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해금정악곡의 운궁법에 대한 연구

Title
해금정악곡의 운궁법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Bowing for Haegum
Authors
우미란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해금정악곡운궁법음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해금의 악기 구조를 살펴보면 활이 줄과 줄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해금은 악기 구조상 뜯는 주법 ( pizzicato)이 불가능하며 오로지 현을 진동시키는 방법은 활로서 문지르는 주법만이 있을 뿐이다. 해금에서의 運弓法은 악기 연주법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금 운궁법의 고정적인 법칙이나 질서라든가 그밖의 여러가지 특징을 찾아보려고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黃종이 C인곡은 제외하고 황종이 E^(b)인곡만을 채택하여 조사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曲이 처음 시작될때는 거의 모두 右方向進行運弓이다. 2. 章이 시작될때도 90.9%가 우방향진행운궁이다. 3. 3拍子 이상을 끌어주는 긴 박에서는 동일 음을 길게 뻗어주는 형태, 동일 음이 아닌 다른 음이 들어간 형태 그리고 장식적인 先行音을 가진 형태의 세가지가 있는데 모두 한 활대로 연주된다. 4. 黃이 E^(b)인 곡에서 쓰여진 장식음은 16개(ㄷ Λ ㅅ u □ □ h ㄱ ㄴ ヒ u(')□ □ H Z ひ) 이다. 이중에서 "Λ " "ㅅ"장식음은 활대가 바뀌는 곳에 표시되어 있을지라도 활대를 바꾸지 않고 연주하지만 다른 모든 장식음들은 표기된대로 연주한다. 5. 잉어질 주법은 총 204회 출현하는데 194번은 우방향진행운궁에서 나타나고 10번은 좌방향진행운궁에서 나타난다. 6 . 빠르기에 따른 활의 사용 범위는 대략 다음의 4가지형으로 나뉘어진다. 첫째, 탬포가 1분에 20∼45박일 경우는 전체 사용형이다. ◁ 그림 삽입 ▷ (원문참조) 둘째, 템포가 1분에 50∼80박일 경우는 약 2/4부분 사용형이다. ◁ 그림 삽입 ▷ (원문참조) 셋째, 템포가 1분에 90∼150박일 경우는 약 ⅓부분 사용형이다. ◁ 그림 삽입 ▷ (원문참조) 넷째, 템포가 1분에 180박일 경우는 약 1/6부분 사용형이다. ◁ 그림 삽입 ▷ (원문참조) 단 이와같이 활을 쓰는 정도는 해당되는 음정의 강약에 따라 다소 증감될 수 있다. 또한 그림에서 표시한 사용 부분도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다만 대략적인 표시로 근사가를 나타낸 것일 뿐이다. 7. 동일한 선율이 반복될 때의 활대 방향은 그 운궁 방향이 같아지는 경우가 틀려지는 경우와 부분적으로 조금 틀려지는 경우가 있는데 활대 방향은 같아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8. 짧은 싯가를 지닌 음에서 활이 바뀌는 경우는 그 음이 비록 장식적인 것이긴 하지만 그 음들을 분명히 소리내어서 그를 강조하기 위한 활대법으로 보인다. 9. 타령장단을 쓰는 악장의 활대 사용 방법은 거의 ◁ 그림 삽입 ▷ (원문참조)의 두 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령장단으로 되어 있는 곡들에서 이와같은 두 가지 형태의 활대로 연주되는 것은 柳初新之曲 打令에서는 89.9%, 군악이 79.7%, 重光之曲의 타령이 92.2% 軍樂은 유초신지곡과 동일, 表正萬方之曲 타령이 91.4% 군악은 유초신과 동일, 界面加樂還入은 85.8%, 羽調加樂還入은 98.6%, 길打令은 95.2%, 別羽調打令은 88.2%, 軍樂은 81.8%의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해금의 운궁법은 곡의 빠르기에 따라서 또는 곡의 성격 즉 표현이나 곡태에 따라서, 그리고 선율선에서의 변화 즉 가락의 흐름에 의해서 수시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Since the structure of Haegum'is fixed a bow between strings, toning method of Haegum is not to pizzicato the strings but to vibrate two strings which are rubbed by bow. Therefore the Un-gung technique In Haegum is very important element of method of playing instrument. So in this study we search for fixed law and order of Un-gung technique and several characteristic. For this study we choose to investigate Hyangak-Gok except for Dangak-Gok.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beginning of musical piece is mostly right-direction-progress Un-gung. 2. The proportion of right-direction-progress Un-gung to chapter is 90.9%. 3. There are three forms in the long beat which is more than triple meter the first formis to make a long sound the same sound. The second is to insert not same sound but different sound. The third form is to have ornamental previous-sound. All of the three is performed by a bow-pole. 4. Used grace notes in the Hyangak-Gok are sixteen pieces(ㄷ?ㅅu??hㄱㄴ????HZ?) of notes. Even if " Λ" "ㅅ" grace notes are expressed changepoint of bow-pole, we perform grace notes unchanged bow-pole, but every other grace notes are performed by the inscrebed music. 5. When Ingeujil-execution appear 204 times, 194 times appear right-direction-progress Un-gung and 10 times appear left-direction-progress Un-gung. 6. According to tempo the use width of bow-pole is largely classified as follows. When the first tempo is 20-45 beat per minute, it is approximately whole using type. ◁원문그림참조▷ When the second tempo is 50-80 beat per minute, it is approximately a haft using type. ◁원문그림참조▷ When the third tempo is 90-150 beat per minute, it is approximately one third using type. ◁원문그림참조▷ When the fourth tempo is 180 beat per minute, it is approximately one-sixth use type. ◁원문그림참조▷ The using degree of upper showen bow-pole is able to increase and decrease in some degree as the stress of equivalent interval. In addition to using expression width in picture is not an absolute value but an appoximate value. 7. When we use the same melody repeatedly, it is appeared that the direction of Un-gung is mostly the same the direction at- bow-pole. 8. In the case of sound of short value, the change of bow, even if the melody is normal, is seems the method of bow-pole to emphasize to make a clear sound. 9. At the use of Taryung-rythem of the musical piece, the using method of bow-pole is mostly consist of two classified type. ◁원문그림참조▷ In the musical piece which is composed of Tary-ung-rythem, the propertion of these two types of bowpole to performance is as follows. Yuchosin-Taryung is 89.8% Gunak is 79.7%, Jung-kwangji-Gok Taryung is 92.2% Gunak is 79.7% (the same proportion as Yuchosin), Pyo Jung man bang-Taryung is 91.4% Gunak is 79.7% (the same proportion as Yuchosin), Gyumyun-Garak-Dodri is 85.8%, Woojo-Garak-Dodri is 98.67%, Gil-Taryung is 95.2%, Byal Woojo-Taryung is 88.2%, Gunak is 81.8%. Therefore according to the speed, characteristic, expression and melodycurrent of musical piece, Un-gung Techniqul is had an influ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