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2 Download: 0

학령기 아동의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 발달에 대한 연구

Title
학령기 아동의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 발달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nceptual development of physical causa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Authors
황명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학령기 아동물리적 인과관계개념 발달아동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연순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에게 주변 사물에 관해 질문을 통한 면접을 실시함으로써 사물의 종류와 학년에 따른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의 발달을 분석하고, 아동의 비 인과적 사고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사물의 중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사물의 종류에 따라 1학년의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1-2. 사물의 종류에 따라 3학년의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1-3. 사물의 종류에 따라 5학년의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2.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학년에 따라 친숙한 사물에 대한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2-2. 학년에 따라 관계 먼 사물에 대한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3,5학년의 아동으로써 각 학년당 20명씩 총 60명을 무선 표집하였다. 연구는 개별면접으로 실시되었는데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Berzosky(1971)의 질문들을 수정, 보완하고, 그림을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x^(2)검증한 후 5% 수준에서 유의도를 보았다. 또한 검증의 과정에 사용된 자료를 질적으로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사물의 중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년의 차이없이 1,3,5학년 모두 기능부진의 사물에 대해 인과관계 개념이 가장 발달하였으며, 다음으로 친숙한 사물에 대해 발달하였고, 단계 먼 사물에 대한 인과관계 개념이 가장 덜 발달 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리적 인과관계 개념 발달은 두 가지 유형(친숙한 사물, 관계 먼 사물)에서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발달되어 갔다. 나머지 한가지의 유형(기능 부진의 사물)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개학년 모두가 공통적으로 기능부진의 사물에 대한 인과관계 개념이 98%이상 발달되었다. 3. 아동의 비 인과적 사고의 형태로는 물활론적, 목적론적, 마술적, 인공론적, 도덕적인 것이 많으며, 이밖에 동화, 경험, 다른 사물의 특성이나 물리적 개념, 발달과업, 공포, 시사적인 지식등에 근거한 것이 있다. 또만 아동은 학년이 낮을수록 대명사와 신체 언어를 많이 사용하여 의미를 전달하였으며 이것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어들었다.;The purpose of stud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development of physical causa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subject were 60 students, who were at first, 3th, 5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interview with 22-questions designed ( by Berzonsky. 1971 ) to asses the child's concepts of physical causality. Questions in the interview deal with familiar, remote, and malfunctional objects. The data was analysized by chi- squar(x^(2)). And responses of the interview were categorized into 6 according to chracteristics of children's think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eferences according to objects types in the physical causality of all grades of subjects. 2. The were more significant de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familar and remote objects, except malfunction object. as student grad went UP. 3. Most of causal thinking types of children were animism, artificialism, moralism. In addition, there were another types from fairy tale, experience. propersity of things or physical concept. developmental task, fear, common know 1 edge. And students used pronoun and body language to communication, as student's grade went down. The phenomenon decreased, as student's grade went 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