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5 Download: 0

중학교 과학과 기상단원의 목표분석과 성취도 조사연구

Title
중학교 과학과 기상단원의 목표분석과 성취도 조사연구
Other Titles
(An) Objective Analysis and Survey of Achivement of Meteorology Unit in the Science Textbooks of Middle School
Authors
姜秀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지구과학교육분야
Keywords
중학교과학과기상단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래영
Abstract
Educational objectives have a great effect on the Selection of Contents, Composition, Learning guidance and Evaluation.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achievement and relation between their of Meteorology Unit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Ⅰ (1989).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work are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Meteorology Unit stressed generally on Comprehension (34.01%) and were distributed in Knowledge (30.46%),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27.41%), Application (5.58B), and etc. (2.54%). 2. According to the test on the rate of objective-achievement, it was observed that the rate of objective-achievement is the highest (69.4%) in Knowledge, 65.2% in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59.1% in Application and etc., and 58.7% in Comprehension. 3. By χ^(2) test it was concluded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students' achievement was connected with Knowledge category. Conclusively,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Knowledge objective category obtain immediately its educational results just as wished in the textbooks, but the Comprehension,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Application do not. This fact can be modified with a view to developing of the future curriculum and assessing of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교육과정은 교육목표, 내용, 지도 및 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목표는 내용의 선정과 조직, 학습 지도 및 평가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현행 중학교 과학 1 교과서( 1989 )에서 대기와 물의 순환 단원의 교육 목표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목표 도달도를 측정하여 봄으로써 교육 목표와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기상단원의 목표들은 전반적으로 이해( 34.01 % ) 목표를 가장 중시하였으며 , 지식 ( 30.46%), 탐구 과정 ( 27.41 %), 응용 ( 5.58 % ) 그리고 기타( 2.54 % ) 영역 순의 분포를 보였다. 2 . 목표도달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지식( 69.4 % )이 가장 높았으며, 탐구 영역이 65.2 %, 응용과 기타가 59.1 % 그리고 이해는 58.7 %로 측정되었다. 3 . 교육목표와 학생들의 성취도와의 관계는 x^(2) ( chi-square ) test의 통계를 통하여 지식 영역에서 크게 상관되어진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지식목표 범주는 교과서에서 의도하는 바에 따라 교육의 성과를 즉시 나타내나, 이해와 탐구, 응용 및 기타 범주는 그렇지 않다. 이것은 미래의 교육과정 개발과 과학적 탐구과정의 평가를 위하여 모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