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현장연구에 대한 교사의 의견 분석

Title
현장연구에 대한 교사의 의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EACHERS' OPINIONS ABOUT THE ACTION RESEARCH
Authors
박현아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현장연구교사의견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 and the practical use of the action research through analysing the current action research situation and the teachers' opinions about the formal and informal action research in Korea under the premise that the action research which is executed by teacher as researcher contributes to the teacher's envolvement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 specific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action research which is carried out by teacher as researcher. 1) To what extent is the action research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ried out? 2) What is the problem in carrying out and the benefit obtained from performing action research? 3) Tp what degree is the result of action research used? Seco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about the action research. 1) Do teachers perceive the need of action research? 2) What is required condition in the course of action research in the viewpoint of teachers? 3) What step do the teachers consider as a ideal utilization method of outcome of the action research?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ampled and questionnaire method were taken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is study. Analytic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ly a few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performing the actin research.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think that action research is performed by quiet a few teachers. And th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main reason why they carried out action research is the advantage in the respect of promotion and payment. But,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fered the improvement ad change of education reality and the development of specialization in education as th main reason of action research. The acion research pattern which was fulfilled by teacher was mostly individual research. But, most of the teachers who executed action research seem to think that the collaborative research is the most ideal pattern of action research.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teachers feel the difference between ideal and practical situation.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carrying out action research were the deficiency of research technique and the lack of time. Especially the former is the biggest reason why teachers are reluctant to perform action research. Concerning the advantages obtained from carrying out action research, many teachers say that the acquisition of self-confidence and self-assurance is the biggest advantage. In addition to that merit, they refer the expansion of speciality and development of reflective thinking as the other advantages. More than half the teachers who had carried out action research turned out to apply the results of action research to actual education continuously. But, the teachers who did not practice action research continuously point out the difference between research and actual stat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actual utilization of the performed action research, the number of teachers who exchanged their research results with peers turned out to be 58.7%, and the number of teachers who apply other teachers' opinion to their own cases 73% Most of the teachers who had performed action research wanted to carry out the action research again. 2. Almost every teacher has the opinion that they must hav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y have the same opinion to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action research. Asked about the problem found ar action research's performance till now, teachers indicate the lackness in using the research results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ideal form of action research teachers prefer is the collaborative research and the base of that argument is that the collaborative research can provide with much more information, experience and efficiency than individualistic research. About the question of the measure as to promotion of teacher's special research capability, all the teachers want to expand and to develop their research capability through in-service education and they point out the expansion of research capability, school-mood directed to research promotion and the abundant time as the most necessary condition in order to pursue action research. A number of teachers say that results of action research should be made use of in order to improve the school circumstances and develop the curriculum.;본 연구는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수행하는 현장연구가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교사들의 실질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대안이라는 전제하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현장연구의 수행 실태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현장연구의 개선책과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수행하는 현장연구의 실태는 어떠한가? 1) 현장연구의 수행은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2) 현장연구 수행상의 문제점과 연구 수행 후 얻은 잇점은 무엇인가? 3) 현장연구 결과의 활용은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연구자로서의 교사가 수행하는 현장연구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는 어떠한가? 1) 교사들은 현장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가? 2) 교사들은 현장연구 수행을 위해 필요한 조건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3) 교사들은 현장연구 결과의 이상적 활용방안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의 초등학교 교사들이었으며, 질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사들 가운데서 현장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는 일부로서 현장연구가 일설의 많은 교사들에 의해 수행된다고 보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연구를 수행한 교사들의 경우, 연구를 수행한 가장 큰 이유는 보수. 승진에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제의 개선과 변화와 전문성 개발을 연구 수행의 이유로 꼽고 있는 교사도 많았다. 우리나라 교사들이 수행한 현장연구의 형태는 대부분이 개인적 연구였다. 그러나 현장연구에 대한 교사의 견해에서 연구를 수행한 교사들의 대부분은 이상적인 현장연구의 형태를 협력적 연구라고 응답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현장연구 수행에서 교사들은 이상적인 것과 실제적인 여건 사이의 차이를 절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들에 연구 수행상에서 겪은 가장 큰 문제점은 연구능력의 부족과 시간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적 연구능력 부족의 문제는 연구를 수행하지 않은 교사들의 연구 비수행의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되고 있기도 하다. 현장연구 수행을 통하여 얻게 된 잇점에 대해서는 상당수의 교사들이 자기확신과 자신감의 획득을 가장 큰 잇점으로 들고 있으며, 이 밖에 전문성의 신장과 반성적인 사고습관의 개발을 현장연구 수행 후 획득한 잇점으로 들고있는 교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연구를 수행한 교사들이 연구결과를 자신의 교육실제에 지속적으로 실천하였는지를 살펴본 결과 연구 수행 교사의 반수 이상이 실천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연구결과를 지속적으로 실천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교사들의 경우 실천하지 않은 이유로 연구와 실제 간의 차이를 지적하고 있다. 수행된 현장연구의 개인적 활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동료교사들과 연구결과를 상호교환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의 58.7%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결과를 상호 교환한 교사들을 중심으로 교환한 정보를 자신의 실제에 적용하였는지를 알아본 결과 전체의 73%에 해당하는 교사가 적용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현장연구를 수행할 교사들에게 계속적인 연구수행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다시 현장연구를 수행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에 대해 일설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는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는 확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현장연구의 교육과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들이 필요하다는 긍정적 견해를 보이고 있다.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서 수행되어온 현장연구의 문제점에 대하여 일선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연구 수행의 경험이 있는 교사와 수행 경험이 없는 교사 모두 연구결과의 활용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현장연구의 형태는 협력적 연구이며, 이와 같이 생각하는 이유는 여러 교사들이 협력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개인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것보다 많은 정보와 실제적 경험을 나눌 수 있으며, 연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현장연구 수행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으로 교사의 전문적 연구능력의 신장과 연구지향의 학교풍토, 시간적 여유 등을 지적하였으며, 교사의 전문적 연구능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를 수행한 교사나 수행하지 않은 교사를 막론하고 응답한 교사의 대부분이 현직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연구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를 바라고 있었다. 수행된 현장연구의 가장 이상적 활용방안에 대하여 교사들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학교의 실제개선에의 활용과 교육과정 개발에의 활용을 지적하는 교사들이 많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