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완기-
dc.contributor.author이승은-
dc.creator이승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52-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세계화ㆍ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새롭게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표방하면서 선택과목 위주의 교육과정 체제를 갖추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변화에 의거하여 고등학교 과정 11, 12학년『한국 근현대사』과목이 독립 편성되어 심화선택과목으로 신설되었고 『한국 근현대사』교과서가 검정 교과서로 전환되었다. 한국 근현대사는 현재와 직결되는 가까운 과거의 역사로서 현재 사회를 형성하는 토대이자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현재 문제들의 뿌리가 형성되었던 시대이므로 한국 근현대사 교육은 역사교육의 목적을 구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 근현대사는 정치 현실적으로나 입시 위주의 여건 하에서 제대로 교육되지 못하였고 국정 교과서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정권의 이데올로기에 편향되어 객관적이고 다양한 내용과 연구성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비록 교육과정 운영상에 있어 심화선택과목이라는 제한성이 있기는 하지만『한국 근현대사』가 검정 교과서로 전환되어 독립된 과목으로 다루어진다는 것은 역사교육에 있어 한국 근현대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다양한 교과서가 출현할 수 있게 되어 선택의 기회를 넓혔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가진다. 새롭게 행해지고 있는『한국 근현대사』교육에 앞서 먼저 교수ㆍ학습 활동의 기본교재인 교과서에 대한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특히 주목되는 일제 강점기를 대상으로『한국 근현대사』교과서가 서술체제와 서술내용의 측면에서 기존 교과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검정 교과서로서의 당위성과 차별성을 가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새로 개정된『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검정 교과서로서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서의 집필지침인 제6차 교육과정『국사』와 제7차 교육과정『한국 근현대사』를 비교 분석하여『한국 근현대사』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국사』와『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서술체제와 서술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크게 변화된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국사』와『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차이점과『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상호간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체제에 있어『한국 근현대사』교과서는『국사』교과서에 비해 획기적인 외적 체제의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단원 전개 방식과 내용 구성 요소를 갖추었다.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도입체제와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본문 외에 다양한 삽화, 읽기자료와 탐구활동을 강화한 전개과정, 그리고 학생 스스로 탐구하는 정리과정의 체제로 학습내용을 전개하여 기존의 지식 중심의 교과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문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된 교과서부터 자료와 탐구활동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된 교과서까지 단원 전개 방식과 내용 구성 요소에 있어『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상호간의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서술내용에 있어『한국 근현대사』교과서는『국사』교과서에 비해 다양하고 풍부한 설명과 함께 대체로『국사』교과서의 냉전적인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고 민족운동의 전체상을 객관적이고 균형있게 서술하려 하였으며 성 불평등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집필자의 역사적 관점에 따라『국사』교과서의 서술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교과서부터 기존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극복하려는 교과서까지 서술내용상 변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어『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상호간의 차별성이 나타났다. 셋째,『한국 근현대사』교과서는 새롭게 변화된 서술내용을 주로 본문보다는 읽기자료 등의 학습보조자료와 탐구활동을 활용하여 전개하였고 본문에서의 새로운 내용전개도 끼워넣기 식으로 서술되어 체계적인 내용전개에 한계가 있다. 이것은 교과서의 서술지침인 제7차 교육과정이 제6차 교육과정의 서술내용과 차이가 적어 새롭게 변화된 내용을 본문에서 서술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한국 근현대사』교과서는 서술체제와 내용에 있어『국사』교과서와 차이점이 나타나고『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상호간의 차별성이 나타난 진일보된 교과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제약으로 인해 전체적인 내용체계가 유사하여 교과서의 다양성을 충분히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검정제도에 대한 정부 규제의 폭을 낮추고 궁극적으로는 역사 교과서의 자유발행제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교과서가 기본적인 학습자료로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서술에 있어 자율성과 다양성이 충분히 보장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곧 역사교육의 내실을 기하는 바람직한 방향의 하나인 것이다.;Upon meeting an era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newly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took student-oriented educational curriculum pursuing student self-autonomy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mendment,『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as constituted separately as selective concentration class in high school and the textbook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as converted into an authorized textbook. This change has significant meaning by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 history education and the opportunity of publishing a variety of textbooks. It will be essential to mak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extbook, a basic study material for both teaching and learning. In this regards, I assessed whether『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extbook has necessity and differentiation as an authorized textbook in the respect of text contents and description structure about Japanese colonial period, a highlight part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works, I tried to examine closely the achievement and limitation of this new history textbook as an authorized textbook. For purpose of this assessment, I reviewed fundamental direction and limitation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rough comparison between『Korean History』 i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and『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uthorized guideline for textbook writing. I also compared the descriptive structure and contents of both『Korean History』and『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and elicited the significantly changed parts,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books and even mutual differences among textbooks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works : Firstly,『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included remarkable changes of exterior description structure with a variety of chapter development methodologies and content structures compared wit『Korean History』. Specifically, great efforts were made to overcome those shortcomings of existing textbooks, which had focused on fact-based main text, by enhancing a variety of illustrations, reading materials, and research activities in order to accomplish student-oriented learning. In addition, there appeared the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ranging from main text focused textbook to the textbook concentrating on reference materials and research activities. Secondly, the new descriptive contents in『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enabled students to well understand overall pictures of the nationalist movements in objective and balanced manner while overcoming cold war ideology and gender discrimination in『Korean History』. The textbook authors' trial, however, had been appeared distinctively among the textbooks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ranging from the textbook that maintained the basic description viewpoint of『Korean History』to the one that tried to aggressively overcome the existing conventional perspectives according to their historical viewpoint. Thirdly, newly revised contents were proceeded mainly by supplementary materials including reading references and research activities and some new contents were inserted unsystematically in the main text rather than being incorporated in the main texts in well organized manner, which resulted in limitation in the systematic content development in『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or there is limitation in describing the newly revised contents in the main text as the contents of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not far from those of previous national curriculum. In conclusion, the textbook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can be called an advanced textbook in light of its differentiation from『Korean History』 and mutual distinctions among textbooks of『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ith respect to their description structure and content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new textbook contents, however, is similar to that of existing textbooks and thus revealed certain limitation in sufficiently expressing autonomy and diversification due to restriction on educ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it is required that governmental regulation level should be reduced regarding education curriculum and censorship and ultimately it is recommended to shift publishing system of history textbooks into liberal publishing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대상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제7차 역사과 교육과정 분석 = 6 A. 제7차 역사과 교육과정의 특징 = 6 B.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변화 = 8 C.『한국 근현대사』의 교육목표 및 내용체계 = 11 Ⅲ.『한국 근현대사』의 서술형태 분석 = 20 A. 서술체제의 분석 = 20 B. 서술분량의 분석 = 29 C. 학습보조자료 분석 = 34 Ⅳ.『한국 근현대사』의 서술내용 분석 = 37 A. 3ㆍ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 37 B. 사회주의 운동 = 46 C. 민족통일전선운동 = 57 D. 여성의 역할과 그 의미 = 68 Ⅴ. 결론 및 제언 = 81 참고문헌 = 85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0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검정 교과서 <한국 근현대사>의 차별성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