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한국정당의 노동정책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정당의 노동정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abor policies of the ruling parties
Authors
姜賢姬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정당한국정당노동정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대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olitical parties have treated about labor problems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economic policy of Korean government has stressed on the economic growth and efficiency , but on the other hand undervaluated the income distribution and equity, so that has been restricted socialization of labor problems. As the result, in the moment of 26. October in 1979 and 29. June in 1987, there were the enomorous strike of laborer. So many people became to know the seriousness of labor problem. After that , labor problem became the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and was found many metnods of solve that problems. I am going to suggest as the one of this methods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 because the political party and trade union have prolonged with very closed relations for long time as we could see in the case of English labor history , as well the political party is situated between the citizens and government, further their roles are to receive the citizen's opinion and reflect to policy making process. In addition , labor union is not political organization but is inevitable to participate in political making process. Because in modern society everything is decided in the political making processes. Under this recognition this study was stressed on following things. First , about the labor problems that have accumulated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 I investigated how the political parties have treated with any concerns and views. Besides I wanted to evaluate the labor policies of political parties and suggest the alternative things. In evaluating the labor policies of political parties , I summarized about the economic labor circumstances which was the background of labor policies . Second, I concerned about the character and limitation of political parties . Labor policy is the one of general policy and has an effect on ideal aim and situational factors , especially in the case of our political parties regardless of government party and opposition party. Our political parties' character is the individual - centered party that was based of authoritarianism, so they have prefered to compete with political power acquisition , not policy competition. Moreover, there were not existed any progressive party or reformist party that spoke for labor class since our independence. So it was natural that the labor policy of political parties was inactive. Third,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was limited the ruling party since our independence, because the political parties in modern meaning have generated after independence, as well the ruling and the opposition party have the similar characters as conservative right wings and similar policies . In addition , in the case of opposition party there were no any party which has consisted for long time to be able to evaluate their activity . So I limited analysis subject to the Liberal Party, The Democratic Party , The Democratic Republic Party , and the Democratic Justice Party. Fourth, the substance of labor policies is was based on the political principles , political policies , election pledges, and so on, and confirmed to practice their public pledge through law making process.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 I knew our political parties were not policy party but man-centered party which was based on authoritarianism, so their activity was inactive and insufficient . So they couldn't do their function to receive and gather citizen's opinion and reflect them in law making proces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1 am going to suggest the several proposals in order to actionized the political parties' labor policies . First , they should recover the political parties' original functions. Second, the political activities should be permitted. Third, the activity of progressive or reformist party should be guaranteed. Fourth, there should be the concensus among the party , government and the nations about the future of industrial democracy. Fifth , the labor policies should be found rationally and scientifical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industrial society.;最近에 勞使問題는 가장 심각한 社會問題중의 하나로 浮刻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先成長 後分配의 이름아래 20여년 이상을 勤勞者들은 劣惡한 勤勞條件과 低賃金, 극심한 産業災害 등에 시달려왔다. 産業化와 더불어 量的 咸長을 거듭한 勤勞者들은 계속된 勞動統 制에 저항하며, 70년대 末부터 社會各界의 民主化 要求에 힘입어 積極的인 權利主張을 展開하기에 이르렀다. 勞動問題는 1960년대 후반부터 成長優先論에 대한 批判과 더불어 提起되어져 왔다. 그러나 政府는 强力한 勞動統制를 바탕으로 健全한 勞勳組合 活動조차 危險視하여 治安次元에서 다룸으로써 勞動問題의 表面化를 政策的으로 억압해 왔다. 그러다가 1979년 10.26과 1987년 6.29를 계기로 폭발한 엄청난 勞動爭議를 겪고, 그 勞動爭義가 國民經濟와 社會全般에 미치는 충격을 보면서 勞動問題의 深刻性을 再認識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勞動問題는 88년부터 시행되는 最低賃金의 경우 該當勤勞者가 10만여명을 넘는 현실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富의 불균형은 더욱 심화되어간다는 사실과 함께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勞動者들의 結社인 勞動組合의 政治活動이 禁止되고있어 政策的으로 規定되어지는 勞動政策에의 參興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狀況 下에서 勞動問題 解決을 위한 하나의 方案으로 政黨의 積極的인 役割을 設定해 보고자 한다. 政黨은 政策決定過程에 參與하는 政治制度의 하나로서 代議制 民主主義 下에서 國民과 가장 가깝게 있으면서 國民의 意思를 收斂하고 그것을 政策에 反映함을 본래의 目的으로 하는 組織이기 때문이다. 또한 西歐의 경우에서 보는바와 같이 勞動組合과 政黨과의 관계는 勞動者들의 權益保護에 절대적인 役割을 해왔기 때문에 勞動組合의 政治活動이 禁止되어 있는 狀況에서 政黨의 勤勞者들에 대한 活動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選擧를 통한 執權을 目的으로 하는 政黨으로서도 다수의 同質的 利益集團인 勞動組織에 無觀心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認識 下에서 本 論文은 다음과 같은 점에 주력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經濟·勞動狀況의 展開에 따른 勞動問題에 대해 政黨이 어떠한 立場과 關心으로 다루어 왔는지를 政黨別로 綜合·評價하고 그 改善方案을 摸索해 보고자 하였다. 政黨의 勞動政策을 評價함에 있어서는 勞動政策의 背景이 되는 經濟·勞動狀況을 우선적으로 槪括하였다. 勞動問題 自體가 産業化와 經濟活動의 結果로 나타나는 것이고, 勞動狀況의 展開에 따라 勞動政策의 內容과 比重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政黨의 特性과 限界에 注目하였다. 勞動政策은 一般的인 政黨의 政策活動中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政黨의 理念指向性과 狀況的要因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政黨의 경우는 與·野를불문하고 權威主義를 바탕으로 한 人物中心的 政黨으로 政策對決보다는 政權競爭의 側面이 강했고 南北分斷에 따른 이데올로기 對立의 深化는 勞動者層을 대변하는 革新·進步政黨의 存立을 不可能하게 함으로써 政黨의 勞動政策에 否定的으로 作用하였다. 셋째, 分析對象은 解放以後의 執權黨으로 制限하였다. 이는 近代的 意味의 政黨이 해방이후에야 成立되었고 與·野의 性格이 保守右翼으로 비슷한데다 政權中心的, 人物中心的 政黨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政策對決이 거의 없었다. 또한 野黨의 경우 活動을 評價할만큼 지속된 政黨이 없었던 점과 위에서 언급한것 처럼 革新·進步政黨도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상당기간 執權黨으로 存續했던 自由黨, 民主黨, 民主共和黨, 民主正義黨만을 대상으로 制限한 것이다. 넷째, 勞動政策의 內容은 政黨의 政綱·政策 및 選擧公約의 內容을 資料로 하였고 立法過程을 통해 公約의 實踐與否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分析의 결과, 우리나라의 政黨은 政策政黨이 아닌 人物中心政黨으로 全般的인 政策活動이 부진했으며 獨自的인 政策提示를 통한 積極論인 活動 보다는 黨總裁(여당의 경우는 대통령)의 뜻이나 行政府의 決定을 立法過程에서 代行하는 從屬的인 역할에 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政黨的 制限要因과 더불어 經濟成長 우선이라는 政府政策은 勞動問題의 擧論자체를 禁忌視하였기 때문에 政黨의 勞動政策은 活性化될 수 없었다. 그러나 勞動者들의 經濟的 利益確保를 위해서는 政策決定過定에서 參與가 불가피한 實情이고, 勞動組合이 政治組織이 아닌 이상, 政黨에 依存할 수밖에 없다. 한편 選擧를 意識해야 하는 政黨으로서도 現代에 이르러 가장 강력한 利益集團이 되고있는 勞動組織에 대해 支持를 호소해야 하는 입장으로 政黨의 勞動政策에 대한 關心과 比重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政黨의 勞動政策 活性化를 위해 다음과 같은 方案을 提案하고자 한다. 첫째, 政黨의 政策政黨으로서의 機能回復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勞動組合의 政治活動을 保障함으로써 勞動組合과 政黨의 有機的 關係造成을 허용해야 한다. 셋째, 勞動者 階層을 代辯할 수 있는 進步·革新政黨의 活動이 制度的으로 保障되어야 한다. 넷째, 産業民主主義의 勞使關係 發展에 대한 黨·政·國民間의 全般的인 合意를 바탕으로 政策開發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급격히 진전되고 있는 産業化의 過程에서 技術革新, 情報化의 進展, 消費의 大衆化, 市場의 國際化 등 生産 및 勞動環境의 변화에 能動的으로 對應하는 勞動政策이 요청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