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9 Download: 0

Bertolt Brecht의 "서푼짜리 오페라" 에 대한 고찰

Title
Bertolt Brecht의 "서푼짜리 오페라" 에 대한 고찰
Other Titles
Eine Studie u¨ber Bertolt Brechts 『Die Dreigroschenoper』
Authors
李聖淑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독일어교육분야
Keywords
Bertolt Brecht서푼짜리 오페라Die Dreigroschenoper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Die vorliegende Arbeit ist ein Versuch, die literarischen Mittel im epischen Theater und die gesellschaftliche Kritik Bertolt Brechts in 『der Dreigroschenoper』 zu untersuchen. Im Fru"hjahr 1928 wollte Brecht 『The Beggar's Opera』 von John Gay bearbeiten aber er u"bernahm die Struktur des Stu"ckes freilich nicht unvera"ndert. Er versucht na"mli처 die sozialen Konflikte zuzuspitzen, Die Struktur 『der Dreigroschenoper』 besteht aus dem Vorspiel und drei Akten. Dazu verwendete Brecht die Form der Ballade Oper, die damals popula"r war. Und die Struktur wurde sowohl durch die Verwendung von Szenentiteln, als auch durch die Songs die die Dialogszenen trennende, immer wechselnde Beleuchtung betont. Vor allem interessierte Brecht sich fu"r die Verha"ltnisse der Gesellschaft. Er dachte, die Menschen seien zwar von der Gesellschaft bedingt, aber dies sei nicht unvera"nderlich. Das heiβt, er horrte, durch seine Stu"cke die kritische Erkenntniss der Menschen zu bewirken und die vorhandenen Verha"ltnisse zu vera"ndern. So stellte er in esimen Stu"ck dar, wie die wirtschaftlichen Situationen und die Moral in Beziehung standen und wie die Religion damals keine Rolle spielen konnte. In seinem Stu"ck gilt die Kritik am Christentum nicht mehr dem Wesen Gottes selbst, sondern der Funktion der Religion. So analysierte er, wie die Religion als Mittel zum Gekdverdienen ausgenutzt werden kann. Freilich glaubte Brecht nicht, daβ die Welt durch sein Stuc"ck vera"ndert werden kann. So stellte er zwar in seimen Stu"ck die damaligen sozialen Problene dar, aber bot er keine Lo"sungen. Er gab den Zuschauern lediglich eine Gelegenheit, die Wirklichkeit anders zu betrachten. Die Lo"sungen muβ der Zuschauer selber finden. Wenn Brecht auch die Werke eines anderen Autors bearbeitets, so hat er doch ausgezeichete Leistungen hinterlassen, so daβ er aufgrund seiner Theorie vom epischen Theater und vom Verfremdungseffekt mit den spa"teren Dramen eine Wirkung erzielt hat.;산업혁명에 의한 기술의 향상으로 인한 경제발전과 프랑스 혁명으로 인한 대중사회로의 발전 등으로 기존의 가치질서와 사회질서가 파괴되기 시작했다. 또한 봉건제도의 몰락과 함께 서민이 시민으로서 사회의 주측을 이루면서 그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짐과 동시에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신념이 생겨났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문학에 있어서도 인간에 대한 관찰은 인간 하나만 분리해서 관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사회와의 관계속에서 관찰해야 한다는 의식이 싹트게 되었고 나아가서 그 사회적 관계들에서 야기되는 여러 상황들을 인간이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생각하게 되었다. 희곡에 있어서도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생겨난 것이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das epische Theatertheorie)이다. 그리고 서사극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외효과" (Verfremdungseffekt)라는 서사극의 중심개념을 잘 파악해야 한다. 브레히트는 서사극 이론으로 새로운 연극을 개척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롭게 형성될 사회와 인간상을 변증법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예시해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서푼짜리 오페라」 (Die Dreigroschenoper)라는 많은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독창적인 작품이 아니라 영국의 극작가 John Gay의 「거지 오페라」 (The Baggar's Opera)를 개작한 것으로 브레히트는 게이의 작품을 외형적인 면에서는 크게 고치지 않았다고 하나 작가로서의 관점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입장에서 출발한다. 여기에서는 브레히트가 추구하면 서사극의 완성된 면모는 볼 수 없지만 그가 독일뿐만 아니라 세계 연극계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이 극이 공연된 이후부터였다. 브레히트에 의해 개작된 「서푼짜리 오페라」는 자본주의 사회가 중심이 되며, 그 상황에서 야기되는 사회적 관계에 촛점을 맞추고 있지만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사회적 이면에 대한 관찰을 시도한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브레히트가 당시의 사회에서 발생되는 것을 연극이라는 형식을 통해 관객에게 보여줌으로써 자명하고 잘 알려진 사실과 불변인 것처럼 보이는 것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게 함으로써 제시된 사건에 대해 비판적이며 능동적인 관찰력을 끌어내려는 연극적 효과를 얼마나 잘 표현해 주고 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서론에서는 브레히트가 게이의 「거지 오페라」 를 개작하게 된 동기와 그로 인해 「서푼짜리 오페라」 가 생겨나게 된 생성배경을 알아보았다. 본론 A에서는 브레히트가 새롭게 추구한 서사적 표현기법 가물데 서언과 발문, 쏭의 기능, 관객을 향한 대사, 그리고 장면제목과 내용설명에 대해 살펴 보았고, 본론 B에서는「서푼짜리 오페라」 에 나타난 이로니(Ironie)와 파로디(Parodie)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본론 C에서는 「서푼짜리 오페라」 에 나타난 사회비판의 모습을 경제적 상황과 윤리성, 그리고 종교의 역할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브레히트는 현실사회에 나타난 여러가지 사건이나 모순을 서사적 기법을 수단으로 연극이라는 형식을 통해 관객에게 보여주는 바, 이 작품에서 작가는 자신이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말해 주는 것이 아니라 관객 스스로 느끼고 판단할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독일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