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말소리발달 비교 연구

Title
정신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의 말소리발달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PEECH-SOUNDS BETWEEN NORMAL AND THE EDUCAB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 WITH SPECIAL REFERENCE TO AFFRICATES, FRICATIVES, AND LIQUID
Authors
김화수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정신지체아동정상아동말소리발달파찰음마찰음유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환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peech-sounds (Affricates, Fricatives, and Liquids) in both normal children (NC) and in educable mentally-retarded children (EMR), aged 3, 4, 5, and 6 years and to compare the developmental courses and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of subjects. Fourty subjects for each group were studied, ten per age.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thus came to 80. A test material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speech sounds, [c´], [c], [c^(h)], [j], [s˘], [s˘´], [s], [s´], [r], and [l], consisted of 79 picture card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n individual child in a quiet and separate room. All Responses were tape-record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s, ANOVA and t-test were us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four age levels of NC in the Scores of their articulations of different speech-sounds. The order of development was found to be [j], [l], [c^(h)], [c´], [c], [s˘], [s], [s˘´], [s´], and [r].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four age levels of EMR in the scores of their articulations of different speech sounds. The order of development was found to be [j], [s˘], [s], [c^(h)], [c], [s˘´], [l], [c´], and [r]. 3. In compairing pronounciation ability between NC and EMR with reference to the mental 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C(age 6) and EMR(age 6). and between NC(age 4) and EMR(age 5). 4. A significant different was found in each speech-sounds between NC and EMR. 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ach speech-sounds type (Affricates, Fricatives, and Liguid) between NC and EMR. 6.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ach syllable position between NC and EMR. 7.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ounds in regard to different syllable positions between NC and EMR.;말소리 발달에 있어서 가장 많은 오조음을 내며, 가장 늦게 습득되는 것으로 알려진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열개 말소리는 정상아동뿐만 아니라 정신지체아동들의 바른 조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아동의 파찰음, 마찰음 및 유음의 발달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상아동과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열가지 말소리-[c], [c´], [c ^(h)], [j], [sˇ], [sˇ´], [s], [s´], [r], [l]-에 대한 발음이 정신연령 3, 4, 5, 6,세로 증가함에 따라 발달되어 가는 모습을 알아보고, 둘째,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말소리발달을 정신연령에 의거하여 비교하며, 세째,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말소리별 및 말소리유형별로 비교하고, 넷째, 정상아들과 정신지체아동의 말소리발달을 음절수별 및 음절위치별로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아동 80명중 정상아동 40명은 서울시 소재의 세 유치원에서 표집하였고, 교육가능급 정신지체아동 40명은 서울시 소재의 특수학교 한 곳에서 표집하였다. 실험도구는 우리말 자음 6개에 해당하는 10개 말소리를 1음절어, 2음절어, 3음절어에 위치한 6개의 음절위치 초성에서 두번씩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79개의 낱말카드를 이용하였다. 실험절차는 검사자가 아동을 개별적으로 만나 낱말카드를 제시하고, 자발적으로 그림의 이름을 말하게 하거나 따라하게 하여 얻은 발음을 변이음표기로 기록하였다. 검사결과는 아동집단, 정신연령, 말소리, 그리고 음절위치의 상호작용을 보는 ANOVA와 각 집단별 차이를 보는 t -test에 의해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아동에 있어서 말소리에 대한 발음능력이 정신연령이 3, 4, 5 , 6세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말소리 발달순서는[ j ], [ l ], [ c ^(h)], [ c ´], [ c ] , [ sˇ ], [ s ], [ sˇ´ ], [ s´ ], [ r ]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정신지체아동에 있어서 말소리에 대한 발음능력이 정신연령이 3, 4 , 5 , 6세로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말소리 발달순서는 [ j ], [ sˇ ], [ s ], [ c ^(h)], [ c ], [ sˇ´ ], [ s´ ], [ l ], [ c ´], [ r ] 순으로 나타났다. 3.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발음능력을 정신연령에 의거하여 비교하였을 때 정상아동 6세와 정신지체아동 6세, 정상아동 4세와 정신지체아동 5세에서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발음능력이 10개의 말소리 각각에서 차이가 있었다. 5.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발음능력이 3개의 말소리 유형 각각에서 차이가 있었다. 6.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발음능력이 6개의 음절위치 각각에서 차이가 있었다. 7. 정상아동과 정신지체아동의 발음능력이 3개의 음절어 각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