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기업내 교육훈련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연구

Title
기업내 교육훈련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EFFECFIVE PRACTICE OF THE TRAINING IN BUSINESS ENTERPRISES
Authors
허현란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기업교육훈련BUSINESSENTERPRISE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수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 practice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training in korean business enterprises. For the performance of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defined: 1. What is the conditions and the problems of training that is carried out in korean business enterprises? 2. What i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ral pratice and the desired practice which the members have on the contents of training in light of variables such as sex, ag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class, job-function class? 3. How much do the training methods and its evaluations satisfy the members, and how much are the evaluations reflected on personnel administration? To answer the above question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performed. Survey the 326 member of enterprises with the 30th in the offering sale about the contents, methods, evaluation of educational practise through taking the 40th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data, T-test and F-test by one-way ANOVA and ratio analysis were employed. Theoretically, it may be said that the purpose of training employees in enterprises is to establish their goal, profit, to help every employee to improve his or her own status as a whole, and to fulfil their responsibility to socie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viewing the situations and problems of training made in our firms reveals the fact that it need more efforts for employees to be able to realize their ideals and grow as a sound member of society with playing important roles in the medium or long-term.goals of their companies, since most of the training programs offered by companies have short term administrative strategies. Second, it is disclosed that an employe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dividual func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range of contents provided in the company education. Though it is not a significant variable statistically, his or her position is a sort of determinant for his or her training program in practice and has an important meaning in its contents. In fact, most of training programs ar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vertical rank in companies. Third, the contents of training programs fall short of expectations but consist of job trainings thanks to the job-oriented tendency in enterprises. In short, they fail to keep the balance of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 itself and self-realization of employees. Fourth, while most contents of training programs in enterprises are designed to zero in on job, their methods employ Off JT rather than OJT which is more suitable for job training. It shows that their teaching methods also are unproper. And, it is discovered that interactive methods where equality is more available are preferred to unilateral ones where group is the subject of education. Fifth, organic relations between the estimation for the individual elements forming the training and the personnel policy is unsatisfactory, and few feedback is given to the project to be followed. In short, the microscopic estimate of sub-training systems as well as the macroscopic diagnosis for the whole training system are insufficient.;기업내 교육훈련은 기업의 경영관리활동의 하나로만 인식되던 것에서 벗어나 점차 개인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에서 학교교육체제 못지 않게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사회교육체제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기업내 교육훈련의 이론들인 인간자본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기업내 교육훈련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현재 기업에서 실시되고 있는 기업내 교육훈련의 현황을 파악하여 일반적인 문제점을 도출해내며, 기업내 교육훈련의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기업내 교육훈련이 나아갈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업내 교육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기업에서 발행하는 교육훈련의 관련자료와 문헌을 분석하였고, 교육훈련의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사원들 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하였다. 질문지 분석방법은 교육훈련의 내용에 대한 것은 각 변인(성, 연령, 학력, 직급, 직능)에 따라서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에 의한 F-검정을 실시하고, 교육훈련의 방법과 평가에 대해선 비율분석(Ratio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내 교육훈련의 문제점으로는 교육이념과 목표의 불분명, 비체계적인 관리와 운영, 교육비의 부족, 사회교육 역할수행에 대한 이해부족을 들 수 있다. 둘째, 교육훈련의 내용에 대한 사원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의 변인별 차이검정 실시 결과, 학력변인의 자아개발영역과 직능변인의 직무훈련, 조직개발, 자아개발 영역의 현재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리고 전 내용영역의 현재수준과 기대수준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무훈련, 조직개발, 자아개발의 내용영역 중 직무훈련영역에서 현재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대수준도 가장 높게 나타나 교육내용이 직무훈련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육훈련방법에 대한 결과는, 교육담당자로 회사연수원의 교육훈련 담당강사가 가장 많았고, 강사에 대한 만족도는 강사 구분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육훈련기법은 강의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만족도는 낮았고, 오히려 사원들은 토의식이나 사례연구법을 선호하였다. 넷째, 교육훈련의 성과평가방법은 시험, 레포트작성, 질문지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만족도는 낮았고, 평가결과가 인사고과 및 미래의 교육훈련계획에 반영되는 정도도 낮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내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기업내 교육훈련이 중장기적 안목에서 주요 경영전략의 역할을 하고, 개인의 자아실현과 건전한 사회인 육성의 사회교육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많다. 둘째, 기업내 교육훈련의 내용편성에 있어서 학력과 직능은 고려해야 할 중요 변인이다. 그리고 교육훈련의 내용은 사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직무 훈련영역을 중심으로 내용이 편성되어 있어 조직개발영역, 자아개발영역과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셋째, 교육훈련의 내용은 직무훈련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그 방법은 직무 훈련에 적합한 OJT방법이 아닌 Off JT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교육훈련내용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원들은 집단 중심의 강의위주 교육보다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상호작용식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네째, 교육훈련을 구성하는 개별적인 요소에 대한 평가와 인사정책과의 유기적인 관련이 미흡하고, 다음 계획과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