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탁아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Title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탁아프로그램 실태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ay-Care Program for the Environmentally-Culturally Deprived Infant and Toddlers
Authors
제현순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환경문화실조영아탁아프로그램특수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순
Abstract
Infant and toddler with environmental-cultural deprivation live under stress due to educational, cultural and economical disadvan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easible Day-care program which enhances children's normal development, offers parents' education, and incorporates community support for the well-being of such infants and toddlers. The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existing Day-care program by comparing the goverment supported centers with the non-supported, centers in Seoul versus regions, as well as teachers with adequate teacher training versus non-training. "Infant-Toddler program Quality Review Instrument" developed by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was used to compare programs among various 20 centers. The results show as the following; (1) The centers with goverment support exceed in quality in terms of the program purpose, teacher education, child developmental profile, child developmental program,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rogram evaluation. (2) Centers in regions exceed in quality in terms of the program purpose, teacher educ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3) Teachers with adequate teacher training offer better quality of Day-care program compared to non-trained teachers as long as the center receives goverment support. (4) centers which receive goverment support could attract well-trained teachers, and therefore, better quality teacher-child interaction as well as better quality management of the program were possible.;환경문화실조 영아들은 빈곤한 사회, 경제적인 여건과 아동이 아동답게 살아갈 수 없는 교육, 문화적인 환경 속에서 불우한 영아기를 보낸다. 이에 따라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보호하고 양육하여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도모하고,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에게 아동의 발달에 기본적인 영향을 주는 부모의 역할을 조성시키고 아동의 성장 발달을 이해시키며,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유지,강화시킬 수 있는 탁아교육이 조기교육의 일환으로써 특히, 환경문화실조 영아에게 꼭 필요한 것으로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탁아기관의 수와 영아의 연령에 맞고 환경문화적 특성이 잘 반영된 탁아프로그램의 개발이 부족하며,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시설이나 구조적인 환경이 낙후되어 있고, 또한 기존의 탁아 프로그램들이 내용면에서 질적으로 수준높은 교육적 차원이 아니라 단순한 보호적 양육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탁아프로그램 내용의 질적 수준향상 및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정부의 지원여부, 지역, 교사의 자격여부가 탁아프로그램 내용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탁아프로그램 내용을 정부지원기관과 비지원기관, 수도권 도시지역의 기관과 지방도시지역의 기관,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기관과 비전공자인 기관에 따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캘리포니아 교육국(Dept. of Education)의 아동 발달 분과 (The Child Development Division)와 영유아 위원회(Infant Toddler Committee)가 개발한 '영유아 탁아프로그램의 질적 수를 펑가 도구 (Infant Toddler Program Quality Review Instrument)'를 사용하고 서울, 인천, 성남, 원주, 군산, 전주, 대구, 부산, 마산에 위치한 20개 환경문화 실조 영아 탁아기관의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관찰, 면담, 기록서의 확인의 평가방법에 따라서 조사하였고 그 결과분석은 t 검증 및 이원변량분석(two away ANOVA)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7개 영역의 탁아프로그램 내용 중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영역, 교사의 관리와 교육 영역에서는 정부지원 탁아기관이 비지원 탁아기관보다, 지방도시지역 탁아기관이 수도권 도시지역 탁아기관보다,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탁아기관이 비전공자인 탁아기관보다 각각 더 적합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다. 특히 정부비지원 탁아기관은 열악한 탁아환경과 교사의 불리한 근무조건으로 인해 교사의 인적 자원이 부족하고 업무량이 과중하므로 교사의 제도적인 관리가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탁아기관들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사 교육은 휴가를 이용하여 외부강의를 듣는데 그치고 있어서 교사의 연수교육에 대한 의무사항은 실용성이 없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사의 관리와 교육 영역에서 정부지원여부와 지역구분, 정부지원 여부와 교사자격 여부, 지역구분과 교사자격 여부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2)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7개 영역의 탁아프로그램 내용 중 아동 발달 기록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지역 탁아기관과 지방도시지역 탁아기관 간에,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탁아기관과 비전공자인 탁아기관 간에, 각각 프로그램 내용의 차이가 없었으나 정부지원 탁아기관이 비지원 탁아기관 보다 더 적합한 내용_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탁아기관이 아동의 발달 평가를 하지 않고 있었으며 그나마 수행하고 있는 기관의 경우는 각 아동의 일과를 매일 일기 형태로 기록하거나 하루의 집단 활동일과를 서술하는 일지 형태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아동 발달 프로그램 영역에서 정부지원 여부와 지역구분, 정부지원 여부와 교사자격 여부, 지역구분과 교사 자격 여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7개 영역의 탁아프로그램 내용 중 아동의 영역별 발달프로그램에서는 수도권 도시지역 탁아기관과 지방도시지역 탁아기관 간에 프로그램 내용의 차이가 없었으나 정부지원 탁아기관이 비지원 탁아기관보다,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탁아기관이 비전공자인 탁아기관 보다 각각 더 적합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다. 특히 정부비지원 탁아기관은 학습환경이 열악하고 아동에게 안전하지 않으며 놀이기구나 자료들이 부족하였고 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교사의 역할분담이 안되고 업무량이 과중하여 하루의 일과를 계획해 두기는 하나 수행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아동들은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부족한 장난감과 열악한 놀이환경 속에서 자유로이 방치되어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자격여부가 아동의 발달 영역별 프로그램에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또한 아동의 영역별 발달 프로그램의10개 하위영역 중 『언어와 의사소통』, 『인지적 발달』, 『창조성 발달』에서 지역구분과 교사전공 여부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하위영역들에서 정부지원 여부와 지역구분, 정부지원 여부와 교사자격 여부, 지역구분과 교사자격 여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7개 영역의 탁아프로그램 내용 중 부모 참여 및 교육 영역에서는 정부지윈 탁아기관과 비지원 탁아기관 간에 프로그램 내용의 차이는 없었으나 지방도시지역 탁아기관이 수도권 도시지역 탁아기관보다,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탁아기관이 비전공자인 탁아기관보다 각각 더 적합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탁아기관들은 각 아동의 부모에 대만 정보수집이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이러한 정보들을 부모교육이나 활동 계획시 이용하지 못하고 있었고 환경문화실조아동 부모들의 장시간 노동으로 인해 정기적인 부모교육이 실시되지 않는 기관이 많았다. 또한 부모참여 및 교육 영역에서 정부지원 여부와 지역구분, 정부지원 여부와 교사자격 여부, 지역구분과 교사 자격 여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5)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7개 영역의 탁아프로그램 내용 중 지역사회 자원의 참여 영역에서는 수도권 도시지역 탁아기관과 지방도시지역 탁아기관 간에 프로그램 내용의 차이는 없으나 정부지원 탁아기관이 비지원 탁아기관보다,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만 탁아기관이 비전공자인 탁아기관 보다 각각 더 적합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탁아기관에서 지원받고 있는 사회 서비스가 아동의 건강과 관련된 보건소나 개인병원을 통한 예방접종이나 건강검진 정도이므로 환경문화실조 아동이나 부모가 지역사회를 통해 받을 수 있는 혜택이나 탁아기관에 대한 지역사회의 보조 등이 거의 없어서 지역사회와 탁아기관 간의 연계성이 체계화되지 않은 실정이었다. 또한 지역사회자원의 참여 영역에서 정부지원 여부와 지역구분, 정부지원 여부와 교사자격 여부, 지역구분과 교사자격 여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6)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7개 영역의 탁아프로그램 내용 중 프로그램의 평가 영역에서는 정부지원 탁아기관이 비지원 탁아기관보다, 지방도시지역 탁아기관이 수도권 도시지역 탁아기관보다,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탁아기관이 비전공자인 탁아기관보다 각각 더 적합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탁아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장기적 평가는 부모와 교사의 간담회 형식이거나 교사들만의 자치적 모임 형태이며 평가의 결과를 프로그램 계획시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의 평가 영역에서 정부지원 여부와 지역구분, 정부지원 여부와 교사자격 여부, 지역구분과 교사자격 여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아동의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면에서는 정부지원 탁아기관이나 교사가 유아교육을 전공한 탁아기관이 정부 비지원 기관이나 교사가 비전공자인 기관에 비해 아동에게 더 적합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아동 발달프로그램을 제외한 부모, 교사, 지역사회의 참여를 위한 프로그램 면에서는 정부지원 여부, 지역구분, 교사자격 여부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탁아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탁아프로그램의 내용이 부모, 교사, 지역사회를 포괄적으로 포함시키고 있기는 하나 미비하였다. 그러므로 각 탁아기관의 특성에 맞고 아동 발달이나 부모, 교사에게 더 적합하며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확립하고 유지시켜 나아갈 수 있는 질적으로 수준 높은 내용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 저소득층 지역의 환경문화실조 영아를 위한 탁아소 운영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가장 중요하며 이러한 정부의 지원이 제공될 때 정부비지원 탁아기관의 열악한 환경과 교사의 불리란 근무조건이 해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유아교육 전공자들이 성의 있고 창의적인 프로그램으로 아동에게 임하게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