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한국인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의 유전체 이상 분석

Title
한국인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의 유전체 이상 분석
Other Titles
Genomic alterations in Korea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rray-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uthors
조윤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성민
Abstract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은 성인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최근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두암은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중 가장 흔한 암으로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의 유전학적 병인은 분자생물학적 변이와 염색체의 이상 등이 복잡하게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유전자의 변이는 보고된 바가 없다. Array 비교 유전체 보합법은 암유전자, 암억제유전자의 전반적인 변화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며 암 발생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는 후두 편평상피세포암 조직을 대상으로 array-CGH를 시행하여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의 염색체 이상과 유전자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MAP2, EPHA3, EVI1, LOC389174, NAALADL2, USP47, CTDP1, MASP1, AHRR, KCNQ5 등을 비롯한 다수의 유전자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RRM1L, ANKRD19, FLJ39303, ZNF141, DSCAM, GPR27, PROK2, ARPP-21, B3GAT1 등의 유전자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유전체 이상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암발생과 관련된 자세한 유전학적 변화들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단계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의 진단과 치료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간 유전자 지놈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 베이스와 array CGH의 높은 해상력을 이용한 이번 연구는 감소 또는 증가한 유전자를 통해 암 발생과 관련된 표적 유전자를 찾아내는 데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notorious for its poor outcome and increasing incidence, and laryngeal cancer is the most frequent subtype of HNSCC. Genetic etiology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is very complex, with both molecular and chromosomal alterations involved. The target genes have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Array based CGH (array-CGH) allows investigation of general changes in target oncogenes and tumor suppressor genes, which should, in tur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ncer process. In this study, I used genomic wide array-CGH in tissue specimens to map genomic alterations found i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 As a results, gains of MAP2, EPHA3, EVI1, LOC389174, NAALADL2, USP47, CTDP1, MASP1, AHRR, and KCNQ5, with losses of SRRM1L, ANKRD19, FLJ39303, ZNF141, DSCAM, GPR27, PROK2, ARPP-21, and B3GAT1 were observed frequently i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tissue specimens. These data about the patterns of genomic alterations could be a basic step for understanding more detailed genetic events in the carcinogenesis and also provide informat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i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The high resolution of array-CGH combined with human genome database would give a chance to find out possible target genes which were gained or lost clon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