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봉규-
dc.contributor.author任英子-
dc.creator任英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6Z-
dc.date.issued197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1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9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138-
dc.description.abstractⅠ. 한국의 野草地는 人間의 간섭으로 교란을 받은 곳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인은 비교적 교란을 받지 않은 천마산의 억새型 草地를 대상으로 群落의 構造를 分析하고, 季節的인 變動에 관해서 野草地의 천이계열의 양상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 1972年 4月부터 1972年 9月下旬에 이르기까지 서울 근교의 천마산 중복(해발 200~300m)의 억새형 草地 群落의 構造를 分析하고, 季節的인 變動에 관해서 調査한 것이다. 本 調査는 20×20Sq.cm의 방형구 20개를 系統抽出法에 의해서 실시했으며, 측도로서는 各 草種에 對해서 個體數, 密度, 頻度, 被度, 草高, 生活型을 측정했다. 群落構造의 分析은 8月 13日에, 季節的인 變動의 調査는 5月 15日(1回), 6月 13日(2回), 7月 20日(3回), 8月 25日(4回), 9月 30日(5回) 等 5回에 걸쳐서 실시했다. Ⅲ. A. 군락구조 우점도에 관해서는 本群落에서는 3個以上의 測度를 積算 또는 處理한 優占度指數(dominance index)를 使用했다. 또한 우점도지수의 최대기대치는 그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IV(importance values)의 최대기대치는 300이고, SDR(summed dominance ratio), PI(Phytograph index)의 최대기대치는 100이다. 卽 IV는 상대밀도, 상대빈도, 상대피도의 三要素의 和이고, SDR은 밀도비, 빈도비, 피도비의 三要素의 和를 三으로 除한 것으로 SDR₃(CDF)로 表示했다. 또 草高地를 加한 四要素의 積算優占度는 SDR₄로 표시했고, PI는 다음 식과 같이 하여서 算出했다. PI = {(밀도비수+식물높이비수)×(피도비수+빈도비수)}/400 (%) 또한 SDR₃(CFH)는 피도비, 빈도비 및 초고비의 三要素의 和를 三으로 除한 것이다. 다시 균질도계수(CH_(D), CH_(C))와 A/F比를 算出하여 比較 검토했다. B. 季節的 變動 各 方形區에 나타난 종류밀도, 평균개체수, 출현종류수는 모두 7月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9月이 최저가 되어 있다. CHveg는 7月에 균질의 치를 나타내고 있어, 식물군락의 최성기가 7月 전후라고 생각된다. 주요초종의 계절적 변동에서 SDR₃를 CDF와 CFH로 나타냈으며, CDF와 CFH로 본 주요초종의 순위는 5~6月에 초고분화가 일어나서, CDF와 CFH에서 순위의 변화가 일어난 것 같다. 개체수의 균질도계수(CH_(D))와 피도의 균질도계수(CH_(C))에서 억새, 띄, 새는 6~9月에 걸쳐서 CH_(C)가 균질에 가까운 値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식물의 생활력이 왕성한 시기에 해당하며, 어린 식물이 많이 나오는 시기일수록 CH_(D)가 CH_(C)에 비해서 非均質한 것을 나타냈다. Ⅳ. 결과 A. 군락구조 1. 출현종류수는 38種, 하나의 方形區當의 種類數는 12.6種, 개체수는 137.4이다. 2. IV와 SDR₃(CDF)에서 上位種의 順位는 새-억새-그늘사초-띄 이며, 그 이하에서 변동이 있었다. 3. PI에서는 새-억새-띄-그늘사초의 순위이고, SDR₄에서는 새-억새-그늘사초-띄의 순위였고, 그 이하는 IV와 SDR₃(CDF)와 비슷했다. 4. 밀도요소를 제외한 SDR₃(CDF)의 경우 상위종의 순위는 IV, SDR₃(CDF), SDR₄, PI와 一致했다. 5. 본 군락은 억새-새-그늘사초의 分群集이라고 할 수 있다. 6. 생활형조성은 적산우점도에서 H-D₁-R₃-tu, 種類百分率에서는 H-D₁-R_5-tu이었다. B. 계절적 변동 7. 各 方形區에 나타난 종류밀도, 평균개체수, 출현종류수는 모두 7月에 최고치를 나타냈고, 9月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8. CHveg는 7月에 균질의 値를 나타내고 있어, 식물군락의 최성기가 7月전후이라 생각 된다. 9. 억새, 띄, 새는 6~9月에 CH_(C)가 균질에 가까운 値를 나타냈고, 어린 時期에서 CH_(D)가 Ch_(C)에 비해서 非均質한 것을 나타냈다. 10. A/F ratio는 各 時期를 통해서 고사리, 매돕풀, 씀바귀가 기회적 분포(random distribution)를 나타냈고, 억새, 솔새, 김의털, 띄, 새 等은 集落的이었다.;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1972 to Sep., 1972, in native grassland at Mt, Chun-Ma, Kyonggi-Do, where secondary succession was taken place. This survey adopted systematic sampling method and sampled 20 of 20 x 20 sq. cm. In each investigation, coverage, density, height, frequency of each species were analyzed. The community structures were analyzed by the summed index {SDR₃(CDF, CFH), SDR₄, IV, PI} and the coefficient of homogeneity (CHD, CHC) of main herbs in each investigated sites on the 13th, Oct., 1972. This community can be said that of the Miscanthus sinensis - Arundinella hirta - Carex lanceolata association. The dominant type by the combination of biological types are as follow : H - D₁ - R₃ - tu --- Summed dominance ratio H - D₁ - R₃ - tu --- Species % The seasonal fluctuation of the main herbs in this community can be recognized with the summed dominance ratio, coefficient of hemogeneity, and A/F rati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緖論 = 1 Ⅱ. 調査地의 槪要 = 2 Ⅲ. 調査方法 = 3 Ⅳ. 結果 및 考察 = 4 A. 群落構造 = 4 B. 季節的 變動 = 9 Ⅴ. 結論 = 15 參考文獻 = 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30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천마산-
dc.subject중복-
dc.subject억새형군락-
dc.subject천이-
dc.title天摩山 中腹의 억새型 群落構造와 季節的 遷移에 關하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dc.date.awarded197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