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中學校 音樂敎科書에 나타난 한국민요의 敎授法에 관한 比較分析硏究

Title
中學校 音樂敎科書에 나타난 한국민요의 敎授法에 관한 比較分析硏究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eachin method for Korean folk songs contained in Junior High school texbooks
Authors
李在香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음악교과서한국민요교수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용일
Abstract
This paper is deepened to examine the folk songs which are contained in the current Junior High School music textbooks. By doing so, hopefully the writer wished to increase the interest of Korean folk songs among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in giving a little helping to education with obvious nationality and the upbringing of desirable national culture. The conte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k songs including the music textbooks which is using in school now. As a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I could derive these conclusions. Many songs, theories, purpose and methods are difficult to apply in real education place and I could find result that it is impossible to achieve its purpose. Accordingly in this study I researched into mainly the folk songs for learning national music among five kinds of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are newly revised in 1989 and now used in school. The folk songs used in this study is an essential musical pieces; in the first grade; Arirang, Dorage Taryung, in the second grade ; Han o Kak Yun, in third grade; Jin Do Arirang, the other is alternative musical piece, in the first grade; Mil Yang Arirang, in the second grade; Nilriria, Pung Yun Ga, in the third grade; O Bong San Taryung, Sin Go San Taryung. I divided into the folk song as the textbooks show in four parts like these, inducing motivation, purpose of learning, activities of learning exercise. So analyzed the validity of its contents. As a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I could derive the conclusions like these. First, as a result of creative learning is issued entirely into a view of western music forward, there are in cause to be deepen between national classical music and western music. Seconds, as inducing motivation sentence is selected less a creation atmosphere that can be reached to the song learning by himself than by suggestion of writer's abstract vocabulary, so that took of original purpose that against inducing motivation about songs. Third, in this respect of purpose of learning there is proposed main characters of songs for lessons concerned. There is less briefly described for validity of its study than there is imminent to establish a general and habitual aims and there are a lot of articles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song of lesson for its aim. Fourth, in respect of exercise appreciation, there is not coherent that give indications of songs. And its contents are occupied a little part that well adapted for student having emotional education that are easily learned. Among all the musical pieces for rhythm is mostly treated doubly. From the above-mentioned research I notice the fact that it is imminent to study and develop a textbook in which the general articles in the part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s are more standardize and have a validity in the heart.;본 논문의 목적은 국적있는 교육과 바람직한 민족 문화의 육성에 보탬이 되고져함에 있으며 그 내용은 현행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는 국악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1989년도에 새로 개편되어 교육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5종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 중 국악 학습을 위한 민요곡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민요곡은 필수 악곡으로 1학년 : "아리랑" "도라지 타령", 2학년 : "한 오백년", 3학년 : "진도 아리랑", 선택 악곡으로 1학년 : "밀양 아리랑", 2학년 : "닐리리야" "풍년가", 3학년 : "오봉산 타령" "신고산 타령"이다. 이 민요들을 교과서가 제시하는 대로 동기 유발문·학습 목표·학습 활동·익힘 문제의 4분야로 분류하여 그 내용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자료를 면밀히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그 내용을 분석 요약해 볼 수 있었다. 첫째, 동기 유발문은 학생 스스로가 제재곡에 접근할 수 있는 분위기 설정보다, 저자의 관념적·추상적 어휘를 선택함으로서 악곡에 대한 동기 유발이라는 본래의 취지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다. 둘째, 학습 목표에 있어서는 해당 제재곡의 주요한 특징을 제시하고 그의 연구 당위성을 간단히 서술하기 보다는, 일반적이고 습관적인 목표 설정에 급급하고 있으며 해당 제재곡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을 그 목표로 삼고 있다. 셋째, 학습 활동 과정이 전적으로 서양 음악적 시각으로 제기됨으로서 앞으로 우리 전통 음악과 서양 음악과의 괴리 현상이 심화될 소지가 있다. 넷째, 익힘 문제의 감상면에서 악곡 제시의 일관성이 없고 그 내용이 학생들의 정서 교육에 알맞는 부분이 적은 실정이다. 이들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전체 악곡 중 리듬(장단)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 중복해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상당량의 악곡과 이론·목적과 방법 등이 실제 교육 현장에선 적용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사실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과정에서 우리는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항목의 제반사항이 보다 표준화되고 구체적 타당성을 갖춘 교과서의 연구계발이 시급한 실정이라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