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상금-
dc.contributor.author최혜영-
dc.creator최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5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5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유아의 정서 귀인의 발달경향 및 원인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도덕과 관련하여 정서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서를 귀인할 때와 정서반응에 따라 도덕판단을 할 때 발달경향은 어떠한가? 2. 아동이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서를 귀인할 때 정서 귀인형태는 상황변화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가? 3. 아동이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서를 귀인할 때 정서를 판단하는 규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 대상으로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국민학교에 다니는 만 4, 6, 8세아동 81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Nunner - Winkler와 sodian (1988)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17가지 이야기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는 각 이야기 주인공이 느끼는 정서와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연령별로 정서반응을 한 아동의 분포를 빈도 및 백분율로 나타냈으며 x^(2)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서를 귀인할 때 연령에 따라서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4, 6세 유아는 결과중심으로 정서를 귀인하였으며, 8세아동은 도덕중심으로 정서를 귀인하였다. 또한 정서반응에 따른 도덕판단을 할 때 연령에 따라서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즉, 도덕을 위반한 2명의 행위자에 대해 4세유아는 슬퍼하고 후회하는 아이가 더 나쁘다고 판단한 반면, 8세아동은 웃는 아이가 더 나쁘다고 판단하였다. 2. 아동이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서를 귀인할 때 정서 귀인형태는 명백한 이익 상황과 이익을 얻지 못한 상황 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즉, 상황변화에 관계없이 4, 6세유아는 긍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귀인한 반면, 8세아동은 부정적인 정서를 더 많이 귀인하였다. 3. 아동이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서를 귀인할 때, 4, 6세유아는 행위자의 동기와 행동의 결과간의 일치를 중요시한 반면, 8세아동은 도덕규칙 위반을 중요시하였다. 즉, 4, 6세유아는 동기-결과일치 상황에서는 긍정적인 정서를 귀인한 반면, 동기-결과불일치, 방관자 상황에서 부정적인 정서를 귀인하였고, 8세아동은 동기 -결과일치 및 불일치 상황, 방관자 상황에서 부정적인 정서를 귀인하였다.;The developmental tendency and nature of children's emotion attribution in a morally elevant situation were observed to understand children's morally relevant emot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bout children's developmental tendency when they attribute emotion or when they make a moral judgement according to an emotional reaction in a morally relevant situation? 2. Does the emotion attribution pattern of children have differences according to siuational variations when they attribute emotion in a morally relevant situation? 3. How about children's criteria for emotional judgement when they attribute emotion in a morally relevant situation? For the study subjected were 4, 6 and 8-year-old 81 children attending to Kindergartens or grade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17 stories employed in the study of Nunner- WinKler and Sodian (1988) were revised and made use of as the required instrument. The emotion and its nature or reason felt by the protangonist of each story were accounted for by every child And, as for the process of the collected data, the distribution of children's emotional reactions classified by ages was appeared 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X^(2) va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s: 1. Children showed sign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according to different ages when they attibute emotion in a morally relevant situation. That is, 4 and 6-year-old children attributed emotion focused on the aotcome-oriented, while 8- year-old children attributed emotion upon the morally oriente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ages when made moral judgement according to emotional reactions. That is, for the 2 wrongdoer of the story who were against the moral transgression, 4- year-old children made moral jugment that the person who gave way to sadness and regreted was worse, while 8-year-old children made another judgement that the person who laughed was worse. 2. The emotion attribution patte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angible-profit and the no-tangible-profit conditions when children attribute emotion in a morally relevant situation. that is, with no relation to situation variance,4 and 6-year-old children attributed positive emotion more frequentiy, while most 8-year-old children attributed negative emtoion. 3. When children attribute emotion in a morally relevant situation,4 and 6-year-old children attacted great importanct to the consistency of behavioral motive and result, while 8-year-old children thought much of the transgression of moral rule. That is, 4 and 6-year-old children attributed prositive emotion in a condition of the match between motive and outcom, but attributed negative emotion in a situations of the mismatch between the both or in that of a bystander, while, 8-year-old children attributed negative emotion in situations of the match or mismatch betweem motive and out- come and a bystand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서의 개념 및 정서추론의 발달 = 6 B. 도덕과 관련된 상황에서의 정서 귀인 = 10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연구 도구 = 17 C. 연구 절차 = 18 D. 자료 분석 = 21 Ⅳ. 결과 및 해석 = 22 Ⅴ. 논의 및 결론 = 38 A. 논의 = 38 B. 결론 = 40 참고문헌 = 42 부록 = 4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667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
dc.subject도덕적상황-
dc.subject정서-
dc.subject귀인-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의 도덕적상황에서의 정서에 대한 귀인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hildren's attributton of emotion in amoral situation-
dc.format.pagev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