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3 Download: 0

움직임교육 지도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움직임교육 지도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CASE STUDY OF MOVEMENT EDUCATION IN KINDERGARTEN
Authors
한규령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움직임교육지도MOVEMENT EDUCATIONKINDERGARTE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恩和
Abstract
This thesis has set its purpose as to find out "How is cognition of the kindergarteners or maids on a guidance for preschooler's movement?" and "How is the status of practical operation on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of the movement education?". The subject is, first, "How is kindergartener's cognition on contents of the movement education and on its methods?". Second, "How is status of the kindergartener's practical operation on contens of the movement education and on its methods?" Third, "How is relations between kindergartener's status of cognition and status of practical operation?" Objects on this study are selected 4 kindergarteners who differ in all the aspects of their experiences, educations, and establishing backgrounds of the kindergartener, and then the resultants are as follows since interviewing directly with them on their cognition and observing their lessons. 1. Cognition, by a kindergartener who work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having 2 years' experience on that field as a graduate of the professional college, on guideline to the movement education, appeared to be an approach to a partial movement education, and in her practice on contents of the movement education, a traditional approach which emphasizes a precise demonstration and an approach to the movement education were appeared at the same time. That meant there exists a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on guideline of the movement education and practical operation. 2. Cognition by a kindergartener who is a graduate of 4 years' course university and employed in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university, having 2 years' experience, appeared an approach to the movement education, and in her practice, showed also, an approach to movement education. Therefore, there was a coincidence between cognition on the guideline of movement education and its practice. 3. Cognition by a kindergartener who is a graduate of the professional college and works in "Saemaeul" kindergarten having 10 years' experience on that field, appeared an approach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in her practice, showed also an approach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Therefore, there was a coincidence between cognition on the guideline of the movement education and its practice. 4. Cognition by a kindergartener who is a graduate of 4 years' course college and works in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primary school, having 10 years' experience, on contents of the movement education, appeared an approach to the movement education, but in its practice, an approach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an approach to the movement education appeared coincidently. Therefore,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on contents of the movement education and its practice.;움직임교육 이론은 1940년대에 영국에서 발달되어 서부 유럽으로 확장된 이론으로써, 모방과 지시방법에 의존하는 전통적 접근에 대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 체육교육의 방법으로 대두하게 되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근래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움직임교육 이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갖게 됨에 따라, 움직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이 여전히 전통적 수준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음에 대한 지적이 있어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절대수가 부족한 형편에 있으며, 특히 현장에 대한 사례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움직임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행이 어떠한지를 사례를 통하여 밝히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움직임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은 어떠한가. 세째, 움직임의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간의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의 특성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는 면접 및 현장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즉, 경력과 학력, 그리고, 유치원의 설립배경이 다른 유치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움직임의 지지도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인식에 관해서는 면접법을 통하여, 실행에 관해서는 관찰법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임 지도내용에 대한 인식은, 전문대를 졸업하고, 사립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2년 경력의 교사(A교사)의 경우, 창의적인 움직임에 국한된, 매우 부분적인 움직임교육의 개념을 소유하고 있고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부속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2년 경력의 교사 (B교사)의 경우, 움직임교육 접근 내용인 이동움직임·조작움직임·창의적 움직임에 한정된 움직임교육 개념을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전문대를 졸업하고, 새마을유아원에 재직하고 있는 10년 경력의 교사(C교사)의 경우, 노랫말에 따라 형태가 고정된 움직임을 내용으로 하는 전통적 접근의 개념에 한정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공립국민학교 병설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10년 경력의 교사(D교사)의 경우, 이동움직임·음률 및 창의적 움직임을 내용으로 하는 움직임교육 접근의 개념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움직임 지도방법에 대한 인식은, A교사의 경우, 전통적 접근에서 강조하는 시범활동에 제한되고 있고, B교사의 경우, 움직임교육의 현대적 접근에서 강조하는 탐색·문제해결·발견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C교사의 경우, 전통적 접근에서 강조하는 시범과 모방을 특징으로 하는 교수방법에 제한되고 있다. 또한, D교사의 경우, 교사의 언어를 통하여 아동의 활동을 지도한다고 응답함으로써 탐색, 발견학습방법에 대한 현대적 접근의 개념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두 교사의 경우,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움직임교육의 현대적 개념을 소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움직임 지도내용에 대한 실행은, A교사의 경우, 음률 및 창의적 움직임의 현대적 접근 내용과 함께, 전통적 접근의 형태가 고정된 움직임이 병행되어 실행되고 있었다. B교사의 경우, 이동움직임·비이동움직임·조작움직임 및 음률·창의적 움직임의 현대적 접근을 나타냈고, C교사의 경우, 전통적 접근의 복합적 실행을 하고 있었다. 움직임 지도방법에 대한 실행은, A교사의 경우, 시범활동 뿐 아니라, 탐색·문제해결·발견움직임 지도방법에 대한 실행은 A교사의 경우, 시법활동 뿐 아니라, 탐색·문제해결·발견학습방법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전통적 접근과 현대적 접근의 복합적 양상을 나타냈다. B교사는 현대적 접근의 탐색·문제해결·발견방법을 활용했고, C교사는 전통적 접근의 시범과 모방에 의존하여 지도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리고, D교사의 경우, 탐색·발견방법의 현대적 접근과 시범·모방의 전통적 접근을 함께 활용하는 복합적 양상을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부속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2년 경력의 교사의 경우,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움직임교육의 현대적 접근 실행을 나타냈고, 전문대를 졸업하고 새마을유아원에 재직하고 있는 10년 경력의 교사의 경우,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전통적 접근의 실행을 뚜렷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움직임 지도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는 A교사와 D교사의 경우 나타났다. 즉, 학력이 낮고, 경력이 적은 교사와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은 교사의 경우, 인식과 실행 간의 차이가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