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특수 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성 기술에 관한 일 연구

Title
특수 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한 사회성 기술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SKILLS FOR MAINSTREAMED SPECIAL CHILDREN
Authors
유경아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특수아동통합교육사회성행동평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순
Abstract
특수아동에게 '최소한의 제한된 교육환경 (at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을 제공하자는 취지하에 실시 되어온 통합교육은 오히려 통합된 특수아동에게 '최대한의 제한된 교육환경 (most restrictive environment)을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특수학급을 예·체능통합조차도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수아동들은 일반동료와 교사로부터 특수학급으로 고립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실태에 대해 최근 많은 연구가들이 특수아동의 새로운 환경과 동료들과의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의 결여를 그 원인의 하나로 보고 있다. 즉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교과학습 교육과 병행하여 사회성 기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수아동은 이러한 사회성 기술교육을 통하여 환경에 대한 대처 및 그와 관련된 행동, 대인관계에 필요한 행동, 자신과 관련된 행동, 과제와 관련된 행동을 배울 수 있다. 그러나 특수아동은 일반아동들과 달리 어떠한 사회성 기술들은 마치 교과학습을 배우듯이 습득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특수아동의 사회성 기술 결핍과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견해를 중심으로 통합된 특수아동의 사회성 기술 향상을 위해 특수아동에게 중요하다고 보는 환경과 관련된 사회성 기술, 대인관계에 필요한 사회성 기술, 자신과 관련된 사회성 기술 및 과제의 완수를 위해 필요한 사회성 기술에 대하여 세부적으로 알아보고 이를 1975년 Miburn에 의하여 이루어진 이와 같은 연구에 대해서 그 결과를 비교해 보려한다. 이를 알아봄으로써 사회성 기술 지도의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의 사회성 기술에 대한 견해 차이 및 경력에 따른 견해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사회성 기술에 대한 교사의 견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공립국민학교중 시간제 특수학급을 가진 45개 학교에서 90명의 특수학급교사와 90명의 원적학급 교사로 총 18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Stephen(1978)의 '사회성 행동평가 (Social Behavior Assesment)'를 교사용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평균과 t-test 및 ANOVA률 사용하여 다음과 갈이 나타났다. 1. 우리나라 특수아동에게 우선적으로 교육되어야 할 사회성 기술들은 안전교육과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기술, 소유물에 대한 규칙, 질서, 예절, 성실성, 바른생활등의 기초적인 사회성 기술로 나타났다. 2. 일반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간의 SBA에 대한 평정 결과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180명에 대한 교사경력 Ⅰ(1년-5년), Ⅱ (6년-10년), Ⅲ (11년=20년), 및 Ⅳ (20년 이상)인 교사간의 SBA에 대한 평정결과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related to the defining of specific behaviors to be taught for mainstreamed special children in the class. A questionnaire designed by 'Social Behavior Assessment' (Stephen 1978) was used, which was formulated by 4 types of social behavior patterns such as environmental behavior, interpersonal bezhavior, self-related behavior and task-related behavior. It was composed of 136 items. The data were based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social skills. The subjects were 90 regular class teachers and 90 special class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The fundamental social skills which should be educated to the special children were presented as follows; safety education, emergency skills, rules for belongings, social order, courtesy, sincerity and right practice.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al and regular teachers on rating about SBA.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eacher's experiences Ⅰ (1∼5 years), Ⅱ (6∼10 years), Ⅲ (11∼20 years) and Ⅳ (above 21 years) on rating about SB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