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한국의 사회교육이 생산직 노동자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의 사회교육이 생산직 노동자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NONFORMAL EDUCATION ON INDUSTRIAL WORKERS EARNINGS IN KOREA
Authors
백선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한국사회교육생산직 노동자소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규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준학교교육과 직업·기술훈련이 생산직 노동자들의 소득결정에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사회교육 부문에 있어서의 투자의 필요성을 재인식하고 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준학교교육과 직업·기술훈련과 같은 사회교육 프로그램과 그 졸업장들은 소득결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다음의 3가지 문제에 답을 구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교육 이수기간과 국가기술자격증의 획득여부는 생산직 임금 노동자들의 소득결정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둘째, 소득에 대한 사회교육과 자격증의 기여는 다른 변인들, 즉 학교교육과 노동경력 및 가정배경의 기여와 어떻게 비교될 수 있는가? 세째, 연령에 따라 표집을 다르게 했을 때 소득에 대한 사회교육 이수기간과 국가기술자격증의 영향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연구문제들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으로 문헌을 통한 조사·분석과 경인지역의 대기업체에 고용되어 있는 생산직 남자 노동자 660명을 대상으로 하는 질문지 조사가 실시되었다. 이론적 배경을 통해 설정된 변인들, 즉 학교교육 연한, 사회교육 이수기간, 근속기간, 국가기술자격증, 아버지의 직업, 성장시 가정경제상태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한 결과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사회교육 이수기간과 국가기술자격증의 획득여부는 소득에 의미있는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 연한은 아버지의 직업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교육 이수기간은 학교교육 연한에 의해 부(負)적인 영향을 받고 있었다. 세째, 근속기간은 학교교육 연한에 의해 부(負)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국가기술자격증 획득여부는 학교교육 연한과 사회교육 이수기간 그리고 성장시 가정경제상태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응답자 전체를 표본으로 했을 때 소득결정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교교육 연한, 사회교육 이수기간, 근속기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령에 따라 표집을 다르게 했을 때 33세 이하의 표본 집단은 학교교육 연한, 사회교육 이수기간, 근속기간 그리고 국가기술자격증 변인이 소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에 비추어 볼 때, 소득에 대한 사회교육 이수기간과 국가기술자격증의 효과는 이 변인들이 노동자들에게 실제적인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생산능력을 향상시켜 소득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기술습득효과'와 보다 좋은 노동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득에 기여한다는 '정보효과' 그리고 기본적인 생산능력과 적절한 인성적 특성을 갖춘 근거로 작용함으로써 소득에 기여한다는 '선별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결과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준학교교육과 직업·기술훈련은 정규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학교 밖의 청소년이나 경제적으로 불리한 계층에게 그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한 한 방법으로써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investment in nonformal education by analizing that nonformal education can affect on earnings of urban industrial workers in Korea. The authour tried to get answers of following three questions under assumption that nonformal educational program and diplomas give affirmative influence in industrial workers earnings. First, Does the duration of nonformal education and obtainment of national skill certific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ir earning of industrial workers? Second, How nonformal education's contribution to earnings compares with that made by other attributes, formal education and labor duration and familly background? Third, How the influence of duration of nonformal education and national skill certification to earnings vary by age group? In order to get answers to above questions, the authour gave a questionare test to 660 blue-collor workers in the large scale firm of Kyoung-In region in Korea. Data from questionares were statistically analized by multiple regression method by SAS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uration of formal education was influenced by farther's occupation. 2. Duration of nonformal education and duration of formal educ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3. Work experience and duration of formal educ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4. Obtainment of national skill certifications was influenced by duration of formal education and nonformal education (p< .01), and familly background (p< .05). 5.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contributes to earnings were duration of formal education, nonformal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in respective. 6. At the age group of younger than 33 years old, another contributional variable to earnings was national skill certification. Above results explains that the effect of duration of nonformal education and national skill certification on the industrial worker's earnings is based on following three effect, the first is technic obtainment effect and the second is information effect, and the third is screening effect. Therefore nonformal education or technical-vocational training gives a significant meaning to out of school youth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who want to enjoy better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