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1 Download: 0

자폐아동의 촉각 및 전정기관 자극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일연구

Title
자폐아동의 촉각 및 전정기관 자극훈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일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for autistic children
Authors
심경나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자폐아동촉각전정기관자극훈련 프로그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賢順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 아동에게 촉각과 전정기관 자극 훈련을 통해서 감각운동통합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고안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려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문제는 여기에 제시된 촉각과 전정기관 자극 훈련 프로그램이 자폐 아동의 감각운동통합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것이며, 실험은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검사(pilot study)로 실시 되었다. 실험 대상은 생활 연령 4∼6세 사이의 8명의 자폐 아동으로 3개월 동안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는 회전후 안진검사와 대근육, 소근육, 눈-손협응력 발달 기능 점수를 통해 검증되었으며, 결과에 대한 통계 처리는 사전-사후간의 t-검증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통계자료의 제한성을 보충하기 위해 8명의 실험 대상 아동에 대한 관찰자료(case study)를 소개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1. 촉각과 전정기관의 자극 훈련은 안진검사의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촉각과 전정기관의 자극 훈련은 대근육 기능의 발달수준에서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촉각과 전정기관의 자극 훈련은 소근육 기능의 발달 수준에서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촉각과 전정기관의 자극 훈련은 협응 능력의 발달 수준에서 사전-사후 검사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autistic children's ability of sensori-motor integ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training,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and further to develop the method of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executed in this study as a new educational program for autistic children. the point of this study was that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would have an effect on the sensorimotor integration ability of autistic children, a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s a pilot study of the training program for 3 months. The sample subjects were 4-6 year old, 8 autistic children. The effect of experiment was verified by postrotary nystagmus test which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rea of gross motor, fine motor and eye-hand coordination. T-test between the pre and the post tests, were used for statistic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o-post test of postrotary nystagmus test. 2. The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ost test on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gross motor skill. 3. The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ost test on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fine motor skill. 4. The tactile and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ost test on the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of eye-hand coordination ski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