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3 Download: 0

韓國의 特殊敎育 奬學行政에 關한 硏究

Title
韓國의 特殊敎育 奬學行政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ONE STUDY ON THE SUPERVISORY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uthors
閔丙蘭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한국특수교육장학행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현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supervisory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with the function of the supervision, other nations' supervisory system of special education and in Korea the present status and major problems of the supervisory system for special education, and investigated depending on questionaire being based on that theoretical background. A questionaire was constructed by writer and administered to 68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and 573 special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al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ong Gi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 In general the supervisory behavior for special education was not effectve. That causes were the deficiency of organization for speci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 lack of knowledge of supervisor on special education. As a conclusion, supervisory behavior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 1.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Boards of Education must have special organization for the improvement in the field with long term and professional planning. 2. The supervisory system for the special education should be changed by having specialists in this field. 3. For the effective and cooperative supervisory system, the special educational supervisors should take the professional advices from the regional specialists in the country. 4. The special educational supervisors should have regular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broaden their knowledge in their profession. 5. In order t o professionalize this area, supervisory personnel training program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be supported by the Government.;특수교육 장학행정이란 특수아동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활동이 특수교육기관에서 효과적으로 전개되도록 지도, 조언하는 전문적인 체제를 말한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장학지도를 위한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론적 고찰로서 국내외의 참고문헌을 통하여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성격을 정의하고, 한국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실태 및 주요 문제를 분석하였으며, 외국의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특수학교 교장, 교감, 교사 총 641명을 대상으로 하는 실태조사를 통해 한국 특수교육 장학행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는 바 조사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특수교사들은 지금까지 특수교육 장학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효과적으로 돕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그 원인으로는 특수교육 기구의 불비, 교육행정당국과 알선 특수학교와의 연계성 부족, 장학담당자의 자질 미흡 등을 주요문제로 들고 있다. 둘째, 바람직한 특수교육 행정기구에 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 문교부에는 특수교육과를 설치하고, 교육위원회에는 특수교육계를, 그리고 교육장에는 전담장학사를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지적하므로서 특수교육 장학행정 조직이 각 행정 수준별로 체계화되어야 함을 밝히고 있다. 셋째, 특수교육 장학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해서는 특수교육 경험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교사집단은 특수교육 경험과 더불어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특수교육 전공을 기본 요건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특수교육 장학담당자의 현직교육과 양성계획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교육 방안으로는 「정기적으로 특수교육 연수를 받게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고, 그 양성은 「특수교원 장학요원 연수대상 선발시험을 거쳐 양성과정을 연수원에서 이수하게 한 후 임명한다」는 방안을 가장 효과적인 의견으로 지적함으로써 양성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장학지도에 있어서는 현재 교육행정당국으로 부터의 장학지도는 형식적이고 별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과적인 장학지도를 위해서는 현재의 「문서장부의 확인」이나 「정부시책의 시달」 위주의 장학지도 형태를 지양하고 특수아동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과정 중심의 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타나내고 있다. 여섯째, 효과적인 마련 장학지도를 위한 선행과제로는 전담 장학제도의 마련, 장학지도 자료의 연구개발 및 보급, 그리고 장학담당자의 자질향상 등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