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시 교육에서의 감상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Title
시 교육에서의 감상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a lesson model for developing the ability toappreciate poems
Authors
한지혜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시교육감상능력교수학습모형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자
Abstract
기존의 문학 교육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강의식, 주입식 문학 작품 분석 위주의 수업 방법일 것이다. 문학 장르 가운데 특히 시는 학습자들이 시 작품을 통해 시적 감수성 및 상상력을 기르고 삶의 총체적인 모습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시 교육은 교사의 분석적 작품 해석으로 시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시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시 수업의 최종적인 목표는 시를 읽고 감상할 줄 알며, 다른 시도 또한 즐길 수 있는 문학적 능력을 갖추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문학적 능력은 일정한 원리에 따라 가르치고 배우는 것을 통해 갖출 수 있는 데 이것이 문학 교수-학습활동이 필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점에서 문학 교수-학습 활동의 모형은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읽거나 문학적인 감응을 얻고 이를 자기화하는 과정 전반을 고려한 모형이 이상적일 것이다. 본 연구의 논의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는 Ⅱ장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개편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의 시 단원을 통해 달라진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이 가져온 긍정적인 변화에도 교육과정 측면, 학습자 측면, 교수-학습 측면에서 여전히 많은 문제가 지적되 었다. Ⅲ장에서는 기존의 문학 교수 모형에서 시 수업 모형으로서의 적합성을 검증하며 시 감상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시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학습자가 시에 접근하여 목표를 달성하게 하기 위한 시 수업 절차는 '반응·기술하기, 비교·확장하기, 분석·심화하기, 대화·자기화하기'의 순서로 진행되며, 각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 또한 제안하여 학교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제시한 시 교육 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중학교 2학년 학생에게 교과서에 실려 있는 김현승의 "지각(知覺)"이란 시작품으로 시 감상수업을 진행하였으며, Ⅴ장에서는 앞서 적용한 수업 모형에 따라 수업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봄으로써 시 수업 모형의 일회성을 탈피하고 현장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이상의 방법으로 새로운 시 감상 수업 모형을 적용한 결과 아래와 같은 성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하나의 시 텍스트에 대한 교사의 지시적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감상의 수준을 저급에서 고급으로 나아가는 순차적인 활동으로 학습자의 시에 대한 감상력을 키울 수 있었다. 둘째, 시에 대한 단순한 반응을 기술하고, 시를 다른 작품과 비교하고 다시 읽으면서 반응을 점차 심화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에 대한 최종 감상력을 키우기 위한 반응의 내면화로 나아가도록 절차를 마련하었다. 셋째, 시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 냄으로써 새로운 시 해석의 폭을 넓히고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기를 뿐만 아니라 시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었다. 넷째,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모형 절차에 따라 수업을 진행함으로씨 아무런 계획 없이 시를 대하는 현재의 시 교육의 문제를 어느 정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학생의 시 감상 활동에 대한 교사의 철저한 방향 제시와 안내, 그리고 학생들이 보이는 반응에 대한 끊임없는 피드백으로 감상 활동이 자의적이고 주관적으로 흐르지 않을 수 있었다. 여섯째, 한 편의 시를 수박 겉핥기식이 아닌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 작품 이해의 극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일곱째, 학생들의 시에 대한 거리감을 좁히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었다.;The realm of literature on the subject of Korean contains a number of problems from material selection to teaching methods. The biggest problem it reveals in teaching literature is that teaching methods are oriented toward teacher-centered lecturing and infusing analysis of literary works into students. In particular, the way poetry is taught has led to the situation in which students cannot interpret poems without guidance of teachers or reference books and they have difficult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on poems. The ultimate objective of teaching poems is to read and appreciate them and to develop the literary ability to enjoy other poems a s well. They should be presented using a method enabling students to appreciate any poem by themselves by using the same approach. This literary ability could be acquired by using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at is the reason that activit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literature are needed. The ideal activity for this is considered to be one in which a learner reads a literary work, responds to it, then internalizes his or her response. In chapter Ⅱ in which the discussion of this research starts,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eaching poems in changing school education by examining the unit dealing with poems in a middle-school textbook consistent with the 7th curriculum. Even though the 7th curriculum has caused positive changes, many problems have been nevertheless pointed out concerning aspects of curriculum, learners, and teaching-learning. In chapter Ⅲ, this researcher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 poetry-teaching model within existing literature-teaching models and presented a new poetry-teaching model which improves the ability to appreciate poems. The poetry-teaching procedure which enables a learner to approach a poem and attain this goal has these steps: response-describing, comparison-extending, analysis-deepening, and conversation-internalizing. This researcher gives a substantial assistance by presenting concrete teaching examples for each step of the procedure. In chapter Ⅳ, this researcher actually taught middle school 2nd graders a poem, "Perception" by Kim, Heon-seung, which is presented in the textbook, using the poetry-teaching model presented in chapter Ⅲ. In chapter Ⅴ, this researcher tried to break away from a disposable trait of a poetry-teaching model and estima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reviously presented poetry-teaching model to the present education spot, by examining consequences and limits of the lesson following the model.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described new poem appreciation teaching model,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achieved. First,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the ability to appreciate poems through the sequence of activities through which class gradually escapes from the teacher's directive lecture on a poem text, and which encourage a g r o w i ~ g level of appreciation. Second, the procedure was as follows: describing a simple response to a poem, deepening the response by comparing the poem with other works and rereading it, and finally internalizing the response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of ultimate appreciation of the poem. Third, it was possible to broaden the new interpretation of the poem,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to keep their interest in a poem as well, by inducing their various responses to a poem text. Fourth, it was possible to remedy to a certain extent some problems of the present poem teaching in which poems are treated with no plan, by using a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model procedure. Fifth, students were able not to sway by sentiment and subjective while the teacher guided the students by giving thorough directions of an activity; and gave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to students' responses so that the lesson progressed smoothly. Sixth, students became able to fully understand a poem because they had a chance to comprehend the poem deeply through personal reflection on the poem, not in a superficial manner. Seventh, it was possible to decrease a students' sense of distance to poems and to arouse students' intere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