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3 Download: 0

가곡의 계면두거와 관계되는 악곡의 대금선율 비교

Title
가곡의 계면두거와 관계되는 악곡의 대금선율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among Daegum melodies in association with Gyuemyundugeo of Gagok : Focused on Gyuemyondugeo of Namchanggagok, Gyuemyondugeo of Jajinhanip, Cheongsung Jajinhanip
Authors
박재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종진
Abstract
본 논문은 가곡의 <계면두거>와 관계되는 같은 계통의 음악인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그리고 대금 독주곡 <청성자진한잎>에 대하여 대금선율을 중심으로 하여 출현음과 음계, 선율비교, 시김새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게 되었다. 첫째, 세 곡의 음역을 살펴본 결과, <청성자진한입>은 林-南-潢-汰-고-淋-湳-潢 자진한입 중 <계면두거>는 仲-林-無-潢-汰-충-淋-潕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는 임-무-黃-太-仲-林-無-潢-汰-충 이다. 둘째, 장별로 선율을 비교 했을 때, 제 1ㆍ2ㆍ3장에서는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와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는 유사 선율이 많이 나타났지만,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와 <청성자진한잎>은 유사 선율보다는 다른 선율이 더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중여음, 4장, 5장의 선율을 비교 했을 때, 세 곡에서 다른 선율이 같은 선율이나 유사 선율에 비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중여음 이후부터는 세 곡의 선율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선율의 유형은 같은 선율과 유사 선율, 다른 선율로 구분되며,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와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에서는 같은 선율이 40.1%, 유사 선율이 27.8%, 다른 선율 32.1%로 나타났고,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와 <청성자진한잎>에서는 같은 선율 34.2%, 유사 선율이 32.1%, 다른 선율 33.7%로 나타났다. 넷째,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청성자진한잎> 이 세 곡에는 총 501회의 시김새가 출현하며, 앞장식음은 10가지로 총 258회, 뒷장식음은 11가지로 총 243회의 여러 가지 시김새가 다양하게 쓰였다. 앞장식음 중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시김새는 ‘∼’로 약 16.8% 이며, 뒷장식음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는 시김새는 ‘И ’로 약 16.2%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대금의 특징적인 시김새는 ‘S'와 ‘ㄷ’이다. ‘S(떠이어)'는 음역이 낮은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에서는 출현하지 않고, 음역이 높은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와 <청성자진한잎>에서 습관적으로 자주 쓰임을 알 수 있다.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의 /林/의 앞장식음 ‘ㄷ(너니로)’는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에서 /남/에 ‘ (루니)’와 /淋/에 ‘S(떠이여)'가 붙는 시김새로 바뀌고, <청성자진한잎>에서는 /湳/에 ‘⊏'(노니레)가 붙는 형태, 즉 /淋/에 앞장식음 ‘S(떠이여)'와 /湳/에 ‘∧(니레)’로 바뀌어 ‘S∧’(떠이어 니레)의 형태로 바뀌어 나타난다. 이상으로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대금독주곡 <청성자진한잎>의 음역과 선율분석, 그리고 시김새를 중점적으로 살펴본 결과 이 세 곡은 모두 같은 음악을 한 옥타브를 올렸거나, 이를 다시 2도 올려서, 이것이 시김새나 리듬형에 변화를 갖게 되면서 서로 다른 음악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결국,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를 한 옥타브 올리면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가 되고,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를 2도 올리면 <청성자진한잎>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Followings are comparison among of Gagok and , and , in the respect of notes, scale, Sigimsae, focused on Daegum melody. First, The compasses of three songs are 林-南-潢-汰-고-淋-湳-潢 in , 仲-林-無-潢-汰-충-淋-潕 in of Jajinhanip, 임-무-黃-太-仲-林-無-潢-汰-충 in of Namchanggagok. Second, Comparing melodies in each chapter, there are more proportions of similar melodies of and in chapter 1, 2, and 3, while different melodies outnumber similar melodies in and . These songs seem to be relatively similar after Cheongyeom, since there are few amount of dissimilar melodies in Cheongyeom, chapter 4 and 5. Third, types of melodies are divided into the same melodies, similar melodies, different melodies. There are respectively 40.1% of the same melodies, 27.8% of similar melodies, 32.1% of different melodies in comparison of and , 34.2%, 32.1%, and 33.7% in and . Forth, There are 501 Sigimsaes in these 3 pieces, 10 types of front ornamentations are used in 258 times, 11 types of rear ornamentations are uesd in 243 times. Most frequent front ornamentation is '~' (16.8%), and most frequent rear ornamentation is 'И' (16.2%). Fifth, Distinctive Sigimsaes in Daegum playing is 'S(Tteoio)'' and 'ㄷ(neoniro)'. 'S(tteoio)' appears in and frequently, whose compass is high, but does not appear in , whose compass is low. 'ㄷ(neoniro)', which is front ornamentation of /林/ in , attachs to '林' in . Another front ornamentation 'S(tteoio)' attachs to ' (루니)‘ 'and /淋/. In , 'ㄷ(nanire)' attachs to /湳/, which transformed to 'S∧'(tteoio nire) along with 'S'(tteoio) of /淋/'s ornamentation. Analysis of in Gagok, in Jajinhanip, in the respect of Compass, melody, and Sigimsae, They share the same origin of music, although it can be elevated 1 octave or 1 octave and 2 degrees. Variation of Sigimsae or rhythm, they have developed to different songs. To conclude, of Jajinhanip is 1 octave-elevation of of Gagok, Which is same scale of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