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의견 분석

Title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의견 분석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CSAT and the Comparision of the perceptions for the CSAT among teacher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uthors
이영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대학수학능력시험교사학생학부모의견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태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to compare perceptions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s to CSAT.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are : First, through the study of Academic Achievement Test, Acadmic Aptitude Test, Instruction driven Measurement, Measurement driven Instruction, we can search for the direction of CSAT. Second, through the investment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pinions, we can find out if the first and second CSAT which was helded in 1994 served its purpose. The CSAT in the mixed form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acadmic apitude test. It tend to be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It get a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ment driven instruction, This test increase confusion what teacher teaches and what student learns. Therefore, student feels hard to prepare the examina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CSAT may be a academic achievement test which is matched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For the study of social survey, 250 teachers, 350 students and 300 parents from 10 schools in 9 school districts were sampled. 227 teachers', 330 students' and 283 parents' responses were analyzed. First, for the one satisfied with the trend of the advanced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test construction which is based on integrated curriculum. This study fou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content of the test and the high school curriculum. Second,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gree that the CSAT change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the high level of mental ability in high school. However, the CSAT has problem which loose the validity as a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 CSAT does not help to follow the high school curriculum, to avoid the burden for preparing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nd to solve the social problem of the private tutoring. Third, the teachers wants to take the CSAT one time in academic year at the end of the November or at the begin of the December. The students and parents want to take the CSAT twice in November and December. Many respondents want the examination which is devided into three specialization, and covers a large area. They have th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total score in each area and partial scoring method. This study proposes a sequential stud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SAT.;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을 고찰하기 위해 학업성취도검사(Academic Achievement Test)와 학업적성검사(Academic Aptitude Test), 교수선행측정(Instruction driven Measurement)과 측정선행교수(Measurement driven Instruction)의 특징을 고찰한 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 분석과 앞으로 대학능력시험이 어떠한 성격을 지닌 검사가 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사회조사방법을 통하여 모의 실험평가와 1994학년도에 실시된 제 1·2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정의에 따른 출제 경향과 기능,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관계, 시험 모형 등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성격 분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업적성검사와 학업성취도검사의 혼재된 성격으로 측정선행교수의 평가 방법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격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 출제에 혼란을 줄 뿐 아니라 이를 반대하는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키며, 일선 교사의 지도에 혼선을 일으킨다. 따라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대학입학시험제도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좀더 학업성취도검사에 가까운 성격을 띠어야 할 것이며, 교수선행측정의 평가 방법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9개 교육구에서 표집된 총 10개교의 교사 250명, 학생 350명, 학부모 30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교사용 227부, 학생용 330부, 학부모용 283부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의견분석 결과로 첫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정의에 따른 출제 경향에 대해 교사와 학생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탈교과서적·통합교과적 출제를 이용한 고차적 사고력 측정이 가능한 발전된 학력고사라고 응답하였으나 대학교육 수학에 필요한 학업능력의 측정과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의 부합이라는 측면에서는 출제상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능에 대해 교사, 학생, 학부모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암기 위주의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를 유도하여 중등교육의 본래의 목적에 충실한 수업이 되도록 문항이 출제되고 있지만 대학입학 적격자 선발의 타당성이 결여되고, 정상적인 교육과정의 운영을 저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수험생의 입시 부담을 가중시키며, 과열과외가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험모형 중 실시 횟수와 시기로는 교사는 3학년 정규 교육과정이 완료되는 시기인 11월 말-12월 초에 1회 실시하기를 희망했으며, 학생과 학부모는 11월과 12월에 한 차례씩 2회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계열별 분리 출제와 영역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하며, 문항의 난이도 수준과 문항 수는 조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대학능력시험의 영역별 배점은 적절하며, 문항의 차등배점도 타당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 목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합치도 제고를 위해 출제과정에서 고등학교 교육목표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사 연수를 통한 교과지도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연구가 활성화되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을 가져와야 한다. 또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험모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