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환-
dc.contributor.author김희영-
dc.creator김희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2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5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23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reading achievements between mentally retarded(MR) and normal children(NC), aged 7, 8, and 9. Three experimental tasks of word recognit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reading of Korean graphemes of consonants and vowels were conducted. Thirty subjects for each groups selected, 10 for each mental age group of 7, 8 and 9. For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ANOVA and t-test at the significance level .05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R and NC in ages 7 and 9 in the word recognition test.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R and NC in age 8. In this case the mentally retareded were superior to the normal children. 2. No signif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R and NC in the test of reading comprehemsion test. 3. No signif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R and NC in the reading of Korean graphemes of consonants and vowels. 4.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ntal ages of 7, 8, and 9 in the word recgnition test of both groups. 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ntal ages of 7, 8, and 9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of both groups. 6.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ental ages of 7, 8, and 9 in the reading of Korean consonant and rowel graphemes by M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hree mental ages of NC in the reading of Korean consonant and vowel graphemes. 7. Both MR and NC acquired all the Korean consonant graphemes in the word-initial position. However, the MR of age 7 showed difficulty in the acquisition of consonants [h, c, t, k, c^(h), s, ŋ, p, s´, k´, k^(h), p^(h)] in the word-final positions and of vowels [ye, we, w□, □y]. On the other hand, the NC of age 7 could not achieve consonants [h, p^(h), k^(h)] and vowels[we, yæ, ye, wæ, wi, □y] in the word-final positions. The MR of age 8 could not achieve conenents [h, p^(h)] in the word-final positions and vowels[yæ, ye]. The NC of age 8 could not achieve [h, k^(h)] in the word-final positions and vowels [yæ, ye]. The MR of age 9 could not achieve consonant [h] in the word-final position and vowels[yæ, we]. The NC of age 9 could not achieve consonants [h, p^(h)] in the word-final Positions and vowels[yæ, we, □y, ye].;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 성취 능력이 같은 정신 연령의 정상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비교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 정신연령 집단에 있는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이 올바르게 재인하지 못하는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을 찾아 교육현장에서의 읽기 교수 전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읽기 검사 도구는 단어재인 검사, 읽기 이해력 검사, 및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읽기 검사이다. 연구대상은 정신연령이 7세, 8세 및 9세인 정신지체아동 각 10명씩 30명, 정신연령이 7세, 8세 및 9세인 정상 아동 10명씩 30명으로 모두 60명이다. 검사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단어재인 능력은 정신연령이 8세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경우 정신지체아동이 정상아동보다 높은 성취를 보였다. 그러나 정신연령이 7세와 9세인 아동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읽기 이해력은 정신연령이 같을때,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세째,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한국어 자음자 모음의 읽기 능력은 정신 연령이 같을 때,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단어재인 능력은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 두 집단 각각 정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신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읽기 이해력은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 두 집단 각각 정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신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읽기 성취 정도는 정상아동은 정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신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신지체아동은 정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신연령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곱째,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읽기 검사에서 볼 때,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이 대부분의 초성자음을 습득하였다. 그러나 정신연령이 7세인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ㅎ, ㅈ, ㄷ, ㄱ, ㅊ, ㅅ, ㅇ, ㅌ, ㅂ, ㅆ, ㄲ, ㅋ, ㅍ'의 종성자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고, '얘, 예, 웨, 워, 의'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정신연령이 7세인 정상아동의 경우 'ㅎ, ㅍ, ㅋ'종성자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고, '웨, 얘, 예, 왜, 위, 의'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정신연령이 8세인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ㅎ'과 'ㅍ'의 종성자음과, '얘'와 예'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정신연령이 8세인 정상아동의 경우 'ㅎ'과 'ㅋ'의 종성자음과, '얘'와 '예'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정신연령 8세인 정상아동의 경우 'ㅎ'과 'ㅋ'의 종성자음과, '얘, 웨, 에, 의'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정신연령이 9세인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ㅎ'의 종성자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고, '얘'와 '웨'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정신연령이 9세인 정상아동의 경우 'ㅎ'과 'ㅍ'의 종성자음과 '얘, 웨, 의, 예'의 모음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가설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읽기의 정의 = 7 B. 읽기의 과정 = 12 1. 단어재인의 과정 = 12 2. 이해력의 과정 = 14 C.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 18 Ⅲ. 연구방법 = 23 A. 실험설계 = 23 1. 자료 = 23 2. 실험대상 = 25 B. 실험도구 및 채점 = 26 1. 단어재인 검사 = 26 2. 이해력 검사 = 28 3. 한국어의 자음과 모음의 읽기 검사 = 28 C. 실험방법 및 절차 = 36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40 Ⅳ. 결과 및 논의 = 41 A.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읽기 성취 검사 비교 = 41 B. 정신연령 증가에 따른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읽기 성취 검사 비교 = 44 C. 한국어 자음과 모음의 읽기 성취 = 55 Ⅴ.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64 A. 연구의 제한점 = 64 B. 제언 = 64 참고문헌 = 66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6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아동-
dc.subject정상아동-
dc.subject읽기능력-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읽기능력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Reading Achievements between Mentally Retarded and Normal Children-
dc.creator.othernameKim, Hee Young-
dc.format.pagex,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