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그룹게임 실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Title
그룹게임 실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ROUP GAME PRACTICE
Authors
金貞希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그룹게임교사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화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group game practices.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How does the teacher recognize about the group games? 2. How does the teacher plan and select the group games? 3. What is the repertories of group game of the kindergarten? 4. How does the teacher guide the group game? 5. What are the resources for the group gam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Interviews method based on questionnaires was used. On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final data, percentage, Chi-square (X^(2)) or F-Value applied accordingly.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Most leachers did not understand about definition of the group games. The higher the teacher's career is, the better they recognize the group games. On the educational valve of group game, most leachers considered group game as pleasure and interest of children. 2. Most teachers select the group game in relation to kindergarten unit. Most teachers practice group games less than twice per week in the regular program. 3. 「Games Involving Verbal Commands」「Chasing Games」 and 「Race」 are the categories of group game which teachers practice frequently. 4. Most teachers explain the rules of the group game. Group games are played more often during free play in small group. 5. Main method of gathering group game information is to read books for the group game.;본 연구는 그룹게임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 실시 및 지도양상에 대한 현황을 밝히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룹게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정도는 어떠한가? 2. 그룹게임의 계획 및 선정과정은 어떠한가? 3. 현장에서 실시되는 그룹게임의 유형은 어떠한가? 4. 그룹게임의 지도양상은 어떠한가? 5. 그룹게임에 대한 정보출처 상황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문제를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통한 면접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시내에 있는 유치원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중 100부만을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백분율, 평균, χ^(2)검증, F검증을 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룹게임의 정의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그룹 게임의 정의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치 인식에 있어서는 아동들이 그룹게임을 통해서 흥미와 즐거움을 갖는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그룹게임의 선정기준에 있어서는 단원내용과 연관있는 게임을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실시계획은 정규 프로그램속에서 규칙적으로 실시하며 1주일에 평균 2번 이하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교구화된 게임을 비치하여 아동이 자발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실시되고 있는 그룹게임의 유형을 전체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많이 실시하는 게임의 유목은 「언어적 지시 게임」, 「쫓기 게임」, 「경기 게임」으로 나타났다. 비교적 적게 실시하는 게임의 유목은 「판을 이용한 게임」과 「숨기기 게임」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라서는 경력이 많아질수록 「언어적 지시 게임」은 줄고 「경기 게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언어적 지시 게임」을, 학력이 낮을수록 「쫓기 게임」을 많이 실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게임을 실시하게 된 동기에 있어서는 단원과 연결하여 아동의 흥미와 참여도가 높았기 때문이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교재 및 교구는 주로 유치원에 비치되어 있는 것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게임의 규칙 전달방법에 있어서는 교사가 시범을 보이면서 설명하는 경우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게임의 규칙을 아동이 보기쉽게 적어서, 또는 상품화된 게임의 규칙을 아동과 함께 읽어나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도중 아동이 교사가 정한(혹은 쓰여져 있는) 규칙과는 다른 방법으로 게임을 진행할 때 아동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아동들이 스스로 수정해 나가도록 지켜보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아동이 게임에 참여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에는 대그룹일 경우, 아동으로 하여금 한 쪽에서 구경하다가 원할때 다시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과, 소그룹일 경우 다른 종류의 그룹게임을 제시해 주는 방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룹게임에 많이 활용하는 집단형태로는, 자유놀이시간에는 소그룹으로, 정규시간에는 대그룹으로 지도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5. 그룹게임에 대한 정보출처 상황을 살펴보면 그룹게임에 대한 책을 보거나 워크샵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가 70%로 나타났고, 그 내용면에서는 책을 보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