮게 반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강남교육청과 성북교육청의 지역화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먼저 표지 사진 구성에 있어서 강남교육청은 강남(서초)지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도심 전경의 모습을 사용하였고, 성북교육청은 전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일반 사진을 사용하고 있었다. 지역화 교과서에 사용된 제목들은 두 교육청의 지역화 교과서 모두 국가수준의 교과서와 거의 동일하게 진술되어 있어고, 지역화 교과서가 제공하는 지역정보들은 대체적으로 지명에 관련된 것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학문 영역별 분포를 보면 지리영역의 지역정보들이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상대적으로 역사영역의 지역정보가 적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지역화 교과서의 지역정보들을 단원별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성북교육청의 경우 본문자료에서 특정 단원에서만 과반수가 넘는 지역정보를 편중되게 수록하고 있었다. 지역화 교과서에 제공되는 기타 특수지역정보는 강남교육청의 경우 총 6개의 특수정보인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나, 성북교육청의 경우에는 하나의 통계자료만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할 때, 지역화 교육과정은 지역화 교과서가 지역 특수성에 기반한 지역정보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제공할 때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따라서 이 연구는 앞으로의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향에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for firs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reflection of local speciality that appears in the 3rd 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localization text books which are developed and published in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Seoul. It will then find out the ensuing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 of localization textbook from the realities of operation of the social studies localization curriculum. Using those findings as foundations it will finally explore tasks of improvement of the localization text books. To do so following questions are established for the study. First, What are the realities of operation of the social studies localization curriculum?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social studies localization text books? Third, How do the social studies localization text books which are developed and published in the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Seoul reflect the local speciality? In terms of methodology, questionnaire i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nsuing teachers' perception and request of localization textbook from the realities of operation of the 3rd 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localization curriculu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objects of questionnaire are 100 present public school teachers, in the Kang Nam and the Sung Buk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who have taught the 3rd grade social studi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valid returns of questionnaire are 100 and the rate of return is 100%. Also among the 3rd grade elementary localization text books which are developed and published in 11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Seoul the Kang Nam and the Sung Buk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oint out that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instructing localization study and reorganizing localization curriculum into living area due to the insufficiency of text contents and information recorded in localization text book. Also they consider absent of guidebook of localization textbook for teachers as a cause of impeding an operation of localization study. Second, it is found out that teachers use the national social studies textbook more than localization textbook in the 3rd 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and they demand information in a variety of forms of information such as presentation of learning subject and guidance (how to collect and handle information, how to summarize, how to report, how to learn, etc.), reading information, pictures, illustration and so on to be recorded in localization textbook. They also think that the areas of localization (the district level) which are dealt with in the 3rd grade elementary social studies localization textbook should be diversified in each sphere of knowledge (geography, history, general social studies). It is appeared that teachers hope localization textbook is published separately in each district so that it contains sufficient local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In terms of the degree of reflection about local speciality in each sphere of knowledge of local information it is found out to be the highest in geographical sphere while relatively low in historical sphere.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ocalization textbooks of the Kang Nam and the Sung Buk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rganization of cover picture the Kang Nam office used the whole view of the city which represent peculiarity of the Kang Nam area(i.e. Sucho) while the Sung Buk used a general one which does not reflect its local speciality at all. Second, the titles used in the localization textbooks of the both offices are stated almost the same as in the national textbook and the loc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calization textbooks showed a high rate of information mainly related to the name of places. Third, concerning the distribution of each sphere of knowledge the local information of geographical sphere were recorded the most while relatively little local information of historical sphere were dealt. Fourth, the consequence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cal information of the localization textbooks by dividing into chapters is that in the case of the Sung Buk office in the textbook information it recorded more than a majority local information preponderately in the specific chapters. Finally, regarding the other special local information provided in the localization textbooks the Kang Nam office provided the total of 6 statistical data while the Sung Buk office provided only 1 statistical data. With these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localization curriculum can be operated effectively when localization textbook provides various and sufficient local information which are based on local speciality.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een in which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future localization textboo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