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윤-
dc.contributor.author유경숙-
dc.creator유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5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48-
dc.description.abstract교육의 중요한 기능이 학생들의 사고력 신장이라면,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 방법은 사고양식 이론들의 본질을 규명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고양식에 관한 이론들을 분석하여서, 그것들이 교육과정에 주는 의미를 찾으려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양식 이론들이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문제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주고 있는가를 찾기 위하여, 먼저 사고양식 이론들의 각각의 지식관, 교육관을 밝혀내어,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문제인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에 관련하여, 그 교육적 의미를 찾아 보았는데 다음과 같다. 1. 교육목표 과학적 사고양식에서는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방법론인 과학적 사고의 습관형성을, 학문적 사고양식에서는 학문에 내재된 사고양식을 통하여 정신력 계발에 목표를 두고 있다. 한편, 비판적 사고양식은 비판적 의식의 각성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사고양식 이론들은 단순히 지식이나 정보의 획득에로 교육목표를 국한시키지 않고, 오히려 기존의 지식·가치를 검토하여서 그것에로의 맹목성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재형성과정으로 차원을 높히고 있다. 2. 교육내용 과학적 사고양식에서는 지식의 결과보다는 탐구과정을, 학문적 사고양식에서는 이해방식과 탐구방법을 포함하는 학문을 교육내용으로 삼고 있다. 비판적 사고양식에서는 교과내용과 비판의 두 국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 이론들은 교육내용으로서 지식의 내용보다도 그 인식과정을 중요시 한다. 즉, 맹목적인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생각하는 방법이 중요한 내용이 된다. 사실이나 지식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사고하고, 판단·경험하는 방법을 아는 것으로 교육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고 파악한다. 3. 교육방법 공통적으로 교육방법으로서 학습자의 참여를 중시하고 있다. 즉, 과학적 사고양식에서는 학생들의 활동을 통한 학습 (learning by doing)을, 학문적 사고양식에서는 학생들 스스로의 탐구활동을, 비판적 사고양식에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대화나, 학생들의 비판에의 개방을 각각 주장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에서의 능동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이들 이론들은 전통적인 교사중심의 수직적인 전달에서,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수평적인 방법으로 전환하고 있다. 예컨대, 기계적인 암기나 권위적인 수업에서 탈피해서, 학생 스스로 의미를 깨닫고 찾을 수 있는 자율적 탐구를 장려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The theoretical modes of thinking - scientific, disciplinary and critical - were analyzed. It has been long argued that the function of schools wa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of thinking. But we have seldom discussed how and what to teach regarding to the thinking. The of this study was to perceive the theoretical base of modes of thinking in order to get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ese modes of thinking in education.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in terms of knowledge and educational meaning in each theory of mode of thinking, And their theoret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within the frames -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method of education. The results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Purpose of Education. The main purpose in the scientific mode of thinking is to develop scientific thoughts which are applied to every aspect as a general methodology. The disciplinary mode of within th discipline. The mode of critical thinking concerns mainly with the awakening of mode education to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or information, on the contrary, but develop it into reformation - process which can cause new cre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n existing knowledge and value and emergence from it's blindness. 2. Contents of Education. The scientific mode of thinking puts more emphasis on the process of inquiry than on the result s of knowledge. And the discipline including the methods of understanding and inquiry is a major concern in the disciplinary mode of thinking. Both the subject matter and criticism are emphasized in the critical mode of thinking. These theories account much of the process of cognition rather than the contents of knowledge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Namely. it is not blind acquirement of knowledge but the way of thinking that become important contents. In fact, they understand that the contents of education must be composed of recognizing not only knowledge but also the way of thinking, judgement and experience. 3. Method of Education. The emphasis is given on students' self-activity through learning by doing in the scientific mode of thinking, An imitation of the master's mode of thinking is the major concern in the disciplinary mode of thinking, and open atmosphere and dialogue are the educational methods as representative method in the critical mode of thinking. These theories have converted the vertical delivery of traditionally leading teacher into the horizontal way centering around learner's active involvement, In other words, they consider that emerging from mechanical memory and commanding class, students must be encouraged to inquire into finding and grasping meaning on their own initia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 1 B. 연구방법과 제한점 = 3 Ⅱ. 사고양식에 관한 이론 = 5 A. 과학적 사고양식 = 5 B. 학문적 사고양식 = 15 C. 비판적 사고양식 = 28 Ⅲ. 사고양식의 교육적 의미 = 40 A. 교육목표 = 40 B. 교육내용 = 43 C. 교육방법 = 50 D.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 = 55 Ⅳ. 요약 및 결론 = 63 참고문헌 = 67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455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사고양식-
dc.subject교육학-
dc.subject교육-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과정에 있어서 사고양식의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oretical modes of thinking-
dc.creator.othernameYoo, Kyeong-sook-
dc.format.pagev,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