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확실-
dc.contributor.author김선정-
dc.creator김선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1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8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17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of using language. With the change of the views in language education, method of education must also be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paper-pencil tests of mere knowledge into more practical performance evaluation. It is assumed worthwhile to analyze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in the language arts education, and to grasp its present actual situations. This study covered the role and the change of the language arts evaluation, by examin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anguage skills on the basis of some precedent studies in the language arts evalu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following is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1. Are items concrete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of the third grade elementary language arts education? 2. How is the evaluation domain divided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and does it include all domains of the language skills? 3. Do the evaluation objective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represent grade objectives of the 3rd grade language arts education? 4. What method is used in recording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3rd grade language arts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in the third grade language arts education of twenty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analyzed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were made up of seventeen evaluation items in all(education areas, education objectives, a viewpoint of education, education measure, units, bases of making questions, grading marks, education situation, education methods, education time, education materials, radio of areas, assignment of students, degree of advance, progressive person, reference materials, remarks). Of these, 'evaluation areas', and 'grading marks' were presented in all of the twenty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studied. But none of the schools had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including all the seventeen items, and the conten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were not concrete enough to give teachers specific guidance. 2. Sixty-five percent(65%) of the cases includ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in all the four language skills domains(such as speaking, listening, reading, writing) showing the effort of these schools to teach and to evaluate all of the four language arts skills evenly. Forty-three percent(43%) of the schools included listening in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showing that most schools neglected listening domain than other domains. And these twenty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showed that psychomotor domains had a tendency to be evaluated much more than affective domains. It is recommended that the ratio in the evaluation of the affective domains be increased in the language education. 3.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of the third grade language education, the evaluation objectives were selected from one of the first semaster units and such cases were seventy percent(70%). Furthermore, the evaluation objectives did not represent evenly all areas of the grade instructional objectives. 4. The most frequently used recording method of the result of evaluation was in figures, which was seventy-five percent(75%). None of the school used descriptive methods for evaluating students' performance, and this may be an indication that criterion-referenced evaluation is not used in these elementary schools. In conclusion, in these elementary schools,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of language skills domains are not playing a proper role in the language arts evaluation. More studies and reference meterial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lans must be produced in the future that could be helpful for the teachers to evaluate with more precesion the students' abilities to use language.;제5차 교육과정의 언어 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에 따라서 국어과의 평가는 목표지향평가방법의 실기 평가에 비중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가정하에서 국민학교 현장에서 마련되어 있는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을 분석하여 실기 평가의 실태를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학교 국어과에서 평가의 역할과 언어 교육의 관점변화에 따른 국어과 평가의 변화 방향에 대해 알아 보았다. 또한 국민학교 국어과 언어 기능 영역의 실기 평가와 국어과 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봄으로써, 국어과 평가의 방향과 실기 평가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민학교 국어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구성항목들이 실기 평가를 할 때 유용한 역할을 할 정도로 구체화되어 있는가? 2. 국민학교 국어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기 평가 지침은 평가 영역을 어떻게 나누고 있으며, 각 언어 기능 영역을 고루 포함하고 있는가? 3. 국민학교 국어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평가 목표가 그 학년의 교육 목표를 준거로 하여 대표성 있게 설정되어 있는가? 4. 국민학교 국어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기 평가 지침에서 제시된 평가후의 결과기록은 어떤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가? 그래서 서울시 국민학교 3학년의 1993학년도 1학기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 20부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사항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에 구성되어 있는 항목 유형은 총 17가지였다(평가 영역, 평가 목표, 평가 관점, 평가 척도, 단원, 출제 근거, 평점, 평가 장면, 평가 방법, 평가 시기, 평가 자료, 영역 비율, 배정 인원(%), 진척도, 진행(책임자), 참고자료, 비고). 이 중 '평가 영역'과 '평점'은 실기 평가 지침마다 모두 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 17가지 항목이 실기평가 지침마다 들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실기 평가 지침의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한 경향을 보였다. 2.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에서 제시된 바에 의하면, 4가지 언어 기능 영역 모두를 포함한 실기 평가 지침은 65%로, 4가지 영역 모두를 포함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3가지 영역을 포함한 경우 중 듣기 영역을 포함한 경우는 43%로 가장 적게 포함된 영역에 속하였다. 또한 실기 평가 지침에서는 기능적인 영역이 정서적인 영역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능적인 영역 뿐 아니라 정서적인 영역의 비율도 높여가야 할 것이다. 3.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의 평가 목표는 3학년 1학기의 전단원을 고려하는 대신에 단원 중 하나를 택해, 그 단원 목표를 평가 목표로 설정한 경우가 70%이상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러한 실기 평가 목표는 학년 목표 전체 중에서 각 언어 기능 영역 목표당 한 항목씩을 대표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으므로, 학년 목표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 4.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평가 결과기록 유형은 숫자가 75%로 가장 많았고, 서술식은 하나도 없었다. 따라서 실기 평가 결과의 기록에 있어서, 목표지향평가를 추구하는 국민학교는 아직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국민학교에 마련된 국어과 언어 기능 영역의 실기 평가에 대한 연구와 참고자료가 많이 나와서, 학생들의 언어 사용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국민학교 국어과에서의 평가 = 5 1. 국어과에서 평가의 역할 = 5 2. 국어과에서 교육 목표와 평가의 관계 = 8 3. 언어 교육의 관점 변화에 따른 국어과 평가의 변화 = 9 B. 국어과 언어 기능 영역의 실기 평가 = 13 1. 특징 및 지침의 구성항목 = 13 2. 영역 = 14 3. 목표 = 16 4. 장면 = 20 5. 결과기록 = 21 C. 선행연구 = 22 Ⅲ. 연구 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방법 및 분석 내용 = 27 Ⅳ. 연구결과 = 29 A.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의 구성항목 = 29 1. 구성항목에 대한 용어 정의 및 분류 = 29 2. 각 항목별 구성분포와 구체성 = 33 B.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평가 영역 = 36 C.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평가 목표 = 40 1. 실기 평가 목표 유형 = 40 2. 실기 평가 목표의 대표성 = 43 D. 국어과 실기 평가 지침에 제시된 평가 결과기록 형태 = 48 Ⅴ.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6 ABSTRACT = 5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85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dc.subject3학년-
dc.subject국어과-
dc.subject실기평가-
dc.subject.ddc300-
dc.title국민학교 3학년 국어과의 실기 평가 지침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Evaluation Plans of the Third Grade Language Arts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Kim, Sun Jeong-
dc.format.pagev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