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수-
dc.contributor.author이미현-
dc.creator이미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4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18-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the youth live in the society of various and highly developed mass conmunication. Mass communication certainly does have a critical effect on teen-agers. Some people even insist that today's violence, crimes, and other social problems have been related to the negative influence of mass communication. So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very dangerous to leave the youth alone who are being exposed uncritically to the messages which mass communication conveys. In other to face with those problems, some advanced countries have already set about the Media Education in the beginning of 1970s and improved it systematiclly. However, in our country, only a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the area of the Media Education in the 1980s and that education has been led sporadically by social, civil, or religious organizations. Recently, interests have increased in this field as we have more serious kinds of social depravity. Moat of studies on the Media Education done in Korea until now are either examinations of the case studies of other countries, surveys of the degree of awareness in terms of Korean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specialists. Therefor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study on the ground of actual school education to explore some methods to establish a proper Media Education, especially, TV literac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goes as follow: first,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actually involved in the Media Education with an emphasis on TV Literacy, and second, to offer essential materials for the Media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ose purposes, following issues have been selected for research. First, what kind of opinions do the teachers and students have concerning the necessity of the Media Education and its adoption as an independent subject of the regular curriculum i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what kind of opinions do they have on the effect of the Media Education? Third, how is the Media Education being proceeded actually? Fourth, how is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Media Education cla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centrated on these problems have been acquired with the descriptive class observation and the survey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have been performed from September to October, 1994.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admit the necessity of the Media Education and respond favorably to the adoption of the subject as a regular curriculum, while others consider that the Media Education should be done as extra-curriculum. Second, all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hold that the Media Education in school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role of mass communication appropriately and to stimulate a desirable change in the audience's attitud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he Media Education class is proceeded,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achers promote students' ways of thinking through creative questions, induce their voluntary presentation of various opinions, and take a role as an unauthoritative assistant. Fourth, even though the teacher is leading the class with advanced utterances, teachers and students interact more actively than in other classes, and the teachers embrace the students' responses or opinions very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d like to suggest some methods in regard to the performance of the Media Education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First, the teachers and specialists who realize the necessity of the Media Education centered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steadily take steps for the Media Education to be selected as a regular curriculum in a long-term view. Second, more considerations and supports from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re required for the Media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workshop program for training prospective teachers who will be qualified in accomplishing the Media Education directly and let them have a chance to look around the educational surroundings or foreign countries. Third, the media-related departments, such as, the Department of Journalism,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of Technology, should continue their investigation and research to establish suitable curricula of major subjects and educational methodlogy for the training of the specialists who will be able to perform the Media Education in schools.;오늘날의 청소년들은 고도로 발달된, 다양한 대중매체 속에 생활하고 있는 세대이다. 그들에게 미치는 대중매체의 영향을 매우 크며 더욱이 현 사회에서의 폭력, 범죄 등 사회문제의 발생이 대중매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보는 견해들이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더 이상 청소년들이 대중매체가 전달하는 내용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방치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하겠다. 외국 여러 나라들은 이미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으로 1970년대부터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오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에 와서야 적은 수의 연구만이 이루어졌고 사회단체와 시민단체, 그리고 종교단체 등에서 산발적으로 미디어 교육이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병폐들이 극심해지면서 이 분야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미디어 교육에 관한 이전의 연구들은 주로 외국의 사례 고찰이나 우리나라 학교의 교사 및 전문가들에 대한 인식도 조사, 그리고 교과과정에 대한 시안 연구 등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미디어 교육, 특히 TV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학교 현장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미디어 교육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그러한 미디어 교육 수업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를 관찰하여 분석함으로써, TV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갈이 연구의 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중ㆍ고등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독립과목 채택에 관하여 교사와 학생들은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중ㆍ고등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의 효과에 관하여 교사와 학생들은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는가? 셋째, 중ㆍ고등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수업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넷째, 중·고등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 수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상호작용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1994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한 TV 리터러시 수업에 관한 서술적 수업관찰과 설문지 조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들 대부분이 학교에서의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과 이의 독립과목 채택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특별활동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교사와 학생들 모두 학교에서의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 수업이 대중매체에 대한 이해와 태도 변화에 있어서 유익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중·고등학교에서의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 수업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창조적인 발문으로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시키고 학생의 자발적인 의견발표를 유도하며, 권위적이지 않은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등학교에서의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 수업에서도 기존 일반 교과목 수업과 마찬가지로 교사의 선취적 발언으로써 수업이 진행되고 있었으나, 일반 수업에 비해 교사와 학생간에 상호작용이 활발하고, 교사는 학생의 답변이나 의견발표를 매우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에서의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 실시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 교육에 관하여 필요성을 인식하는 교사들 및 연구자들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미디어 교육이 교과 과목으로 채택되도록 꾸준한 준비를 해야 하겠다. 그러기 위해서 현재 몇몇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특별활동시간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교육 수업을 점차 확산시켜나가면서 우리나라 학교실정에 맞는 교과과정 개발에 힘써야 하겠다. 둘째, 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육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특히 미디어 교육을 직접 담당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연수코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외국의 미디어 교육 현장을 탐방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셋째, 대학의 미디어 관련 학과인 신문방송학과, 신문학과, 교육공학과 등에서는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해내기 위해 전공과목 및 교직과목 설치를 위한 연구를 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4 C.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미디어 교육 및 텔레비젼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과 방법 = 7 1. 미디어 교육의 개념 = 7 2. 미디어 교육의 방법 = 10 3. 텔레비젼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 = 14 4. 텔레비젼 리터러시 교육의 의의 = 15 B. 미디어 교육 연구의 접근 = 16 1. 비판적 사회분석으로서의 미디어 교육 = 17 2. 정치, 경제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교육 = 20 3. 환경론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교육 = 21 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교육 = 23 5. 문화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교육 = 24 6. 자유주의적 관점에서의 미디어 교육 = 26 C. 미디어 교육 수업의 방법 = 27 D. 외국의 텔레비젼 리터러시 교육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교육 = 31 1.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 = 31 2. 유럽의 여러나라 = 40 3. 오세아니아와 아시아 = 59 E. 우리나라 미디어 교육의 현장 = 63 F. 미디어 교육 및 TV 리터러시 교육의 관련 선행연구 = 6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71 A. 연구대상 = 71 B. 연구도구 = 72 C. 연구절차 = 73 D. 자료수집과 분석 및 처리 방법 = 74 1. 서술적 관찰 방법 = 74 2. 관찰 결과 분석 방법 = 76 3. 설문조사 결과 처리 방법 = 81 Ⅳ. 결과 분석 = 83 A. 설문조사 결과 분석 = 83 1. 일반적 사항 = 83 2. 대중매체를 주제로 한 미디어 교육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경험 및 의견 = 84 3. TV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의견 = 92 4. TV 광고를 주제로 한 학생들의 의견 = 108 5. TV 리터러시 중심의 미디어 교육 수업을 실시한 교사들의 경험 및 의견 = 118 6. TV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미디어 교육 수업을 실시한 교사의 의견 = 120 7. TV 광고를 주제로 한 미디어 교육 수업을 하는 교사의 의견 = 122 B. 서술적 수업관찰 조사 결과 분석 = 124 1. 미디어 수업의 전개 = 124 2. 언어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수업형태 = 136 Ⅴ. 결론 및 제언 = 139 참고문헌 = 141 부록 = 147 Abstract = 1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216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중·고등 학교-
dc.subject미디어 교육-
dc.subjectTelevision-
dc.subjectliteracy-
dc.subject.ddc300-
dc.title중· 고등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elevision literacy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dia Education in Middle and : High schools : Based upon the Case of Television Literacy Class-
dc.creator.othernameLee, Mi Hyun-
dc.format.pagexi, 1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