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종진-
dc.contributor.author박재영-
dc.creator박재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8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6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가곡의 <계면두거>와 관계되는 같은 계통의 음악인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그리고 대금 독주곡 <청성자진한잎>에 대하여 대금선율을 중심으로 하여 출현음과 음계, 선율비교, 시김새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게 되었다. 첫째, 세 곡의 음역을 살펴본 결과, <청성자진한입>은 林-南-潢-汰-고-淋-湳-潢 자진한입 중 <계면두거>는 仲-林-無-潢-汰-충-淋-潕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는 임-무-黃-太-仲-林-無-潢-汰-충 이다. 둘째, 장별로 선율을 비교 했을 때, 제 1ㆍ2ㆍ3장에서는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와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는 유사 선율이 많이 나타났지만,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와 <청성자진한잎>은 유사 선율보다는 다른 선율이 더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중여음, 4장, 5장의 선율을 비교 했을 때, 세 곡에서 다른 선율이 같은 선율이나 유사 선율에 비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중여음 이후부터는 세 곡의 선율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선율의 유형은 같은 선율과 유사 선율, 다른 선율로 구분되며,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와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에서는 같은 선율이 40.1%, 유사 선율이 27.8%, 다른 선율 32.1%로 나타났고,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와 <청성자진한잎>에서는 같은 선율 34.2%, 유사 선율이 32.1%, 다른 선율 33.7%로 나타났다. 넷째,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청성자진한잎> 이 세 곡에는 총 501회의 시김새가 출현하며, 앞장식음은 10가지로 총 258회, 뒷장식음은 11가지로 총 243회의 여러 가지 시김새가 다양하게 쓰였다. 앞장식음 중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시김새는 ‘∼’로 약 16.8% 이며, 뒷장식음에서 가장 많이 출현하는 시김새는 ‘И ’로 약 16.2%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 대금의 특징적인 시김새는 ‘S'와 ‘ㄷ’이다. ‘S(떠이어)'는 음역이 낮은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에서는 출현하지 않고, 음역이 높은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와 <청성자진한잎>에서 습관적으로 자주 쓰임을 알 수 있다.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의 /林/의 앞장식음 ‘ㄷ(너니로)’는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에서 /남/에 ‘ (루니)’와 /淋/에 ‘S(떠이여)'가 붙는 시김새로 바뀌고, <청성자진한잎>에서는 /湳/에 ‘⊏'(노니레)가 붙는 형태, 즉 /淋/에 앞장식음 ‘S(떠이여)'와 /湳/에 ‘∧(니레)’로 바뀌어 ‘S∧’(떠이어 니레)의 형태로 바뀌어 나타난다. 이상으로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대금독주곡 <청성자진한잎>의 음역과 선율분석, 그리고 시김새를 중점적으로 살펴본 결과 이 세 곡은 모두 같은 음악을 한 옥타브를 올렸거나, 이를 다시 2도 올려서, 이것이 시김새나 리듬형에 변화를 갖게 되면서 서로 다른 음악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결국, 남창가곡 중 <계면두거>를 한 옥타브 올리면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가 되고,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를 2도 올리면 <청성자진한잎>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Followings are comparison among <Gyuemyondugeo> of Gagok and <Jajinhanip>, and <Cheongsong Jajinhanip>, in the respect of notes, scale, Sigimsae, focused on Daegum melody. First, The compasses of three songs are 林-南-潢-汰-고-淋-湳-潢 in <Cheongsong Jajinhanip>, 仲-林-無-潢-汰-충-淋-潕 in <Gyuemyondugeo> of Jajinhanip, 임-무-黃-太-仲-林-無-潢-汰-충 in <Gyuemyondugeo> of Namchanggagok. Second, Comparing melodies in each chapter, there are more proportions of similar melodies of <Gagok> and <Jajin> in chapter 1, 2, and 3, while different melodies outnumber similar melodies in <Jajin> and <Cheongja>. These songs seem to be relatively similar after Cheongyeom, since there are few amount of dissimilar melodies in Cheongyeom, chapter 4 and 5. Third, types of melodies are divided into the same melodies, similar melodies, different melodies. There are respectively 40.1% of the same melodies, 27.8% of similar melodies, 32.1% of different melodies in comparison of <Gagok> and <Jajin>, 34.2%, 32.1%, and 33.7% in <Jajin> and <Chheongja>. Forth, There are 501 Sigimsaes in these 3 pieces, 10 types of front ornamentations are used in 258 times, 11 types of rear ornamentations are uesd in 243 times. Most frequent front ornamentation is '~' (16.8%), and most frequent rear ornamentation is 'И' (16.2%). Fifth, Distinctive Sigimsaes in Daegum playing is 'S(Tteoio)'' and 'ㄷ(neoniro)'. 'S(tteoio)' appears in <Jajin> and <Cheongja> frequently, whose compass is high, but does not appear in <Gagok>, whose compass is low. 'ㄷ(neoniro)', which is front ornamentation of /林/ in <Gagok>, attachs to '林' in <Jajin>. Another front ornamentation 'S(tteoio)' attachs to ' (루니)‘ 'and /淋/. In <CheongJa>, 'ㄷ(nanire)' attachs to /湳/, which transformed to 'S∧'(tteoio nire) along with 'S'(tteoio) of /淋/'s ornamentation. Analysis of <Gyuemyondugeo> in Gagok, <Gyuemyondugeo> in Jajinhanip, <Cheongsong Jajinhanip> in the respect of Compass, melody, and Sigimsae, They share the same origin of music, although it can be elevated 1 octave or 1 octave and 2 degrees. Variation of Sigimsae or rhythm, they have developed to different songs. To conclude, <Gyuemyondugeo> of Jajinhanip is 1 octave-elevation of <Gyuemyondugeo> of Gagok, Which is same scale of <Cheongsong Jajinhani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본론 5 A. 세 악곡의 출현음 및 음역 5 B. 선율 및 시김새 비교 6 1. 제1장 6 가. 선율비교 6 나. 시김새 13 2.제2장 15 가. 선율비교 15 나. 시김새 20 3. 제3장 22 가. 선율비교 22 나. 시김새 30 4. 중여음 31 가. 선율비교 31 나. 시김새 35 5. 제4장 36 가. 선율비교 36 나. 시김새 40 6. 제5장 41 가. 선율비교 41 나. 시김새 51 Ⅲ. 결론 54 참고문헌 56 Abstract 58 참고악보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57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곡의 계면두거와 관계되는 악곡의 대금선율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곡 계면두거, 자진한잎 중 계면두거, 청성 자진한잎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ison among Daegum melodies in association with Gyuemyundugeo of Gagok : Focused on Gyuemyondugeo of Namchanggagok, Gyuemyondugeo of Jajinhanip, Cheongsung Jajinhanip-
dc.creator.othernamePark, jae young-
dc.format.pageix.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