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의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이야기 구조 개념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Story Retelling on Children's Comprehension and Concept of Story Structure
Authors
하양승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유아이야기 해보기이야기 구조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듣기 활동 후 구어적 측면인 이야기 다시 해보기(story retelling)가 유아의 이야기 내용 이해와 이야기 구조 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동화듣기 활동에서 이야기 해보기 활동 후 유아의 내용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가? 2. 동화듣기 활동에서 이야기 해보기 활동 후 유아의 이야기 말하기는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 발달단계의 위치와 그 양상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E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반 유아 29명이었다. 연구기간은 6주로서 연구 절차는 연구대상의 선정, 실험 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처치 과정은 이야기 듣기 활동 이후 실험집단 14명의 유아는 다시 이야기 해보기 활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 15명의 유아는 사후활동을 하지 않았다. 사후검사에서는 이야기 내용 이해도 검사와 이야기 말하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이야기 내용은 녹음, 기록되어 이야기 구조 개념이 분석되어 졌다. 내용 이해도 검사 도구는 Morrow(1985)가 제시한 내용 이해 지표에 따라 연구자가 작성하여 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이야기 말하기 검사는 Homan(1993) 등의 '다시 이야기 해보기'의 분석 도구를 기준으로 실시하였고 이야기 구조 개념 발달 단계는 Applebee(1978)와 이영자, 박미라(1992)의 연구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모든 분석은 2명의 채점자에 의해 채점되었으며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독립 표본 t 검증과 상관계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야기 듣기활동후 이야기 다시 해보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내용 이해도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2. 이야기 듣기활동후 이야기 다시 해보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이야기 말하기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3. 이야기 해보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이야기 구조 개념 발달단계에서 보다 높은 단계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높은 단계에 평정된 이야기가 낮은 단계의 이야기보다 구조성이 더 복잡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story retelling which is the conversational side has on children's comprehension and concept of story structure after the activity of story hearing. To this end,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hildren's comprehension after the activity to try to tell the story, in the activity to listen to the story?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tory telling of children after the activity to try to tell the story, in the activity to listen to the story? 3. How are the stage and aspect about the development of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5 year old children? 4. Which relation is there between the children's comprehension and the story tell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9 childrens under 5 years old who attend E-kindergarten located at Seoul. Experimental procedures were progressed in the order of the selection of study subject, the treatment and the post-test. And, as for the treatment process, 14 childrens in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e story retelling after the activity of story hearing, and 15 childrens in the control group didn't do the post activity. In the post-test, the test of comprehension and the test of story telling were executed, and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was analyzed by the recording of story contents of childrens. About the test instrument of comprehension , the propriety was verified after the researcher made out in accordance with the understanding index of the contents that Morrow (1985) suggested. And, the test of story telling was execu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nstrument of 'story retelling' of Homan(1933) etc. And, the stage of concept development of story structure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Applebee(l978), Lee, Young-Ja & Park, Mi-Ra(1992). All these anayses were graded by 2 graders, and the reliability was verifi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two-independent sampling 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by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fter the activity to listen to story, the childrens at the experiment group which performed the activity of story retelling showed higher mark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of comprehension. 2. After the activity to listen to story, the childrens at the expriment group which performed the activit of story retelling showed higher mark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test to tell the story. 3. The childrens at the experiment group which performed the activity of story telling were being distributed at the higher stag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tage of concept development of story structure. And, the structural nature of the story rated at high stage was more complex than the story at low stage. 4. There was the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comprehension and the story tell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