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양은하-
dc.creator양은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6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696-
dc.description.abstract이상적인 학교란 아동들에게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창의력을 얻을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아동들로 하여금 자기자신을 발견하게 하고, 그들의 잠재력을 인정해 주어 학습자 개개인이 개성에 맞게 성장·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환경은 다수의 학습자가 똑같은 교수방법에 의해 자신의 흥미와는 상관없는 무의미한 내용을 배우고 그것에 의해 등급이 매겨지는 풍토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를 학습의 주체로 인정하여 그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학습할 수 있는 자유와 지신의 학습속도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자원이 제공되는 환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 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습환경을 비롯한 교수학습과 정상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적인 시도인 '열린 교육(open education)'의 기본 철학과 개념 및 특성을 고찰하고, 현재 열린 교육(open education)을 실시하는 운현, 영훈, 안증, 남성, 윤증, 합정, 해평국민학교 등의 천국 7개 국민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목표, 교수-학습내용, 교수-학습방법, 학습자료와 교수매체, 교육환경 및 교수-학습 평가의 6개 측면에서 비교한다. 이를 통해 열린 교육을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과의 분석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교수-학습 체제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목표에 있어 열린 교육은 학습자의 개성을 존중하여 자율적인 학습을 통한 창의성과 사고력을 키워 주기 위한 환경구성에 중점을 두였으며, 둘째, 위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내용은 교육부고시 교육과정을 준수하되 자유롭게 내용과 순서를 재구성하였으며, 세째, 선정된 내용을 중심으로 소그룹 단위로 개별학습을 하는 등 상황에 따른 다양한 학습방법을 제공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학습자료와 교수매체를 비롯한 물리적, 인적 환경을 철저하게 이용하였다. 또한 평가는 학습자의 진단을 통한 피이드백(feedback)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열린 교육의 이러한 교수-학습 체제를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열린교육은 교사 이외의 여러 가지 자원을 활용하여 개별적으로 학습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혁신적인 수업환경이며, 수업 프로그램은 환경의 조성자로서 수업의 전과정을 이해하고 수업을 설계하는 교사에 의하여 체제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 조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열린 교육은 수업효과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체제적 접근인 교육공학을 적용하고 있는 교육환경이며, 우리나라의 교육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반학교들도 학습의 개별화와 수업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해 수업효과를 촉진시키는 열린 교육의 개방적인 수업체제의 전환이 요구된다.;Ideal school offers pupils learning opportunity which can get creativity in a fee atmosphere so that students can find themselves. Also, it provides the environment that each of learners can grow and develop their personality by promoting students potential. But nowaday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our country is composed of features that many students learn with same instructional methods and contents which are meaningless and irrelevant to learners interest, students are graded by that. To solve these educational problems, the environment have to be provided to recognize the learner as the subject of instruction. And it provides the substential learning-resources which allow students to study individually and match their own pace so that they can study following their own interest and concern. Hereupons, this study aimes at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students for effective adoption of open education in Korea by considering into literature. And for that reason, this study investigates that the cace of open education model schools. These schools poss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dvance with creativity, personality, independence of pupils, pay regard to learner make them participate in instruction actively and develop varied learning to search the possibility. This study conducted observation and interview subject of all of 7 schools run with open education system. The questionnaire of interview is consist of 6 items, goal, message, methods, environment, learning materials & media and evaluation for teaching-learning. and common features which integrated by 6 items are adjusted through systematic approach. The result are stated as following. 1. On instructional learning goal of open education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 which respect learner's personality so that encourage the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rough atonomous study. 2. To achieve such a goal, the contents of education have to be observed by the educational process but recognize the content and sequence freely. 3. They provide varied learning-methods that matched with environment such as individual learning in small group centering around selected content, for this, they use physical human environment including instructional materials and media throughly. 4. And to learners, evaluation is appeared as diagnosis and feedback. Considering these result, in open education learning should accomplish individually. It should correspond with approach of Educational Technology which is headed for resources-based learning system and varied learning resources should be offered to make learners study alone with their pace. Open education develops instructional process more similar to 'technical instructional model' compare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And this may be the cause of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effective methods are adapted. Open education is the environ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maximize the learning-effect.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of our country, general schools should convert their instruction to open education which promote the learning-effect through individualized learning and effective use of resour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열린 교육의 정의 = 8 B. 열린 교육의 역사적 고찰 = 20 C. 열린 교육의 교육체제 = 28 D. 선행 연구 고찰 = 44 E. 외국의 열린 교육 = 50 Ⅲ. 사례 연구 = 70 A. 열린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들의 사례 = 70 B. 결과 분석 및 논의 = 110 Ⅳ. 요약, 결론 및 제언 = 144 참고 문헌 = 149 A. 교사대상면담지 = 158 ABSTRACT = 1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463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우리나라-
dc.subject열린 교육-
dc.subjectopen education-
dc.subject사례연구-
dc.subject.ddc300-
dc.title우리나라 현행 열린 교육(open education)의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icient Instruction of Open Education-
dc.format.pageviii, 1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