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9 Download: 0

협동학습이 지리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동학습이 지리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to a Geography Learning Achievement and Attitude : around Jigsaw I Model
Authors
이정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효현
Abstract
An extension of a research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goal of geographical education, is an important task which today's education should deal with. But the recent school classes are being performed in an one-side memorizing centered education activity as described as 'a busy teacher and bored students'. The future geographic education should go to the way that students themselves raise a self controlling study attitude and maximize the ability to select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a learner 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should be made to be able to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voluntarily and extend a creative thinking ability. To do that, we truly need a teaching-learning method appropriate to our learning site. This study's goal is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a class by developing geographic learning model and a teaching materials and applying to the real teaching class, using a cooperative learning in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In this study, first we collected and analyzed documents and preceding studies about a cooperative learning. And based on these, we applied JigsawⅠ cooperative learning to a geographic class, designing and performing a teaching-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8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irst grade, and we taught them dividing into two groups, a traditional lecturing way group and a JigsawⅠ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e section of the study was 'a verity of religion and culture' section in 'cultural area and global community forming' of high school social studies, and we performed a class through 3 times (15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s, we carried out a class achievement test, and after the class we carried out a test about the learning attitude. After the class performance, we also carried out an opinion survey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for the JigsawⅠ cooperative learning group. In a way to analyze, we used a frequency analysis, t examination method. And we used SPSS in a statistic program for analysis. The following is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n a difference of a learning achievement degree, it was concluded that there's a change to both the traditional lecturing way learning group and JigsawⅠ cooperative learning group in a learning achievement degree before and after the class. But on a numerical value, it was observed that Jigsaw cooperative learning group was relatively a little higher than the traditional lecturing way learning group in a width of change of learning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a learning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As result of a learning attitude test, an affirmative effect appeared in both the traditional lecturing way learning group and JigsawⅠ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especially we could get more affirmative responses in JigsawⅠ cooperative learning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a learning attitude by a learning ability, a lower learning ability group has higher favor and participation and interest about the cooperative learning. After the cooperative learning,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students' opinion, there were more affirmative opinions than negative opinions in every item such as interest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etc about the class. But it was researched that there were a little students who felt burdens in the cooperative learning.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the geographic cooperative learning using JigsawⅠ model' has an affirmative effect for a learning achievement and a learning attitude when it is applied to the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to normalize this we need to study this continuously by extending and applying a study period, study objects and the contents area in various ways.;지리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되어 온 탐구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의 신장은 오늘의 교육이 담당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그러나 지금의 전형적인 학교 교실 수업의 모습은 ‘바쁜 교사와 심심한 학생’으로 표현될 만큼 일방적인 암기위주의 교육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의 지리 교육은 다양한 학습 자료에 알맞은 학습 방법을 통해 학생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를 함양하고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취사선택 능력을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고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의 학습 현장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으로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지리과의 학습 모형 및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수업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협동학습에 관한 문헌과 선행 연구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JigsawⅠ 협동학습을 지리과에 적용시켜 교수-학습을 설계·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 80명이며, 전통적인 강의식 학습 집단과 JigsawⅠ 협동학습 집단의 2집단으로 나누어 수업하였다. 연구 단원은 고등학교 사회의 「문화권과 지구촌의 형성」 중 ‘종교와 문화의 다양성’ 단원으로, 3차시(150분)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수업 처치 전, 후에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처치 후 학습 태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후 JigsawⅠ 협동 학습 집단을 대상으로 협동학습에 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 분석, t검정 방법을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사전 학업성취도와 사후 학업성취도를 비교해 본 결과 전통적인 강의식 학습 집단과 JigsawⅠ 협동 학습 집단 모두 수업 전후로 학업성취도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의 상승폭을 분석한 결과 JigsawⅠ협동 학습 집단이 전통적인 강의식 학습 집단에 비해 수업 전후의 학업성취도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조금 더 큰 것으로 관찰되어 JigsawⅠ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 스타일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 태도 검사 결과, 전통적인 강의식 학습 집단과 JigsawⅠ 협동 학습 집단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JigsawⅠ 협동 학습 집단에서 더욱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 태도를 분석해본 결과 학습 능력이 낮은 집단에서 협동학습에 대한 선호도 및 참여도, 흥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학습을 실시한 후 대상 학생들의 의견을 설문 조사한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이해도 등 모든 항목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부정적인 반응보다 많았다. 그러나 협동학습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도 일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JigsawⅠ 모형을 이용한 지리과 협동학습’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을 때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기간, 연구대상과 내용영역을 다양하게 확대·적용하여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