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정신지체인 중심의 보호작업장 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지체인 중심의 보호작업장 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heltered workshops for the mentally retsrded in Korea
Authors
윤종숙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정신지체인보호작업장특수교육학개선방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현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well the sheltered workshops for the mentally retarded (MR) in Korea function and was to investigate how to improve their situations. For this purpose, 25 sheltered workshops for the MR were selected from all over the countr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was sent to each of those sheltered workshops, and by interviewing directly with each of the managers of those organizations. Quantitative data collected were tabulated and analyzed utiliting frequences and percentages, while qualitative data were described descriptivel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sheltered workshops in this survey have been established recently and their main functions were training MR clients for their future job opportunities (48%) and employing them whitin sheltered workshops (34%). Few organizations provided sufficiently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and outside job employment for their clients. 2. Most of the sheltered workshops surveyed have been operated as one section of already established organizations for mentally retarded, while there have been very few professional staff members for MR clients, more than 60% of those staff members responded positively for training the mentally retarded for competitive employments. 3. With the lack of systematic assessment/evaluation procedures, intelligence test and interview have been mainly used to asses/evaluate competencies of MR clients. In order to evaluate their abilities more accurately, more advanced tests such as work samples and manual dexterity tests will be necessary. 4. Almost half of the surveyed sheltered workshops have been producing their own products and the other half have been making products through subcontracted works. The sheltered workshops with both types of works have had difficulties in either opening a market for their products or obtaining sufficient subcontracts. However, 88% of them did not intend to change their work types. The major reasons for that were not the MR clients' incapability but insufficient funds and poor experiences. 5 . Even if sheltered workshops surveyed have provided training programs for MR clients, an average wage of 200 won per hour is too low. however some sheltered workshops which could offer various works appeared to earn more incomes.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urve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situations: First, to develop a MR individual's capabilities 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him or her with a variety of training programs step by step. Second, to provide more job opportunities and more work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local business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For this purpose, an active role of government is required. Third, to facilitate the high quality of integration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heltered workshops not in institutions but in the community, and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more common residential facilities such as group homes.;장애인 복지의 기본 목표는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개발하여 모든 활동 분야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가능한한 다른 사람과 동등한 생활 수준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장애로 인한 불편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통한 정신지체인의 자립을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인 보호작업장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느 만큼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진정한 직업재활시설로서 나아갈 좌표를 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정신지체인 수용시설 및 이용시설 중에서 현재 정신지체인 중심의 보호작업장을 운영하고 있는 25개 기관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사전연구의 설문내용을 참고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후 하나의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연구자의 직접 방문에 의한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수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빈도수로 처리할 수 없는 질적인 자료는 서술적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악된 보호작업장의 실태는 다음과 같다. 1. 보호작업장은 초기 단계로서 직업훈련에 중점을 둔다고 하는 작업장이 48%이고 고용의 기회제공에 방향을 두고 있다고 하는 기관이 34%로, 보호작업장 운영의 근본 목적이 직업훈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보호작업장이 설립된 지 몇 년 되지 않는 관계로 인하여 훈련과 고용의 어느 쪽도 그 역할이 미미하였다. 2. 기존시설을 이용한 보호작업장을 운영한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수용시설 내에 자리하고 있는 보호작업장이 대다수 (84%)를 차지하고 있으며, 직원 1명당 클라이언트수가 평균 12명으로 선진국에 비해 2배 이상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클라이언트의 지속적인 능력배양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장애인의 능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평가체계가 사실상 전무한 상태에서 보호작업장 입소시에 지능검사나 상담을 통한 평가가 많았다. 이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적 능력을 바로 앎으로써 알맞는 직종을 선정할 수 있다고 할 때, 표준작업이나 수공능력검사등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제조업과 하청업을 하는 보호작업장은 반반으로 나타났으나, 양쪽 모두 제품의 판로라든가 작업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직종변경을 원하지 않고 있는 보호작업장이 88%를 차지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 장애인의 능력부족보다는 자본부족과 관리자의 경험 및 지식부족이라고 답한 기관이 많았다. 5. 보호작업장이 징신지체인의 재활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하더라도 시간당 200원 정도의 보수는 너무 낮은 것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업주의 협조아래 세탁업을 하는 보호작업장과 다른 장애인과 혼합되어 운영하는 보호작업장이 다양한 일의 확보로 인하여 수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의 몇 가지를 시사하고 있다: 첫째, 보호작업장 종사자의 60% 이상이 정신지체인의 재활 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개개인의 차가 큰 정신지체인의 재활에 필요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이 단계별로 제공되어야만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전문인력의 배양과 공급이 뒷받침되어야만 한다. 둘째, 보호작업장의 작업이 다양하지 못하고, 작업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업장이 많으므로, 다양한 직종개발 및 지역사회내 기업과의 헙동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세째, 지역사회의 통합화가 바람직한 재활에 이르게 한다고 할 때, 수용시설 내에 위치한 보호작업장보다는 집단가정과 같은 지역사회 거주시설을 보편화함과 동시에 지역사회내의 보호작업장 설치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