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장애아 가정의 긴장(stress)과 적응에 관한 일연구

Title
장애아 가정의 긴장(stress)과 적응에 관한 일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RESSES AND COPING BEHAVIOR OF THE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 With Emphasis on the Mother's Coping Resources
Authors
정청자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장애아 가정긴장어머니stres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賢順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아를 가진 가정의 원활한 기능이 장애아동의 발달과 사회적응을 위해서 임상, 교육이상으로 중요하다는 논리에서 가정의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부모의 스트레스 감소와 부모지지에 초점을 둔 개입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탐구하였다. 동시에 장애아양육이라는 긴장적 상황속에서 적응을 용이하게 하는 어머니의 대처자원으로써 주위의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와 장애를 이해하는 어머니 자신의 믿음, 그리고 대처행동의 중요성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견해에서 장애아어머니의 스트레스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 이 요인들이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적응 즉 대처행동에 어떻게 관계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장애아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적응 또는 부적응을 결정하는 것은 아동의 장애의 심각성 때문보다도 아동의 장애에 따른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어머니의 대처 차원의 적합성 문제라는 것을 근거로 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조사 연구를 위한 대상자는 서울시내의 특수교육기관 7곳에 다니는 156명의 장애아동을 가진 중류층 어머니들이며, 아동의 나이는 12세미만으로 평균연령은 5, 6세이다. 이 아동들은 지능, 지체, 자폐 또는 청각등의 장애를 대부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연구의 결과 : 1. 아동의 장애심각도에 따라 어머니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重度장애아어머니들은 輕度장애아어머니들이나 中度장애아어머니들에 비하여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한편 장애심각도와 어머니의 대처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장애심각도에 따른 대처행동 Ⅰ, Ⅱ, 및 Ⅲ^(註)) 의 점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장애아를 보살피는데 있어 장애아의 특성상 육체적 부담을 더 많이 갖는 어머니들은 그러한 부담이 적은 어머니들에 비하여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보살핌의 육체적 부담정도와 어머니의 대처행동간에는 대처행동Ⅱ하고만 미약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3. 각종 사회적 지지도와 스트레스 수준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편의 지지도 및 비형식적 지지도와 스트레스수준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나 형식적 지지와 스트레스수준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한편, 각종 사회적 지지도와 어머니의 대처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남편의 지지도와 대처행동Ⅲ간에만 유의한 상관이 없었을 뿐 전반적으로 대처행동과 사회적 지지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볼 수 있었다. 4. 어머니의 신앙심의 깊이와 스트레스 점수간에는 미약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한편, 신앙심의 깊이와 대처행동간의 관계에서는 대처행동Ⅲ하고만 상관이 없었을 뿐 대체로 대처행동과 신앙심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을 볼 수 있었다. 5. 아동의 장애심각도, 아동의 보살핌에 따른 어머니의 육체적 부담 정도, 신앙심의 깊이, 비형식적 지지도, 형식적 지지도, 남편의 지지도의 6개의 변인중 스트레스를 가장 잘 예측해 주는 변인의 순위는 어머니의 육체적 부담정도, 남편의 지지도, 장애심각도의 순위였다. 6. 아동의 장애심각도, 보살핌에 따른 어머니의 육체적 부담정도, 신앙심의 깊이, 비형식적 지지도, 형식적 지지도, 남편의 지지도의 6개의 변인중 대처행동 Ⅰ을 가장 잘 예측해주는 변인의 순위는 남편의 지지도, 신앙심의 깊이, 형식적 지지도의 순위였고 대처행동Ⅱ를 가장 잘 예측해주는 순위는 남편의지지도, 형식적 지지도, 어머니의 육체적 부담 정도의 순위였다. 반면에, 대처행동Ⅲ에 대한 예언력은 형식적 지지가 1위였고 나머지 변인들은 예언력이 없었다. 7. 스트레스수준과 대처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대처행동Ⅰ 및 Ⅱ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선행연구를 통하여 예상한대로 아동의 장애의 심각성은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적응여하에 직접적인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머니의 스트레스수준 및 적응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장애아의 양육에 따른 어머니의 육체적 부담이 얼마나 되는가 그리고 대처자원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에 따라 대부분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남편의 지지의 중요성이다. 즉 아동의 장애의 심각성보다 남편의 지지를 얼마나 받고 있는가가 어머니로 하여금 장애아 양육이라는 긴장적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을 결정하는 핵심인 것이다. 그리고 어머니가 전적으로 맡고 있는 장애아의 보살핌에 따른 육체적 부담은 곧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직결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애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개선하고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남편의 지지를 구하는 방안은 물론이 거니와 특히 가사 양육보조와 같은 실질적 도움을 제공하는 등의 부모지지체계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The study aims at pointing out the fact that efficient functioning of the families with the handicapped children is as important as clinical treatment and education in healthy development and future adjustment to the society for the handicapped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mmon the intervention program focussed on the support of the parent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lessen the stresses of the parents in bringing up the handicapped children in order to fortify the efficient functioning of the families. The causes for stress were investigated so that the results may be utilized in lessening the parents' stress and facilitating adaptation. It was further investigated how such causes interacting with the mother's coping resources had any effect on themother's stress and adaptation, i.e. coping behavior. Based on the foregoing studies, it was assumed that the mother's coping resources rather than the severity of child's handicap in overcoming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bringing up the handicapped child were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levels of adaptation and stress of the handicapped child's mother. The double ABCX Model by McCubbin and Patterson(1981) was introduced to explain this theory. The child's severity of handicap and subsequent care-giving duties were determined as stressors. It was further determined that the social supports and religious convictions were the coping resources of the handicapped child's mother. Social supports consist of husband's support, formal and informal supports. Coping behaviors consist of the mother's efforts and behaviors in her efforts to adapt to the difficult situations associated with raising the handicapped child. Coping behavio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ping Behavior Ⅰ,Ⅱ and Ⅲ. Coping behavior I includes behaviors necessary to bring a positive out-look on the difficult situations( of raising the handicapped child), and to bring family unity and cooperation. Coping behavior Ⅱ focuses on the mother's efforts in maintaining her mental state through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Coping behavior Ⅲ is behaviors necessary for coping with the medical problems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clinical staff and/or other parents. A questionnaire containing domographic informations, stress measurement, mother's social support (husband's support, formal and informal supports), religious convictions, and coping behaviors was given to 156 mothers of middle socio-economic group with handicapped children in seven handicapped children's schools in Seoul. Twelve years old and younger children were selected and the mean age was 5.6 years, Most of these children possessed multiple handicaps including mental retardation, physical handicaps, autism and gearing dificienc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levels of stress depending upon the severity of child's handicap.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mother's stress was directly proportionat to the degree of child's handicap level. Howe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severity of child's handicap did not affect the mother' coping behaviors(coping patterns Ⅰ,Ⅱ, and Ⅲ.) 2. Stress was higher for those mothers with additional and unusual care-giving demand for their handicapped children than those with less care. Regarding the moter's coping behaviors (patterns Ⅰ,Ⅱ,and Ⅲ.),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ing demand and coping pattern Ⅱ. 3. There was an inverse cor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 and the husband's and informal suppor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level and the formal support. As for the mother's doping behavio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support and coping pattern Ⅲ,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coping behavior was in general positive. 4. There was a slight, but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nviction and the mother's stress level. But the religious conviction and coping patterns Ⅰand Ⅱ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hip. 5. Of the six variables (i.e. the severity of handicap, extra care-giving demand, religious conviction, formal support. informal support, and husband's support), the extra care-giving demand, the husband's support and the severity of the child's handicap were the most prediction variables in mother's stress in that order. 6. Of the six variables mentioned above, the husband's support, mother's religious convictions, and formal support were, in order of, the prediction variables in coping pattern Ⅰ. Coping pattern Ⅱ was predicted by, in order of, the husband's supports, formal support, and the extra care-giving demand. The formal support was the only predicting variable in coping pattern Ⅲ and the other variables had little significance. 7.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coping behavior and the mother's stress level, coping patterns Ⅰ and Ⅱ had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to the level of stress.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severity of child's handicap had little effect on the mother's stress of coping. It was th mother's physical hardship in raisin her handicapped child(ren) and her coping resources that determined the mother's stress and coping abilities. In particular, the husband's support, as a coping resource, was proven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helping mothers to cope with stressful situation of raising handicapped child. Above results suggest that lessening the mother's responsibilities (sharing the duties of household chores and child rearing) and strategies for reinforcing the husband's support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intervention programs in diminishing the mother's stress and consolidating her coping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