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0 Download: 0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Title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f Parental Foster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their Ego-Identity
Authors
이태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부모양육태도자녀자아정체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응연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가 의도한 양육태도 유형을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정체감의 제 변인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남녀학생 155명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조사를 위해 사용된 도구는 오기선의 친자관계 진단검사와 김형태의 자아정체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부모가 의도한 양육태도와 자녀에게 지각된 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자아정체감의 발달정도를 비교하기위해 Tukey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의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상관계수를 내어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가 의도한 양육태도와 자녀가 지각한 양육태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녀는 부모가 의도한 것보다, 복종적이고, 맹종적이라고 지각하고 반면, 부모의 엄격성, 아버지의 불안과 어머니의 익애 모순 - 불일치 태도에 대해서는 부모보다 덜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자아정체감 발달수준이 중학생 집단과 고등학생 집단간에는 차이가 없고, 남·녀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여학생집단이 남학생 집단보다 자아정체감 척도의 몇 개의 하위요소(신뢰성, 솔선성, 정체감, 목표지향성, 대인관계 역할인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셋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정체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를 복종(익애, 맹종)형으로 지각할 수록 신뢰성이 높아지고 익애형으로 지각할 수록 정체감이 높아진다. 또한 아버지를 익애형으로 지각할 수록 목표지향성이 높아진다. 부모를 불일치형으로 지각할 수록 신뢰성, 자율성, 솔선성, 근면성, 안정성, 대인관계 역할 인지 자기 수용성이 낮아진다. 즉 부모로부터 불일치적 태도의 양육을 받는 경우 전반적인 자아정체감의 정도가 낮아진다. 또한 어머니를 간섭형으로 지각할수록 안정성이 낮아진다. 위의 연구결과를 보면 부모가 서로 다르게 자녀를 양육한다고 지각하는 경우, 자녀의 자아정체감과 독특하게 관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중·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갖는 상관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ostering attitude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ego-identity. For that, it was to clarify the types of parental fostering attitude and of that perceived by children, and seeked to the relationship among related variables. From a middle school and a high school, 155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at this investigation. A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us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diagnostic examination by Kee-sun Oh and the Development Stage Scale of Ego-identity by Hyung-Tae Kim. The analysis methods of the data applied were t-test, tukey-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al fostering attitude and that perceived by their children. Children perceived their parents figure to be more strict, obedience, blind obedience, but to be less anxious as for the father figure and dotage, contradictory-iconsistencies attitude of the mother than the parents presume. Second, in the comparisons with the development of ego-ident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won significantly high scores in ego-identity than male.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n between parental fosterinn attitude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ego-identity. The more the child perceived a obedience in parents, the child displayed a higher level of reliability, and the more a dotage, the higher identity. Also the more a doting father figure, the higher goal-oriented figure. The more the child perceived inconsistent parent figure, the lower reliability, atutonomy, initiationess, diligence, stability, role-perception on the personal relation and self-acceptance. That is, as the child is foaled inconsistently by parent, it is a lower level to their whole ego-identity. Therefore this thesis is designated to help people understand more deeply and thoroughly about how parental fostering attitude affects identity of you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